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연관제품
1
한국현대문화사대계
2
이돈화 연구
3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 -'서울의 봄'에서 군사정권의 종말까지-
4
[동양문화산책 18] (유교문화권 전통 마을 2) 영양 주실 마을
5
[연구총서 8] 문제로 보는 중국철학 : 인식의 문제
6
고전, 고전번역, 문화번역 : 부산대학교 인문한국HK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단 편
7
문답으로 엮은 한국고대사 산책
8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 : 북한 농업체제의 형성을 중심으로
9
이혼 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 : 근대적 이혼제도의 도입과 젠더
10
대한민국 임시정부경찰 자료집
검색어
"전체 : 연구"
에 대한 총
건
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최근 검색어
전체
(71,618)
역사∙지리
(16,377)
문학
(34,239)
예술
(1,363)
철학
(393)
사회과학
(559)
자연과학
(1,399)
문화
(610)
인물전집∙사전
(16,678)
역사∙지리
16,377 건
더보기
이혼 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 : 근대적 이혼제도의 도입과 젠더
|
역비한국학연구총서
새 창에서 열기
소현숙 저
|
역사비평사
저자는 근대사회로 전환해간 식민지하에서 가족 생활 중 변모가 가장 두드러졌던 영역이 이혼이었다고 말한다. 그리하여 ‘이혼’이라는 특수한 상황이자 비일상을 통해 식민지 일상을 들여다본다. 나아가 식민지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친 사회와 국가의 역할까지도 꼼꼼히 살펴본다. 사실, 오늘날의 시각으로 보면 잘 이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연간 12만 건의 높은 이혼 건 ...
#한국근대사
#조선시대사
#여성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 : 북한 농업체제의 형성을 중심으로
|
역비한국학연구총서
새 창에서 열기
김성보 저
|
역사비평사
한국근현대사에서 사회경제적 갈등의 중심에는 항상 토지ㆍ농업 문제가 있었다. 해방 후 분단 상황에서 남북한에서는 상이한 방식으로 이 문제가 해결된다. 북한에서는 1946년 무상몰수 무상분배에 의한 토지개혁이 이루어졌으며, 전쟁 이후 농업혐동화가 전개되어 오늘의 북한 농업구조가 형성되었다. 이 책은 1945년 8ㆍ15 해방부터 195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남 ...
#경제
#북한
#한국근현대사
문답으로 엮은 한국고대사 산책
새 창에서 열기
한국역사
연구
회 고대사분과 저
|
역사비평사
고대사에 대해 일반인들이 갖고 있는 의문이나 잘못된 이해를 문답 형식으로 쉽고도 옳은 방향으로 풀어주는 역사책이다. 각 주제별로 적절한 비유나 설화를 풍부하게 활용하고 있으며, 당대 인간의 활동에 서술 비중을 주어 생동감을 살리고 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항목 중에서 아직 학계에서 논쟁 중인 주제들도 있다. 그러므로 객관성을 유지하면서 왜 문제가 ...
#한국고대사
문학
34,239 건
더보기
고전, 고전번역, 문화번역 : 부산대학교 인문한국HK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
단 편
|
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단 총서
새 창에서 열기
부산대학교 인문한국 고전번역 비교문화학
연구
단(이연숙外) 저
|
미다스북스
이 책은 부산대학교 인문학
연구
소·점필재
연구
소 인문한국(HK) [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
단]이 발행하는 총서의 제2권이다.
연구
단이 2년간 고전과 번역의 문명적 해석과 소통을 꾀하려던 노력들이 모두 담겨져 있다.
#인문학
#고전번역
유럽중심주의 비판과 주변의 재인식 : 부산대학교 인문한국HK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
단 편
|
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단 총서
새 창에서 열기
부산대학교 인문한국 고전번역 비교문화학
연구
단(이효석外) 저
|
미다스북스
부산대학교 인문한국 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
단이 발행하는 「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
단 총서」 제1권이다. 유럽중심주의를 비판하고 주변의 잠재적인 기능을 규명하고 있다. 그러면서 동,서양의 문화를 비교
연구
를 통해 유럽, 동서양을 새롭게 인식하고 있다.
#인문학
#고전번역
조선시대 개인일기 4 : 충청·강원·전라·경남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
연구
소 저
|
문화재청
일상에서 일어나는 신변잡기를 기록한 조선시대 개인일기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과 같은 관찬사료에서 찾을 수 없는 자잘한 시대상을 보여주고 있어 공적인 기록에서 누락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가치가 있습니다. 올해는 지역별 조사
연구
마지막 해로 충청·강원·전라·경남 지역 개인일기의 현황을 조사하여 170여건의 일기 가운데 27건의 일기를 선별하여 ...
#조선시대사
#일기
예술
1,363 건
더보기
한국성곽 용어사전 1 : 한국 성곽의 이해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청 성곽
연구
회 저
|
문화재청
우리나라에 많은 성곽들이 분포하고 있음에도 성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도 사실이며, 한국성곽의 이해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성곽에 관련된 용어를 정리하는데 책 발간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일반인이 성곽 용어를 쉽게 이해하도록 간결히케 설명하고 사진 및 도면으로 이해를 도왔으며, 흑백으로 할 경우 현장감 이 부족할 것 같아 될 수 있으면 사진자료는 대부분 원색 ...
#사전
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 하
|
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
연구
소 미술문화재
연구
실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
연구
소는 광복 이후 축적된 한국미술사의 성과를 담은 사전 발간을 목표로, 2007년~2011년까지 ″한국서화가인명사전편찬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이 사전에는 삼국시대~1945년 시기 동안 활동한 화가·서예가·화승 중 학계의 검토를 거친 2,260명의 작가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몽유도원도〉를 남긴 안견에서부터 기록에 이름만 전하는 서화가들에 이르 ...
#사전
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 상
|
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
연구
소 미술문화재
연구
실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
연구
소는 광복 이후 축적된 한국미술사의 성과를 담은 사전 발간을 목표로, 2007년~2011년까지 ″한국서화가인명사전편찬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이 사전에는 삼국시대~1945년 시기 동안 활동한 화가·서예가·화승 중 학계의 검토를 거친 2,260명의 작가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몽유도원도〉를 남긴 안견에서부터 기록에 이름만 전하는 서화가들에 이르 ...
#사전
철학
393 건
더보기
[근대문학] 근대계몽기 지식의 발견과 사유 지평의 확대
|
근대문학
새 창에서 열기
이화여대 한국문화
연구
원 저
|
소명출판
근대적 지식과 담론의 형성 과정을 고찰한 책.이 책은 크게 두 측면에서 근대적 지식과 담론의 형성 과정을
연구
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근대적 지식과 개념 및 담론이 형성되고 변용되는 과정과 특성을 내재적으로 살펴보며, 이에 대한 자기의식적이고 대상적인 관점에서 일본, 중국, 독일의 개념 및 담론의 특수한 양상을 고찰하였다.『황성신문』을 중심으로 하여 이전에 ...
[한국
연구
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237] 역주 악서 1 : 예기훈의
|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진양 외 저
|
소명출판
지금으로부터 약 천 년 전인 1103년, 진양은 40여 년에 걸쳐 쓴 역작 『악서(樂書)』를 송나라 휘종에게 바친다. 200권에 이르는 이 방대한 걸작은 『예기』, 『논어』, 『맹자』 등의 경전에서 악(樂)과 관련된 내용을 뽑아 풀이한 훈의(訓義) 95권과 악을 시행하는데 필요한 실질적인 사항을 서술한 악도론(樂道論) 105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악도 ...
[한국
연구
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238] 역주 악서 2 : 주례훈의ㆍ의례훈의ㆍ시훈의
|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진양 외 저
|
소명출판
지금으로부터 약 천 년 전인 1103년, 진양은 40여 년에 걸쳐 쓴 역작 『악서(樂書)』를 송나라 휘종에게 바친다. 200권에 이르는 이 방대한 걸작은 『예기』, 『논어』, 『맹자』 등의 경전에서 악(樂)과 관련된 내용을 뽑아 풀이한 훈의(訓義) 95권과 악을 시행하는데 필요한 실질적인 사항을 서술한 악도론(樂道論) 105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악도 ...
사회과학
559 건
더보기
[근대문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연구
|
근대문학
새 창에서 열기
임향란 외 저
|
소명출판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이웃한 나라로서, 역사적으로 문화적 교류가 빈번했던 만큼 서로 주고받은 영향도 많았다. 언어적인 측면에서도 중국은 고래로부터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깊어 『계림유사』 나 『조선관역어』 등 체계적으로 한국어 자료들을 수집하여 그 기록을 남기고 있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서도 중국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겼는지를 짐 ...
국가보안법
연구
3 - 국가보안법폐지론
|
법과 사회
새 창에서 열기
박원순 저
|
역사비평사
이 책은 국가보안법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국가보안법 개폐논쟁을 정리하고 있다. 3권 『국가보안법 폐지론』은 1권『국가보안법 변천사』와 2권 『국가보안법 적용사』의 결론이기도 하다. 국가보안법의 변천과정과 적용현실은 바로 국가보안법이 민주주의국가의 정당한 법률일 수 없음을 명백히 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 3권을 통하여 필자는 국가보안법이 인류가 보편 ...
#한국현대사
#법
국가보안법
연구
2 - 국가보안법적용사
|
법과 사회
새 창에서 열기
박원순 저
|
역사비평사
그동안 있었던 국가보안법사건들을 제제대로 파악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였다. 국가보안법이 적용되었던 사건들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조차 오랜 시간 동안 작성되지 않았으며 더러는 유실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또, 국가보안법에 희생된 어느 누구도 자신의 한맺힌 기록을 제제대로 남겨둘 수 없는 사회적 분위기가 오랫동안 우리의 주변을 짓눌러 왔다. 이와같이 제2권 ...
#한국현대사
#법
자연과학
1,399 건
더보기
민간의약(民間醫藥)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
연구
소 저
|
문화재청
민간의약은 오랜 생활 경험에서 체득된 삶의 지혜와 과학으로서 구전, 혹은 비방으로 은밀히 전해져 내려온 생활의학이다. 그러다보니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국적인 조사접근이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제 우리
연구
소 예능민속
연구
소에서 민속종합조사의 일환으로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전통적인 질병예방과 퇴치, 치료 등에 사용되던 약재, 도구 등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
#의학
의부집성
새 창에서 열기
한국한의학
연구
원 편
|
한국한의학
연구
원
『의부집성(醫部集成)』은 중국 청나라 황제의 명으로 엮은 역대 의서들의 총집합체로 중국 고금도서집성 가운데 『의부전록(醫部全錄)』의 원문과 원본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한편, 표점본으로 구성하여 열람의 편의를 도왔습니다. 전체 520권의 방대한 분량으로 의술명류열전, 예문(藝文), 잡록(雜錄) 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의학
#중국사
동의수세보원
새 창에서 열기
이제마 저,동의학
연구
소 역
|
여강출판사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은 한국이 자랑하는 사상의학의 이론과 치료법을 체계적으로 정립한 동무 이제마의 고전으로 사상의론의 기본 이론과 실제 임상 방법, 경험 등을 밝히고 있습니다. 질병치료에서 종래 음양오행설의 공론에 의존하지 않고 증증(症證)보다 환자의 체질에 중점을 두는 사상의론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한의학
연구
자는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건강 상식을 ...
#의학
문화
610 건
더보기
서양인이 쓴 민속문헌 해제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
연구
소 저
|
문화재청
본 해제집은 국립문화재
연구
소가 주관하는 민속문헌 기초자료 조사의 일환으로 근대 서양에서 발행된 한국관련 서양고서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민속관련 자료들을 분류, 정리해 작성한 것이다.이 해제집은 지금까지 내부적 시각만으로 한국의 민속을 살펴보는 편향적인 측면을 극복해 세계 속에서 우리의 민속문화가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지를 살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집이라고 ...
사진, 무형문화재를 말하다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
연구
소 저
|
문화재청
무형문화재에 대한 이해, 흐르듯이 지나가는 상황을 포착하는 속도, 품질에 대한 안정성은 우리 작가들의 큰 장점입니다. 그런 우리 작가들이랑 처음으로 무형문화재 사진전을 갖게 되었습니다. 우선은 올해 참여한 작가들과 올해 기록화 현장을 그들의 눈으로 본 작품입니다. 이번 사진전은 우리 직원들에게 우리 작가들을 소개하고 싶어 마련한 자리입니다. 우리 작가들의 ...
#문화재
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
연구
소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
연구
소는 전통문화의 올바른 계승과 우리 민속
연구
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한국 민속 문헌자료를 집대성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그 성과물의 하나로 고려시대 저명한 문인들의 문집을 대상으로, 그 안에 있는 민속관련 문헌자료를 발췌 역주한 『문헌으로 보는 고려시대 민속』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민속조사
연구
는 주로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어느 정 ...
#고려시대사
인물전집∙사전
16,678 건
더보기
한국고고학전문사전 청동기시대편
|
한국고고학사전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
연구
소 유적조사
연구
실 저
|
문화재청
『韓國考古學專門事典-靑銅器時代篇』은 한국 청동기시대를 유적과 유물, 개념 등의 범주로 나누어 비교적 세밀하게 서술한 전문사전입니다. 뿐만 아니라 그 주변지역인 일본 중국.러시아의 청동기시대 중 우리문화와 비교적 긴밀한 관련이 있는 항목을 선정하여 수록하였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항목들에 대해서는 도면과 도판을 충분히 수록해 본서를 이용하는 일반인들의 이해를 ...
#사전
#고고학
한국고고학전문사전 신석기시대편
|
한국고고학사전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
연구
소 고고
연구
실 저
|
문화재청
이 사전에는 한국 신석기시대 고고학의 성과를 유적과 유물, 개념 등의 범주로 나누어 용어를 해설하고 주요 자료를 정리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한반도 외에도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우리의 신석기문화와 밀접한 지역의
연구
성과가 포함되었고, 도면과 도판을 수록하여 이 사전을 이용하는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사전
#고고학
한국고고학전문사전 성곽·봉수편
|
한국고고학사전
새 창에서 열기
국립문화재
연구
소 고고
연구
실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
연구
소는 이번에 『韓國考古學專門事典-城部·烽燧篇-』을 발간하였습니다. 본 사전은 청동기시대편, 고분편에 이은 『韓國考古學專門事典』의 새로운 결과물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고고학의 성곽 및 봉수에 대한 그간의
연구
성과를 집대성하고 공인된 용어 통일안을 마련하여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사전
#고고학
이미지
501 건
로스미어 아메리칸
연구
소 사진
로스미어 아메리칸
연구
소 사진
로스미어 아메리칸
연구
소 사진
로스미어 아메리칸
연구
소 사진
로스미어 아메리칸
연구
소 사진
더보기
search
주제분류
역사∙지리
16,377 건
고대
(355)
고려시대
(278)
근현대
(2,104)
역사일반
(583)
조선시대
(9,139)
중국사
(151)
지리
(19)
통사
(3,748)
문학
34,239 건
가사
(4,872)
문집
(27,719)
문학일반
(1,116)
소설
(388)
시
(44)
에세이
(68)
희곡
(32)
예술
1,363 건
건축
(416)
미술
(486)
사진
(1)
예술일반
(231)
음악
(204)
의류
(25)
철학
393 건
경학
(22)
중국철학
(261)
철학일반
(47)
한국철학
(63)
사회과학
559 건
법학
(51)
사회과학일반
(508)
자연과학
1,399 건
동물학
(411)
식물학
(17)
의학
(912)
자연과학일반
(10)
천문학
(49)
문화
610 건
민속
(584)
언어
(12)
음식
(1)
종교
(13)
인물전집∙사전
16,678 건
사전
(15,331)
인물전집
(1,347)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