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영역 열기

krpia

도움말
도움말 검색 도움말

이용자 주석

KRpia 내의 제품을 연구하는 분들이 함께 공유하면 도움이 될 의견 또는 자료의 출처를 남겨주세요.
※ 개인회원만 이용이 가능하며, 홍보, 타인 비방 등의 글을 등록하실 경우 사전 공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작성자
    go******
    경로
    경국대전 > 본문 > 머리말
    내용
    구입가능한가요?
  • 작성자
    rl******
    경로
    동의사상신편 > 번역문 > 동의사상신편(東醫四象新編) 범례(凡例)
    내용
    소양인소체환
  • 작성자
    rl******
    경로
    동의사상신편 > 번역문 > 동의사상신편(東醫四象新編) 범례(凡例)
    내용
    소양인소체환
  • 작성자
    ya*****
    경로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 본문 > 머리말
    내용
    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학생입니다. 경상도에 관련한 답사를 준비하는데 필요합니다
  • 작성자
    ll******
    경로
    한국현대문학대사전 > 작품 > 시 > 진달래꽃
    내용
    한국 고전과 문화재에 관심이 많은 50대 중반입니다. 좋은 콘텐츠를 접하다 보면 지식의 갈구가 충만해집니다.
  • 작성자
    da******
    경로
    한국현대문학대사전 > 작가 > 근대 > 조벽암
    내용
    공지영
  • 작성자
    oh******
    경로
    한국식물대사전 > 종자식물 > 피자식물아문(被子植物亞門) > 이판화아강(離瓣花亞綱) > 버드나무목 > 버드나무과 > 뽀뿌라절 > 강선뽀뿌라(모닐리훼라양버들, 모닐리훼라포풀라나무, 미루나무)
    내용
    국가식물표준목록(2002)에 보면 미루나무의 이명으로 본 나무의 학명이 기재되어 있다.
  • 작성자
    xu*****
    경로
    ABC북 맛보기 사전 > 미술과 문학 > 1. 미술과 문학 > 조르주 상드 > 신비주의
    내용
    dasd
  • 작성자
    fa*****
    경로
    차리석평전 > 본문 > 서설 - 차리석의 삶과 독립운동 > 집안과 성장
    내용
    This site will be very helpful for my research. Thanks!.
  • 작성자
    sa*******
    경로
    한국서지 > 본문 > Ⅷ部 敎門部 > 2章 佛敎類 > 3. 敎化歷史, 章疏(ÇĀSTRA) > 2659. 釋迦如來十地修行錄
    내용
    국립중앙도서관 에서 열람가능. 釋迦如來十地修行 [마이크로 형태자료] 프랑스.동양언어문화학교 도서관 발행사항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002 형태사항마이크로필름
  • 작성자
    qw****
    경로
    사기 > 본문 > 열전(列傳) > ▣ 권61 「백이열전(伯夷列傳)」 제1
    내용
    백이열전
  • 작성자
    ng*******
    경로
    한국현대문학대사전 > 작품 > 평론12 > 여성의 삶과 사회 구조-김동인의 〈감자〉를 중심으로
    내용
    감자 감성
  • 작성자
    is****
    경로
    ABC북 맛보기 사전 > 미술과 문학 > 1. 미술과 문학 > 반 고흐 > 감자 먹는 사람들
    내용
    인간의 삶이란 비천을 떠나서 삶에 대해 진지해질 때 모두가 엄숙하고 존귀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떻게 보면 삶 그 자체가 엄숙하고 의미있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 작성자
    ko********
    경로
    한국인명대사전 > 본문 > 한국인명대사전 > 가[가군(加群)~고연수(高延壽)] > 각훈(覺訓)
    내용
    이용자주석
  • 작성자
    so*********
    경로
    고려사 > 본문 > 《고려사》 제128권 - 열전 제41 > 반역 2 > 이의민
    내용
    김존걸이라 번역하신 부분 목판본에는 그냥 존걸로 나오는데 세가 20권 명종 23년조와 그 윗부분 출정부분을 보면 전존걸로 나오며 『고려사절요』, 『동사강목』에도 이 기사부분 전존걸로 나옵니다.
  • 작성자
    ha*****
    경로
    국역 증보문헌비고
    내용
    현감 제목에서 한자가 잘못 되었음 顯 자가 아니고 縣 자 입니다
  • 작성자
    zk********
    경로
    국역 증보문헌비고
    내용
    <정축정시문무과방목(丁丑庭試文武科榜目)>에 의하면, 1637년(인조 15)에 별시 무과에 겸사복(兼司僕)으로 급제한 공계술(貢繼述)이 보인다. 본관은 인천(仁川), 거주지는 경(京)이고 부친은 학생(學生) 공대회(貢大檜)이다.

    <정축정시문무과방목(丁丑庭試文武科榜目)>에 의하면, 1637년(인조 15)에 별시 무과에 수문장(守門將)으로 급제한 공애술(貢愛述)이 보인다. 본관은 인천(仁川), 거주지는 경(京)이고 부친은 학생(學生) 공대회(貢大檜)이다.

    <임오별시방(壬午別試榜)>에 의하면, 1702년(숙종 28)에 별시 무과에 한량(閑良)으로 급제한 공우영(貢禹英)이 보인다. 본관은 인천(仁川), 거주지는 통진(通津)이고 부친은 사(使)를 지낸 공세기(貢世起)이고 형으로 공우제(貢禹濟), 공우석(貢禹錫)이 있었다.

    <숭정3기사동원자탄강경과별시증광문무과전시방목(崇禎三己巳冬元子誕降慶科別試增廣文武科殿試榜目)>에 의하면, 1809년(순조 9)에 증광무과에 봉지(奉持)로 급제한 공준익(貢駿益)이 보인다. 본관은 인천(仁川), 거주지는 부평(富平)이고 부친은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오른 공취욱(貢就郁)이다.

    <경술3월일사마방목(庚戌三月日司馬榜目)>에 의하면, 1610년(광해군 2)에 식년생원에 유학(幼學)으로 급제한 공신국(貢藎國)이 보인다. 본관은 인천(仁川), 거주지는 부평(富平)이고 부친은 돈용교위(敦勇校尉) 행충무위부사과(行忠武衛副司果)를 지낸 공은남(貢殷男)이다.

    <가정13년갑오윤2월초2일생원진사방(嘉靖十三年甲午閏二月初二日生員進士榜)>에 의하면, 1534년(중종 29)에 식년진사에 유학(幼學)으로 급제한 공세영(貢世瑛)이 보인다. 본관과 거주지 모두 인천(仁川)이고 부친은 종사랑(從仕郞) 안성훈도(安城訓導)를 지낸 공호중(貢好中)이다.

    <홍치9년병진윤3월초3일생원진사방(弘治九年丙辰閏三月初三日生員進士榜)>에 의하면, 1496년(연산군 2)에 식년생원에 공생(貢生)으로 급제한 공계우(貢繼禹)가 보인다. 본관은 미상, 거주지는 인천(仁川)이다.



    위의 자료로 보건대, 광해군 대의 생원 공신국을 보는 본 책의 정보는 고증에 오류가 있어보인다. 공신국이 급제한 해보다 약 100년정도 앞서 진사시에 급제한 공세영이나 그의 부친 공호중을 문헌상의 시조로 보아야 맞을 것이다.
  • 작성자
    zk********
    경로
    국역 증보문헌비고
    내용
    <국조방목(國朝榜目)>에 의하면, 1882년(고종 19)에 별시 문과에 유학(幼學)으로 급제한 장석황(莊錫滉)이 보인다. 본관은 전주(全州), 거주지는 평양(平壤)이고 부친은 장제철(莊濟喆)이다.

    <갑오식년사마방목(甲午式年司馬榜目) (『강호선생실기(江湖先生實記)』, 국립중앙도서관[古2511-10-43])>에 의하면, 1414년(태종 14)에 식년생원에 급제하여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에 오른 장숙(莊淑)이 보인다.

    <정축정시문무과방목(丁丑庭試文武科榜目)>에 의하면, 1637년(인조 15)에 별시 무과에 겸사복(兼司僕)으로 급제한 장업룡(莊業龍)이 보인다. 본관은 봉산(鳳山), 거주지는 경(京)이고 부친은 보인(保人) 장업(莊業)이고 동생으로 장업련(莊業連)이 있었다.

    <계사합6경대증광문무과방목(癸巳合六慶大增廣文武科榜目)>에 의하면, 1773년(영조 49)에 증광무과에 별무사(別武士)로 급제한 장인대(莊麟大)가 보인다. 본관은 금천(衿川), 거주지는 문화(文化)이고 부친은 학생(學生) 장귀찰(莊貴札)이다.
  • 작성자
    zk********
    경로
    국역 증보문헌비고
    내용
    2000년 통계청 인구조사 자료에 의하면, 馮씨는 임구(臨?) 단본으로 나타났다.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의 인물 정보에 따르면, 임구 풍씨의 시조는 명나라 말기의 유신으로 청군에 대항하여 의병활동을 하였던 풍삼사(馮三仕)로 중국 산동성(山東省) 청주부(靑州府) 임구현(臨?縣) 부정리(富亭里) 출신이고 부친은 명나라에서 병부시랑(兵部侍郞) 도찰원부도어사(都察院副都御史)을 지낸 풍수(馮秀)이다. 의병장으로서 청군에 대항하다가 생포당하였고 한동안 심양관에 억류되어있다가 1645년(인조 23)에 봉림대군(곧 효종)과 함께 이른바 황명구의사(皇明九義士)의 일원으로 왕미승(王美承)?황공(黃功)?정선갑(鄭先甲)?양복길(楊福吉)?배삼생(裵三生)?왕문상(王文祥)?왕이문(王以文)?유계산(柳溪山)과 함께 조선에 입조하였다.

    <두산백과>에 의하면, 임구(臨? : 린취)는 중국 산둥성[山東省] 웨이팡[?坊]에 있는 현(縣)이라고 한다. 이로 보아 임구를 산동(山東)으로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왕세자책봉경용호방(王世子冊封慶龍虎榜)>에 의하면, 1784년(정조 8)에 정시 무과에 별대마병(別隊馬兵)으로 급제한 풍경록(馮慶祿)이 보인다. 본관은 산동(山東), 거주지는 경(京)이고 부친은 훈련원봉사(訓鍊院奉事)를 지낸 풍익한(馮翊漢)이다.
  • 작성자
    zk********
    경로
    국역 증보문헌비고
    내용
    <병자별시문무과방목(丙子別試文武科榜目)>에 의하면, 1636년(인조 14)에 별시 무과에 우림위(羽林衛)로 급제한 동승헌(董承憲)이 보인다. 본관은 영천(永川), 거주지는 북청(北靑)이고 부친은 권관(權官)을 지낸 동응란(董應蘭)이다.

    <신묘별시문[무]과방목(辛卯別試文[武]科榜目)>에 의하면, 1651년(효종 2)에 별시 무과에 보인(保人)으로 급제한 동여훈(董汝勳)이 보인다. 본관은 함양(咸陽), 거주지는 장흥(長興)이고 부친은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른 동응춘(董應春)이고 서제(庶弟 : 아버지의 첩에게서 난 아우)로 동복남(董福男)이 있었다.

    <숙종32년병술정시별시문무과방목(肅宗三十二年丙戌庭試別試文武科榜目)>에 의하면, 1706년(숙종 32)에 정시 무과에 별마대(別馬隊)로 급제한 동자장(董自章)이 보인다. 본관은 충주(忠州), 거주지는 재령(載寧)이고 부친은 노직(老職)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른 동귀립(董貴立)이다.

    <정축정시문무과방목(丁丑庭試文武科榜目)>에 의하면, 1637년(인조 15)에 별시 무과에 겸사복(兼司僕)으로 급제한 동지성(董之成)이 보인다. 본관은 영천(永川), 거주지는 양근(楊根)이고 부친은 충순위(忠順衛)에 복무한 동유봉(董有鳳)이고 동생으로 동지원(董之元), 동지청(董之淸)이 있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