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축정시문무과방목(丁丑庭試文武科榜目)>에 의하면, 1637년(인조 15)에 별시 무과에 겸사복(兼司僕)으로 급제한 공계술(貢繼述)이 보인다. 본관은 인천(仁川), 거주지는 경(京)이고 부친은 학생(學生) 공대회(貢大檜)이다.
<정축정시문무과방목(丁丑庭試文武科榜目)>에 의하면, 1637년(인조 15)에 별시 무과에 수문장(守門將)으로 급제한 공애술(貢愛述)이 보인다. 본관은 인천(仁川), 거주지는 경(京)이고 부친은 학생(學生) 공대회(貢大檜)이다.
<임오별시방(壬午別試榜)>에 의하면, 1702년(숙종 28)에 별시 무과에 한량(閑良)으로 급제한 공우영(貢禹英)이 보인다. 본관은 인천(仁川), 거주지는 통진(通津)이고 부친은 사(使)를 지낸 공세기(貢世起)이고 형으로 공우제(貢禹濟), 공우석(貢禹錫)이 있었다.
<숭정3기사동원자탄강경과별시증광문무과전시방목(崇禎三己巳冬元子誕降慶科別試增廣文武科殿試榜目)>에 의하면, 1809년(순조 9)에 증광무과에 봉지(奉持)로 급제한 공준익(貢駿益)이 보인다. 본관은 인천(仁川), 거주지는 부평(富平)이고 부친은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오른 공취욱(貢就郁)이다.
<경술3월일사마방목(庚戌三月日司馬榜目)>에 의하면, 1610년(광해군 2)에 식년생원에 유학(幼學)으로 급제한 공신국(貢藎國)이 보인다. 본관은 인천(仁川), 거주지는 부평(富平)이고 부친은 돈용교위(敦勇校尉) 행충무위부사과(行忠武衛副司果)를 지낸 공은남(貢殷男)이다.
<가정13년갑오윤2월초2일생원진사방(嘉靖十三年甲午閏二月初二日生員進士榜)>에 의하면, 1534년(중종 29)에 식년진사에 유학(幼學)으로 급제한 공세영(貢世瑛)이 보인다. 본관과 거주지 모두 인천(仁川)이고 부친은 종사랑(從仕郞) 안성훈도(安城訓導)를 지낸 공호중(貢好中)이다.
<홍치9년병진윤3월초3일생원진사방(弘治九年丙辰閏三月初三日生員進士榜)>에 의하면, 1496년(연산군 2)에 식년생원에 공생(貢生)으로 급제한 공계우(貢繼禹)가 보인다. 본관은 미상, 거주지는 인천(仁川)이다.
위의 자료로 보건대, 광해군 대의 생원 공신국을 보는 본 책의 정보는 고증에 오류가 있어보인다. 공신국이 급제한 해보다 약 100년정도 앞서 진사시에 급제한 공세영이나 그의 부친 공호중을 문헌상의 시조로 보아야 맞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