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사 조동걸 전집
본문
18권 사람의 시대로 가는 징검다리
2장 역사연구의 평론
2. 회고와 전망
2) 독립운동사 연구의 회고와 과제
...조선시대사 이해-신채호, 김교헌, 안확의 조선시대사」, 『인문과학의 새로운 방향』, 1984;이태진, 「안확(1881∼1946?)의 생애와 국학세계」, 『고병익선생회갑기념사학논총』, 1984. 125) 홍이섭, 「사학자로서의 위당-국사의 정신사적 확립에 공헌」, 『국학』 17, 1967;이기백, 「신민족주의사관론」, 『문학과 지성』 9, 1972;김용섭...
-
우사 조동걸 전집
본문
15권 한국현대사학사
3장 4ㆍ19혁명과 역사학의 새로운 발전
1. 민주화운동기의 한국사 연구
4) 1980년대의 진보주의 역사학
-
우사 조동걸 전집
본문
15권 한국현대사학사
3장 4ㆍ19혁명과 역사학의 새로운 발전
1. 민주화운동기의 한국사 연구
3) 유신체제하의 한국사학
...朝鮮時代寺院經濟硏究』, 동화출판공사, 1983. 7;韓永愚, 『朝鮮前期社會經濟硏究』, 을유문화사, 1983. 7;韓永愚, 『朝鮮前期社會思想硏究』, 지식산업사, 1983.8;鄭奭鍾, 『朝鮮後期社會變動硏究』, 일조각, 1983. 10. 58) 국사편찬위원회, 『國史編纂委員會史』, 1990, 223쪽에 소개된 각권 목차는 다음과 같다. 고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