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검색어
"전체 : 조선 궁중의 잔치 연향"
에 대한 총
건
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최근 검색어
전체
(9)
역사∙지리
(8)
문학
(0)
예술
(1)
철학
(0)
사회과학
(0)
자연과학
(0)
문화
(0)
인물전집∙사전
(0)
역사∙지리
8 건
더보기
조선
궁중의
잔치
,
연향
새 창에서 열기
국립고궁박물관 외 저
|
글항아리
국립고궁박물관에서는 올해로 네 번째 왕실문화 기획총서인 『
조선
궁중의
잔치
,
연향
』을 펴내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조선
시대 궁중에서 베풀어진 중요한 문화예술의 장이었던
잔치
를 주제로 2012년에 대중과 만났던 ‘왕실문화 심층탐구’ 교양 강좌를 다듬어 엮고, 풍부한 도판 자료들을 실어 새롭게 선보이는 것입니다. 열두 차례로 진행된 이 강좌는 궁중
연향
이 담 ...
#
조선
시대사
당시(唐詩) 1
지봉유설
본문
지봉유설(芝峰類說) 권십(卷十)
문장부(文章部) 삼(三)
이수광 저,남만성 역주
|
을유문화사
...
조선
국경에 이르고 북으로 月氏國의 경계에 이른다"고 하였다. 月氏는 아마 동북방에 있는 나라인 것 같다. 다만 『漢書』에는 "匈奴가 月氏王을 깨뜨렸다" 하였고, 또, "張騫이 월씨에 사신으로 갔다"고 하였는데, 『通典』에는 말하기를, "大月氏國은 大宛의 서쪽에 있다. 또 小月氏國이 있으니, 모두 西域의 나라 이름이다"라 하여 이것과는 아마 같지 않은 것 ...
Ⅱ
조선
복식의 구조
한국문화사대계
본문
풍속ㆍ예술사 上
한국복식사 -김동욱
4. 조선의 복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대표집필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朝鮮
常識」에서 經國大典에 據하건대 品職 있는 이의 公服은 袍로써 稱하고 錄事ㆍ諸學生徒ㆍ書吏ㆍ別監ㆍ引路ㆍ羅將 등 無品者에게만 團領이라고 表出하였으되 品職者의 袍도 대개 團領服으로 볼 것이고, 이 袍는 一ㆍ二品은 다 紅, 三品의 正은 紅, 從은 靑, 四ㆍ五ㆍ六品은 靑, 七ㆍ八ㆍ九品은 綠으로 되어 있으니 곧 堂上官은 紅, 出六해서부터 靑, 그 以下는 綠인 것이...
예술
1 건
더보기
궁중
잔치
의 멋과 화려함
전통색채
전통색채 조선왕실축제이야기 왕실축제 궁중잔치의 멋과 화려함
이화여자대학교 색채디자인연구소 저
|
한국콘텐츠진흥원,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코리아연구
...
조선
시대 국가에 경사가 있을 때 궁중에서 베푸는
잔치
의 내용을 기록한 것이며, 『진작의궤』는 왕이나 왕비, 왕대비 등에 대하여 작위를 높일 때 행한 의식을 기록한 것이다. 『진찬의궤』는 왕이나 왕비, 왕대비의 기념일을 맞이하여 음식물을 올린 의식을 기록한 의궤로서, 위에 설명한 의궤들은 왕실의 경사를 맞이하여 존호와 음식물을 올리면서 궁중에서 행한
잔치
의 ...
search
주제분류
역사∙지리
8 건
조선시대
(3)
중국사
(1)
통사
(4)
예술
1 건
예술일반
(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