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연관제품
1
[규장각 교양총서] 조선 사람의 조선여행
검색어
"전체 : 조선여행"
에 대한 총
건
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최근 검색어
전체
(5)
역사∙지리
(4)
문학
(0)
예술
(0)
철학
(0)
사회과학
(0)
자연과학
(0)
문화
(1)
인물전집∙사전
(0)
역사∙지리
4 건
더보기
[규장각 교양총서] 조선 사람의
조선여행
|
규장각 교양총서
새 창에서 열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외 저
|
글항아리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펴내는 총서의 일곱 번째 권. 『조선 사람의
조선여행
』은 조선인들이 자신의 강토를 다니면서 경험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비록 ‘여행’을 앞세웠지만, 여기서 다뤄지는 이야기는 즐거운 마음으로 다른 고장을 돌아보는 일상적 여행 범주에 들지 않는 이야기도 여럿 있다. 방 안에 앉아서 그림과 글로 다른 곳을 여행하는 와유臥遊와 나라로부터 죄 ...
#조선시대사
[규장각 교양총서] 세상 사람의
조선여행
|
규장각 교양총서
새 창에서 열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외 저
|
글항아리
규장각 교양총서 제6권 『세상 사람의
조선여행
』이 출간되었다. 이번 책은 조선초기부터 근대시기까지 조선을 다녀간 이방인들의 여행을 다루고 있다. 세종 시기 명나라 칙사들부터 임진왜란 이후 일본의 사행과 같은 국가간 사신 왕래들부터 하멜로 대표되는 표류, 학술조사 차 배를 타고 건너온 학자들의 여행까지 다양한 형태의 여행기록을 전문가들의 꼼꼼한 사료검토와 풍 ...
#조선시대사
3) 1920년대
일제시기 장시 연구
본문
제1부 국가와 장시
제1장 한말의 장시와 일제의 시장 조사
2. 일제의 시장 조사
허영란 저
|
역사비평사
...
朝鮮旅行
案內記』, 1929. 40) 『小作慣例及驛屯賭に關する調査書』, 1928 ; 『優良部落調査』, 1928 ; 『優良部落事績』, 1930. 41) 『朝鮮ノ蠶業』, 1911 ; 『朝鮮之畜産』, 1921 ; 『朝鮮の商工業』, 1921 ; 『朝鮮の農業』, 1921 ; 『朝鮮の鑛業』, 1923 ; 『朝鮮の米』, 1923 ; 『朝鮮ノ木材』, 1926 ; 『...
문화
1 건
더보기
(4) 결론(結論)
한국민속대관
본문
제4권. 세시풍속(歲時風俗), 전승(傳承)놀이
Ⅱ. 전승(傳承)놀이
2. 어른놀이
10) 윷놀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나모인터렉티브)
...
조선여행
윷놀이」라 하는 것이 나와 서울 상가(商街)에서 팔리고 있었다. 이것은 일종의 개량(改良)윷놀이로서 윷판에는 한국지도를 응용하여 지명을 써 넣었다. 재래의 점선(點線) 대신에 오늘날 발달된 교통로로 하고 말은 네 개의 교통기관 즉 기선(汽船)ㆍ 기차(汽車)ㆍ 자동차(自動車)ㆍ 비행기(飛行機)로 대신하여 한국의 도회지와 명산(名山)ㆍ 대찰(大刹)들을 ...
search
주제분류
역사∙지리
4 건
조선시대
(3)
통사
(1)
문화
1 건
민속
(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