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이용자 주석

KRpia 내의 제품을 연구하는 분들이 함께 공유하면 도움이 될 의견 또는 자료의 출처를 남겨주세요.
※ 개인회원만 이용이 가능하며, 홍보, 타인 비방 등의 글을 등록하실 경우 사전 공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작성자
    SH******
    경로
    한국학대백과사전 > 본문 > 서지(書誌) > ㅅ > 세종실록지리지 世宗實錄地理志
    내용
    소중한 사료 잘 참조하고 갑니다.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겠죠.
  • 작성자
    KR***
    경로
    고려사
    내용
    [KRpia 고객센터] 《고려사》 제109권 - 열전 제22 > 이조년 조와 《고려묘지명집성》이인복 묘지명에에 의하면 '공민왕 때에 이조년의 공로를 평정하여 성산후(星山侯)를 추증(追贈)하고 충혜왕 묘정(廟庭)에 배향(配享)하였다.' 라는 기록이 보이나, 《고려사》 권 60 지14 예2 길례 대사2조에는 위와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이는 《고려사》집필 당시 오류인 것으로 보입니다.
  • 작성자
    KR***
    경로
    고려사
    내용
    [KRpia 고객센터] <고려묘지명집성> 이인복묘지명 번역문에 의하면 '선생은 무릇 세 번 결혼하여 아들 두 명을 낳았다. 첫째 부인은 판사(判事) 강거정(姜居正)의 딸로, 아들 향(向)을 낳으니 낭장(郎將)이 되었다, 강씨가 작고하자 계실(繼室) 이씨(李氏)와 결혼하였는데, 아무 관직을 지낸 아무개의 딸로, 아들 용(容)을 낳으니 봉상대부 전법총랑(奉常大夫 典法摠郞)이었는데, 모두 먼저 죽었다.'라고 하여 이인복에게 향(向)과 용(容) 두 아들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고려사>에 열전 이인복조에 보이는 '子向容'을 '그의 아들에 이향용이 있었다.'라고 하는 해석은 오류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성주이씨 족보에는 아들 향(向)이 향(嚮)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 작성자
    jg***
    경로
    국역 증보문헌비고
    내용
    번역문이 원문이미지의 것이 아닙니다. 원문이미지의 원문은 1908년에 발간된 증보문헌비고 원본의 것입니다. 번역문이 고쳐져야 할 것 같습니다.
  • 작성자
    KR***
    경로
    국역 증보문헌비고
    내용
    [KRpia 고객센터] '元伯子'라는 세주를 위와 같이 '원래 장백(張伯)의 아들인데'라고 해석한 세종대왕기념사업회의 번역은 오류이며, '장원백(張元伯)의 아들인데'라고 해석해야 맞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 작성자
    KR***
    경로
    한국역사지명사전
    내용
    [KRpia 고객센터] 노량진동은 1943년 영등포구, 1973년 관악구를 거쳐 1980년 동작구에 편입되었습니다.

  • 작성자
    de****
    경로
    역비한국학연구총서-전근대편
    내용
    퇴계이황선생님
  • 작성자
    tk******
    경로
    한국서예대사전
    내용
    손글씨에 디자인을 입혀 회화와 서예의 경계를 무너뜨리 것이 캘리그래피(calligraphy)이다.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가 쓴 글씨 '처음처럼'을 소주회사가 상표로 쓰면서 1억원의 장학금을 낸 일이 국내에서 캘리그래피를 널리 알린 '사건'이었다. 애플의 CEO 스티브 잡스가 대학에서 전공 공부를 포기한 뒤 캘리그래피를 흥미롭게 청강했던 것이 훗날 매킨토시 컴퓨터 서체를 만들 때 큰 도움이 됐다는 이야기도 잘 알려져 있다.

    캘리그래피는 글씨만을 다룬다는 점에서 서예와 닮았고, 글씨를 자유자재로 해체하거나 추상화해 이미지를 만든다는 점에서 회화에 근접해 있다. 일본과 중국은 각종 현판과 간판은 물론 제품 상표에도 캘리그래피를 적용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조선일보에서 인용)
first prev 11 next las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