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추천제품
추천제품
새 창에서 열기
한국의 단청예술
㈜NRK 저
|
한국콘텐츠진흥원, NRK
한국 단청 예술의 디지털 복원
연관제품
1
한국의 고건축
2
한국조류도감
3
한국의 단청예술
4
한국역대가사문학집성
5
한국금석문집성 35 : 고려19 금문 및 기타
6
한국과학사상사
검색어
"전체 : 한국"
에 대한 총
건
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최근 검색어
전체
(42,998)
역사∙지리
(12,399)
문학
(10,043)
예술
(1,765)
철학
(169)
사회과학
(791)
자연과학
(127)
문화
(1,244)
인물전집∙사전
(16,460)
역사∙지리
12,399 건
더보기
고인돌
|
빛깔있는 책들
새 창에서 열기
유태용 저
|
대원사
전 세계에서 한반도의 고인돌 밀집도는 매우 높은데, 남북한을 통틀어 4만 기 이상이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 외 다른 나라에 분포한 고인돌의 총 숫자가 2만 기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가히 우리나라는 ‘고인돌의 왕국’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000년 12월, 고창·화순·강화 고인돌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그 기원뿐 ...
#
한국
고대사
#문화유산
독일인 겐테가 본 신선한 나라 조선, 1901
새 창에서 열기
지그프리트 겐테 저
|
책과함께
독일의 신문기자 지그프리트 겐테가 1901년에
한국
을 여행하며 남긴 기록을 엮은 책. 〈스웨덴기자 아손, 100년 전
한국
을 거다〉, 〈영국화가 엘리자베스 키스의 코리아,1920~1940〉 등, 차별화된 외국인들의 기록을 출간한 책과함께의 또 다른 외국인의 눈으로 본 조선 여행기 다. 당시 외국인들에게 조선은 고요한 아침의 나라 로 인식되고 있었지만, ...
#
한국
근대사
#기행문
유사역사학 비판 : 『환단고기』와 일그러진 고대사
새 창에서 열기
이문영 저
|
역사비평사
『환단고기』라는 책이 역사책이라고 주장한다면 역사학의 검증 틀을 통과해야 한다. 하지만 유사역사가들은 그런 검증 틀을 제대로 작동시키지 않는다. 그들은 스스로 그 책이 과거에 쓰여졌다고 주장하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논리적 빈틈은 ‘애국애족’이라는 무기로 메워버린다. 객관성을 없애고 주관에 호소하며 역사학으로 둔갑시킨다. 이 책에서는 유사역사학이 무엇인 ...
#
한국
고대사
#유사역사학
#비판
문학
10,043 건
더보기
고전, 고전번역, 문화번역 : 부산대학교 인문
한국
HK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단 편
|
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단 총서
새 창에서 열기
부산대학교 인문
한국
고전번역 비교문화학 연구단(이연숙外) 저
|
미다스북스
이 책은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점필재연구소 인문
한국
(HK) [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단]이 발행하는 총서의 제2권이다. 연구단이 2년간 고전과 번역의 문명적 해석과 소통을 꾀하려던 노력들이 모두 담겨져 있다.
#인문학
#고전번역
유럽중심주의 비판과 주변의 재인식 : 부산대학교 인문
한국
HK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단 편
|
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단 총서
새 창에서 열기
부산대학교 인문
한국
고전번역 비교문화학 연구단(이효석外) 저
|
미다스북스
부산대학교 인문
한국
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단이 발행하는 「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단 총서」 제1권이다. 유럽중심주의를 비판하고 주변의 잠재적인 기능을 규명하고 있다. 그러면서 동,서양의 문화를 비교연구를 통해 유럽, 동서양을 새롭게 인식하고 있다.
#인문학
#고전번역
화문록(花門錄) 下
|
화문록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관리국 장서각 저
|
문화재청
이 작품은 일부다처로 기인하는 가정의 비극을 표현한 쟁총형(爭寵型) 가정소설의 주제를 띠고 있는 소설이다. 간악한 제2부인 호씨가 선량한 제1부인인 이씨를 모해하는 것은 “사씨남정기”와 같으나, 끝에 가서 이부인이 그렇게 자기를 죽이려고 하였던 호부인을 용서하고, 산사에 숨어있는 것을 사람을 보내어 데려와 남편을 움직여 가까이하게 하여 가정의 평화를 되찾 ...
#
한국
고전문학
예술
1,765 건
더보기
비평으로 본
한국
미술
새 창에서 열기
조은정 저
|
대원사
이 책은 개화기부터 바로 오늘까지를 시기별로 나눈 뒤, 저자 다섯 명이 각각 한 부분씩을 맡아 저술하였다. 우리의 눈에 익숙한 비평문에서부터 새롭게 발굴한 비평문까지, 주목할 만한 비평문들을 통해 시대상과 미술문화의 진행방향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 이 책의 장점이다. 참고로 근대 이후 발간된 비평문헌 목록을 실어, 미술비평을 공부하는 이들에게 ...
#비평
#
한국
미술
#미술
#
한국
근대사
우리 옛 그림의 아름다움
|
동주 이용희 전집
새 창에서 열기
이용희 저
|
연암서가
국제정치학자이자 미술사학자로 20세기
한국
학문사에 굵직한 자취를 남긴 이용희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그의 저술을 한데 모은 『동주이용희전집』(전10권) 중 우리나라 정통 회화를 진지한 자세로 고찰한 제10권 『우리 옛 그림의 아름다움』. 그림의 아름다움에는 신비로운 구석이 있다. 회화적 미에는 설명이 어려운 면이 있다. 작품은 그 됨됨이 중요하고 또 ...
#
한국
회화
한국
회화사론
새 창에서 열기
이용희 저
|
연암서가
동주(東洲) 이용희(李用熙)는
한국
국제정치학과 미술사 연구 양 분야를 개척하고 또 일가를 이룬 학자였다. 이용희는 1949년 부임 이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국제정치학 과목을 담당하였고, 1956년에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창설하였으며, 국제정치학회를 창립하는 등
한국
국제정치학의 초석을 다진
한국
국제정치학의 태두였다. 또한 회화 감상을 중시하는
한국
미 ...
#미술
철학
169 건
더보기
격몽요결 : 올바른 공부의 길잡이
새 창에서 열기
이이 저
|
연암서가
이 책은 조선시대의 대학자 율곡 이이가 벼슬에서 물러나 황해도 해주로 돌아가 제자들을 가르치면서 후학 교육을 위해 사람이 갖추어야 할 10가지 덕목을 정리한 것이다.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을 가르치고 이끌어 주는 확실한 길잡이’를 뜻하는 『격몽요결(擊蒙要訣)』이라는 제목에 걸맞게 공부하려는 뜻을 먼저 세워야 함, 옛 낡은 습성은 버려야 함, 자기 몸을 잘 ...
#율곡 이이
#
한국
철학
울림의 공백 : 가혹한 생에서 피어난 청정한 시
|
박이문 인문학 전집
새 창에서 열기
박이문 저
|
미다스북스
『박이문 인문학 전집』의 출간 기획은 2014년부터 시작되었다. 박이문 선생과 부인 유영숙 여사의 격려와 지원을 통해 큰 힘을 손에 쥐고 출발했다. 전집의 목차 구성은 박이문 선생의 인문학적 저작을 주제별·시간대별로 분류한 결과물이다. 제10권 『울림의 공백』은 박이문 선생 시 전집이다. 첫 시집인 『눈에 덮인 찰스강변』(1979)부터 마지막 시집인 『고아 ...
#
한국
철학
#인문학
#박이문
둥지의 철학 : 철학으로서의 예술, 예술로서의 철학
|
박이문 인문학 전집
새 창에서 열기
박이문 저
|
미다스북스
『박이문 인문학 전집』의 출간 기획은 2014년부터 시작되었다. 박이문 선생과 부인 유영숙 여사의 격려와 지원을 통해 큰 힘을 손에 쥐고 출발했다. 전집의 목차 구성은 박이문 선생의 인문학적 저작을 주제별·시간대별로 분류한 결과물이다. 제9권 『둥지의 철학』은 박이문 철학의 결정판이다. 실존의 문제에서 비롯된 문학의 문제가 철학과 예술과 종교와 동양사상과 ...
#
한국
철학
#인문학
#박이문
사회과학
791 건
더보기
(점법의 제왕) 주역占 : 누구나 역의 수를 읽어 내다
새 창에서 열기
한국
인 저
|
대원사
주역점은 점법(占法)의 제왕이다. 그 완성이 역수법에 있다. 그런 의미에서 역수법은 주역점의 완성을 돕는 도우미와도 같다. 이 책은 『매화역수』가 지닌 작괘의 한계를 주역점으로 극복했고, 주역점이 지닌 해석의 한계를 역수법으로 보완하여 주역점의 완성을 도모하였다.
#역학/천문학
(자료! 2001 일본교과서 역사왜곡 파동)
한국
지성의 소리 2 : 지방자치단체의 결의
|
한국 지성의 소리
새 창에서 열기
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 저
|
역사비평사
우리가 왜 목소리를 높였고, 무엇을 고민했으며,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해결책(대안)을 찾고 있는지를 집합적으로 확인하게 해주는 자료 백서. 일본교과서의 역사왜곡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점검하며, 역사적 자료로서, 나아가 되풀이되는 역사왜곡을 저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이 자료집은 그 동안 우리가 왜 목소리를 높였고, 무엇을 고민했으며 ...
#역사교과서
#일본
#역사왜곡
(자료! 2001 일본교과서 역사왜곡 파동)
한국
지성의 소리 1 : 언론자료로 본 일본교과서 역사왜곡
|
한국 지성의 소리
새 창에서 열기
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 저
|
역사비평사
우리가 왜 목소리를 높였고, 무엇을 고민했으며,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해결책(대안)을 찾고 있는지를 집합적으로 확인하게 해주는 자료 백서. 일본교과서의 역사왜곡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점검하며, 역사적 자료로서, 나아가 되풀이되는 역사왜곡을 저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이 자료집은 그 동안 우리가 왜 목소리를 높였고, 무엇을 고민했으며 ...
#역사교과서
#일본
#역사왜곡
자연과학
127 건
더보기
[
한국
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039] 중국의 우주론과 청대의 과학혁명 : 상관적 우주론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부정의 역사
|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새 창에서 열기
존 헨더슨 외 저
|
소명출판
20년 전 나의 중국의 우주론과 청대의 과학혁명 이 처음 출간된 이후 중국 우주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그러한 최근의 연구성과들은 전근대 중국의 우주론,특히 고대의 우주론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더욱 풍부하고 깊게 해주었다.그러나 1984년 이 책의 영문판이 처음 나온 이후 아직까지는 고대부터 청대에 이르는 전 시대에 걸친 중국 우주론의 역사를 종합 ...
한국
과학사상사
새 창에서 열기
박성래 저
|
책과함께
이 제품에서는 자연현상에 대한 기록과 그에 대한 태도 등을 소개하며 하늘의 과학사상에 대해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천문 현상을 시작으로 하여, 지상의 자연현상을 개별적으로 살펴본 후 종합 검토하였다. 조선 후기까지의 자료를 다루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17세기 이후 서양의 근대적인 과학사상과 접촉하기 이전의 모습을 서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과학
한국
의 외래.귀화 식물
|
빛깔있는 책들
새 창에서 열기
박수현 저,박수현 사진
|
대원사
외래 식물이란 사람이나 동물, 화물 등의 매개에 의해 해외의 자생지로부터 국내에 옮겨져 우리 땅에 야생하게 된 식물을 말한다. 이 중에는 별로 해롭지 않은 것도 있지만 길가, 빈터, 공단 주위 등 사람들에 의해 파헤쳐진 땅과 환경 오염 지대 어디에서나 자라는 유해한 식물도 많아서 그 피해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 책에서는 우리나라 식물의 생태계를 위협하 ...
#동식물
문화
1,244 건
더보기
한국
의 부적 : 제액초복(除厄招福), 인간의 간절한 염원
새 창에서 열기
김영자 저
|
대원사
이 책은 우리나라 부적의 시원부터 현재에 이르는 부적의 역사적 고찰을 비롯하여 부적의 종류, 부적 제작자와 제작법, 부적 문양의 상징성과 의미, 민간신앙이 창조해 낸 현대 미술의 원형으로서의 부적의 예술성, 부적 관련 구비문학, 그 외 저자가 직접 설문 조사한 자료까지 두루 다루고 있다.
#민간신앙
국역 영첨(國譯 靈籤)
|
한국민속문헌자료집성
새 창에서 열기
이정섭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전통문화의 올바른 계승과 우리 민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
한국
민속문헌자료』를 집대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그 성과물의 하나로 점복서 연구에 귀중한 자료인 『국역 영첨』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1첨에서 100첨까지의 내용이 수록된 『영첨』은 다른 점복서와는 달리 점괘를 풀이하고 또 예전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면 ...
#조선시대사
#역학/천문학
[근대문학]
한국
의 이야기판 문화
|
근대문학
새 창에서 열기
김유정기념사업회 저
|
소명출판
이야기판의 붕괴는 문화사의 거대한 흐름이다. 그것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는 없다. 발터 벤야민은 근대소설이 융성하기 시작하면서 이야기판이 쇠퇴해가는 상황을 면밀하게 검토한 바 있다. 인류의 문화사에서 구술문화가 문자문화로 바뀌면서 이야기판이 소설로 바뀐 것이다. 즉 근대소설의 발달이 이야기 쇠퇴의 분기점이 된 것이다.그런데 구술문화는 인간과 인간을 결집시키 ...
#
한국
근현대문학
#문학이론
인물전집∙사전
16,460 건
더보기
한국
회화대사전
새 창에서 열기
한국
회화대사전 편찬위원회 저
|
여강출판사
『
한국
회화대사전』은 선사시대 암각화부터 근대
한국
화에 이르기까지
한국
회화 5,000년의 주요 작품들을 한 자리에 모아 놓은 디지털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총 1,652점의 고화질 이미지와 그에 대한 상세한 작품해설을 수록하고 있으며, 이와 아울러 736명의 주요 서화가인명사전을 수록, 작가정보를 제공합니다. 장르별, 작가별, 소장처/소재지별, 문화재별 상세 색 ...
한국
민속대사전
새 창에서 열기
한국
민속대사전편찬위원회 편저
|
여강출판사
『
한국
민속대사전』은
한국
의 민속을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가족생활, 노동생활, 명절놀이, 음악무용, 구전문학, 민속공예의 9개 범주로 나누어 구성한 우리나라 전통문화를 총망라하는 의미 있는 자료입니다. 전통문화 계승의 필수 지침서로서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 교양서로서도 그 기능이 탁월합니다.
한국
민속 관련 사진과 세밀화 스케치 11,000점을 수록하 ...
한국
문화재대백과사전
새 창에서 열기
문화재대백과사전 편찬위원회 편저
|
여강출판사
『
한국
문화재대백과사전』은 한반도 최초로 남북 문화재를 총망라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사전입니다. 방대한 도판과 설명문을 동시 열람 가능하며 각 문화재별로 명칭, 소유자, 원소재지, 현소재지나 소장처, 규모, 양식, 재료, 시대, 지정번호(국보·보물) 등과 해설을 수록하였습니다. 아울러 치밀한 분류와 색인 및 4단 통합검색 기능 추가 유물과 유적을 분리하여 ...
이미지
878 건
한국
의 담장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
관 사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
관 사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
관 도면&스케치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
관 도면&스케치
더보기
search
주제분류
역사∙지리
12,399 건
고대
(156)
고려시대
(466)
근현대
(4,958)
역사일반
(650)
조선시대
(1,825)
중국사
(26)
지리
(3)
통사
(4,315)
문학
10,043 건
가사
(4,152)
문집
(3,704)
문학일반
(1,872)
소설
(254)
시
(36)
에세이
(22)
희곡
(3)
예술
1,765 건
감상법
(1)
건축
(477)
미술
(145)
예술일반
(655)
음악
(429)
의류
(58)
철학
169 건
경학
(6)
중국철학
(70)
철학일반
(31)
한국철학
(62)
사회과학
791 건
법학
(52)
사회과학일반
(739)
자연과학
127 건
동물학
(24)
식물학
(31)
의학
(4)
자연과학일반
(9)
천문학
(59)
문화
1,244 건
건강∙취미
(1)
민속
(1,115)
언어
(110)
음식
(3)
종교
(15)
인물전집∙사전
16,460 건
사전
(14,303)
인물전집
(2,157)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