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연관제품
1
원중랑집(袁中郞集)
2
이십이사차기(二十二史箚記)
3
양주화방록(揚州畵舫錄)
검색어
"전체 : 십칠사상각"
에 대한 총
건
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최근 검색어
전체
(4)
역사∙지리
(3)
문학
(1)
예술
(0)
철학
(0)
사회과학
(0)
자연과학
(0)
문화
(0)
인물전집∙사전
(0)
역사∙지리
3 건
더보기
권3 신성북록新城北錄 상上
양주화방록(揚州畵舫錄)
본문
이두 지음,홍상훈 역,이소영 역
|
소명출판
...
十七史商榷
』과 함께 3대 사학 명저로 꼽힌다. 103) 왕숭고王嵩高(1735∼1800)는 자가 해산海山이고 호는 소루小樓라고도 하며, 보응寶應 사람이다. 왕잠여王箴輿의 아들이다. 그는 양주 안정서원에서 수학하였고, 1763년에 진사가 되어 평락지부平樂知府를 지냈다. 그의 사후에 아들 왕윤생王潤生과 왕가생王嘉生이 유작을 골라 『소루시집小樓詩集』 8권을 간...
권10 홍교록虹橋錄 상上
양주화방록(揚州畵舫錄)
본문
이두 지음,홍상훈 역,이소영 역
|
소명출판
...
십칠사상각十七史商榷
』, 『아술편蛾術編』, 『주례군부설周禮軍賦說』, 『태잠집苔岑集』, 『시장시존고西莊始存稿』 등이 있다. 266) 오吳 땅의 후학들은 저술을 할 때면 모두들 그의 한 마디로 옳고 그름을 검증했다. 102. 김방金榜 267) 은 자가 보지輔之이고, 흡현 사람이다. 그는 건륭 임신壬辰년(1772)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한림원 수찬修撰을 ...
역자 서문
이십이사차기(二十二史箚記)
본문
조익 저,박한제 역
|
소명출판
...
십칠사상각
(
十七史商榷
)』, 전대흔의 『이십이사고이(二十二史考異)』, 조익의 『이십이사차기』 등은 청 건륭(乾隆)ㆍ가경(嘉慶)시대 고증사학의 3대 명저라고 칭해지고 있다. 조익은 강소성 상주부(常州府) 양호(陽湖: 江蘇省 武進縣) 출신으로 자는 운송(耘松), 호는 견북(甄北)이다. 옹정(雍正) 5년(1727)에 태어나서 가경(嘉慶) 19년(1812) 향년 8...
문학
1 건
더보기
매객생에게 답하다(答梅客生)
원중랑집(袁中郞集)
원중랑집(袁中郞集) 본문
『원중랑집』 제21권
병화재집(甁花齋集) 권9 척독(尺牘)
원굉도 저,심경호 역주,박용만 역주,유동환 역주
|
소명출판
...
십칠사상각
(
十七史商榷
)』을 지었다. 그리고 원나라 말에 이루어진 『송사(宋史)』, 『요사(遼史)』, 『금사(金史)』, 명나라 초에 이루어진 『원사(元史)』를 17사에 더하여 21사라고 한다. 명나라 때 남경과 북경의 국자감(國子監)에서 21사를 합각(合刻)한 감본(監本)이 나왔다. 다시 청나라 초에 만들어진 『명사(明史)』를 합하여 22사라고 부른다. 조익...
search
주제분류
역사∙지리
3 건
중국사
(3)
문학
1 건
문학일반
(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