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KDC - 철학 - 동양 철학, 사상
최신순
제목순
인기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북학의
박제가 저,이익성 역 | 을유문화사
조선 후기의 실학자(實學者)인 박제가(朴齊家:1750∼1805)가 청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시찰하고 돌아와서 쓴 기행문. 내편(內篇) 1권과 외편(外篇) 1권으로 필사본, 2권 1책입니다. 1778년(정조 2) 사은사(謝恩使) 채제공(蔡濟恭)의 수행원으로, 3개월의 청나라 여행 및 1개월 여의 연경 시찰로 그 동안 자신이 연구한 것과 연경에서 직접 본 경험적 사실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더해 쓴 북학론이 바로 이 책입니다.
#조선시대사
#실학
반계수록
유형원 저,북한사회과학원 고전연구소 역 | 여강출판사
17세기 실학의 거장 반계(磻溪) 유형원의 『반계수록』은 당시의 통치제도를 중심으로 정치, 경제, 문화에 대한 제반 개혁안을 체계화한 자료로, 특히 토지제도의 근본적인 개혁과 교육 및 관리 임용의 개혁을 매우 구체적으로 거론하며 국가 전반에 걸친 개혁사상을 논파하고 있습니다. 당대 현실에 대한 냉철한 분석과 비판을 가한 사회 개혁서로서 토지제도, 학교제도, 관리 임용, 군대 제도 등 사회 각 분야에 걸친 개혁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각 주제별로 중국과 한국의 사례를 모아 저자의 주장을 뒷받침한 고설(攷說)을 첨부하였습니다. 성호 이익, 다산 정약용 등 당대 지식인 학자에게 큰 영향을 미친 책으로 실학사상 연구의 핵심적인 저작입니다.
#조선시대사
#실학
담헌서
홍대용 저,북한사회과학원 고전연구소 역 | 여강출판사
18세기 이후 실학의 전개 방향을 가늠하고 당시의 생활상을 살필 수 있는 『담헌서』는 18세기 대표적 실학자 담헌 홍대용(洪大容)의 저술을 모은 15책의 문집입니다. 성리학의 본령인 심성(心性)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으로부터 세상을 경영하고 백성을 구하는 사회문제는 물론 천문관측 및 수학계산, 북경의 여행기와 중국인들과의 교유관계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의 사유와 다양한 경험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홍대용의 절친한 후배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이 규장각의 검서관으로 정조가 추진한 문화사업에 중요한 몫을 담당한 데서 짐작할 수 있듯이, 담헌서에 실린 사상은 18세기 후반 조선 사상계에 새바람을 일으키고 그 전개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조선시대사
지봉유설
이수광 저,남만성 역주 | 을유문화사
한국 최초의 백과사전적 저술인 『지봉유설』은 조선 중기 실학의 선구자 지봉(芝峰) 이수광이 세 차례에 걸친 중국 사신 행차 경험을 토대로 저술한 역작입니다. 조선은 물론 중국, 일본, 안남(安南:베트남), 유구(流球:오키나와), 섬라(暹羅:타이), 자바(爪凌), 말라카(滿刺加) 등 남양 제국과 멀리 프랑크(佛狼機), 잉글리시(永結利) 같은 유럽의 일까지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시 중국에 와있던 서양 선교사들과의 교유를 통해 동양을 넘어선 세계를 소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당대 지식인들의 지적탐구욕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입니다.
#조선시대사
#실학
경세유표
정약용 저,북한사회과학원 고전연구소 역 | 여강출판사
조선시대 대표적인 실학자 다산 정약용이 남긴 『경세유표』는 중앙행정제도와 개혁에 대한 연구서로 순한글 번역과 전문가의 치밀한 주석이 돋보이는 자료입니다. 경세유표는 행정기구 개편을 비롯하여 관제, 토지제도, 부세제도 등 당대 모든 제도의 개혁원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관제개혁과 부국강병에 대한 다산의 고민이 녹아 있는 저술로 다산의 정치·사회적 이념에 대한 이해는 물론 당시 실학자들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한 사회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조선 후기의 정치·사회·경제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전문연구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교양서로서도 충분히 실용성이 있습니다. 천관이조, 지관호조 등 육전 체제에 맞춘 각각의 개혁안을 두루 수록하였습니다.
#조선시대사
#다산 정약용
#실학
목민심서
정약용 저,다산연구회 역 | 창비
한국의 사회·경제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인 『목민심서』는 『경세유표』, 『흠흠신서』와 함께 다산 정약용의 3대 저서로 조선시대 실학의 정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수년간의 목민관 경험과 18년의 유배생활을 통해 다산이 체득한 당시 백성의 삶과 지방 행정의 바른 길이 제시되어 있어 전문역사연구자뿐만 아니라 사회 일반에도 오늘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교양서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사, 사회, 국문, 경제학 등 각 분야의 권위자들이 모인 <다산연구회>의 10여 년간의 공동연구 성과물로서 치밀하고 꼼꼼한 번역과 주석이 돋보이는 자료입니다.
#조선시대사
#다산 정약용
#실학
first
prev
6
7
8
9
next
last
KRpia 분류
역사∙지리
(490)
문학
(484)
예술
(447)
철학
(290)
사회과학
(49)
자연과학
(56)
문화
(114)
인물전집∙사전
(65)
KDC
총류
(8)
철학
(241)
철학
(11)
형이상학
(4)
철학의 체계
(1)
경학
(41)
동양 철학, 사상
(166)
서양철학
(4)
심리학
(7)
윤리학, 도덕철학
(7)
종교
(72)
사회과학
(130)
자연과학
(32)
기술과학
(39)
예술
(416)
언어
(21)
문학
(456)
역사
(47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