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연관제품
1
이십이사차기(二十二史箚記)
2
사통(史通)
3
중국소설사
검색어
"전체 : 이십이사고이"
에 대한 총
건
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최근 검색어
전체
(6)
역사∙지리
(5)
문학
(1)
예술
(0)
철학
(0)
사회과학
(0)
자연과학
(0)
문화
(0)
인물전집∙사전
(0)
역사∙지리
5 건
더보기
10. 「오행지」의 오류들[五行志錯誤]
사통(史通)
본문
외편(外篇)
유지기 지음,오항녕 역
|
역사비평사
...
이십이사고이二十二史考異
』 권7에서, 『한서』 「오행지」 중지상中之上, “史記成公十六年, 公會諸侯于周”에 대한 안사고顔師古의 주에 “이 지志에서 말하는 ‘사기’는 모두 사마천의 저술이다.[師古曰: ‘此志凡稱史記者, 皆謂司馬遷所撰也’]”라고 했지만, 여기의 사실은 『국어』에 나올 뿐, 태사공의 저술에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사기’라고 말한 기사는 모두 『...
32. 서문의 변천과 성격[序傳]
사통(史通)
본문
내편(內篇)
유지기 지음,오항녕 역
|
역사비평사
...
이십이사고이二十二史考異
』 권5의 말을 인용하여, 자서나 서전이라는 용어로 쓰인 저자의 자기소개 형식의 사평史評은 당송 이래 역사를 관청에서 편찬했기 때문에 그 명칭이 없어졌다고 했다. 이것은 사관 제도의 변화를 정확히 이해한 관찰이지만, 자서나 서전이 사평과 자서전라는 별도 범주로 변해가는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조선왕조실록』에서 볼 수 있듯이, 자서전은...
08. 서지의 유래와 변화[書志]
사통(史通)
본문
내편(內篇)
유지기 지음,오항녕 역
|
역사비평사
...
이십이사고이二十二史考異
』 권7) 68) 『춘추』~아니다 : 유지기의 원주原注이다. 원주 안에 다시 안案이라고 해놓았기 때문에 다소 미심쩍은 부분이 있지만, 일단 조여보의 견해에 따라 유지기의 원주로 보았다. 69) 하징서가~일이었다 : 『춘추』 소공 9년, 진陳나라에 재난이 있었다. 동중서는 초나라 엄왕嚴王(장왕莊王)이 하징서를 토벌한다는 명분으로 ...
문학
1 건
더보기
제17편 명(明)의 신마소설(神魔小說) 중(中)
중국소설사
본문
1부 중국소설사략
루쉰 저,조관희 역
|
소명출판
...
이십이사고이
(
二十二史考異
)』와 『잠연당문집(潛硏堂文集)』 등이 있다. 『잠연당문집』 29권 〈발『장춘진인서유기』(跋『長春眞人西遊記)』)〉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여염의 소설에 『당삼장서유연의(唐三藏西游演義)』란 것이 있는데, 명나라 사람이 지은 것이다(村俗小說有『唐三藏西游演義』, 乃明人所作).”】발(跋)〈『잠연당문집(潛硏堂文集)』 29〉에서 이미 소설 ...
search
주제분류
역사∙지리
5 건
중국사
(5)
문학
1 건
문학일반
(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