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KDC - 철학 - 심리학
최신순
제목순
인기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점법의 제왕) 주역占 : 누구나 역의 수를 읽어 내다
한국인 저 | 대원사
주역점은 점법(占法)의 제왕이다. 그 완성이 역수법에 있다. 그런 의미에서 역수법은 주역점의 완성을 돕는 도우미와도 같다. 이 책은 『매화역수』가 지닌 작괘의 한계를 주역점으로 극복했고, 주역점이 지닌 해석의 한계를 역수법으로 보완하여 주역점의 완성을 도모하였다.
#역학/천문학
의식의 기원 : 옛 인류는 신의 음성을 들을 수 있었다
줄리언 제인스 저 | 연암서가
이 책에서는 의식에 대한 기존의 여러 견해, 즉 의식이 물질의 속성이라거나 원형질의 속성이라거나, 혹은 경험·학습·추론·판단의 다른 이름이라는 견해는 물론, 의식을 인과적 영향력이 없는 단순한 부수현상으로 보는 견해가 모두 기각된다. 그 대신 인간의 옛 정신체계는 양원적(兩院的, Bicameral)이었다는 주장과 함께, 의식은 인류 역사의 한 특정 기점이었던 정신의 양원적 구조의 소멸 시기와 연계되어 있다는 다소 파격적인 주장을 편다. 그는 심리학·문학·인류학·철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끌어낸 논거들을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이러한 주장의 근거를 제시했다. 이 때문에 이 책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근본적인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그 영향력은 프로이트에 비견되며 20세기가 산출한 가장 의미 있는 학문적 성과로 꼽힌다. 고대 문헌을 분석하고, 고고학적 성과물을 분석하며 이상심리학적 증거들을 제시함으로써 옛 인류의 양원적 정신 역량은 ‘신의 음성’을 들을 수 있었다고 주장하는 대목에 이르면, 학자들의 학문적 관심을 넘어 세인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무의식이란 무엇인가
칼 G. 융 저 | 연암서가
모든 것을 표면적 인과관계로 축소시키는 프로이트의 유물론과 성욕 중심설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프로이트와 점차 거리를 두기 시작한 융은 성욕이란 의미로 한정되어 있던 리비도 개념을 보편적인 정신 에너지 개념으로 확장하면서 자신만의 고유한 이론 체계를 서서히 구축해나갔다. 프로이트와 완전히 결별한 뒤에는 억압된 욕망으로서의 무의식 배후에 인류의 공통적인 집단무의식이 있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인간 이해의 지평을 큰 폭으로 넓혀주었다. 이 책은 저자가 프로이트에서 독립하면서 자신만의 사상을 싹틔우기 시작한 바로 그 시기에 쓴 글들을 모아놓은 책이다. 안정적인 집단에서 떨어져 나와 자신만의 방향을 모색하던 시기에 쓴 글인 만큼, 이 책에 실린 글들에는 과도기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 있다. 대부분의 글이 프로이트의 이론을 자신만의 관점으로 요약, 비판한 뒤 대안을 제시하는 식으로 전개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글들을 단순한 연결고리 정도로 보아서는 안 된다. 이 글들에는 이미 융 심리학의 씨앗이 거의 다 담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심리
인식과 실존 : 언어철학, 그리고 시와 과학
박이문 저 | 미다스북스
『박이문 인문학 전집』의 출간 기획은 2014년부터 시작되었다. 박이문 선생과 부인 유영숙 여사의 격려와 지원을 통해 큰 힘을 손에 쥐고 출발했다. 전집의 목차 구성은 박이문 선생의 인문학적 저작을 주제별·시간대별로 분류한 결과물이다. 제5권 『인식과 실존』은 인간의 세상을 향한 인식과 삶을 살아가는 실존적 존재가 언어를 통해 만들어내는 시와 이성 등의 언어철학적 문제를 다룬 글들이다. 1부는 『인식과 실존』(1982)에서 다룬 해석학의 여러 문제를 다룬 글들이며, 2부는 1975년에 발간된 『시와 과학』으로 문학과 과학의 본질적인 차이를 철학적으로 명쾌하게 규명하면서 문학의 본질에 대한 체계적인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3부는 이성과 도덕성과 같은 인간의 품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4부는 언어를 매개로 한 시와 철학의 관계를 파헤친 글들이다.
#한국철학
#인문학
#박이문
국역 영첨(國譯 靈籤)
이정섭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전통문화의 올바른 계승과 우리 민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국민속문헌자료』를 집대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그 성과물의 하나로 점복서 연구에 귀중한 자료인 『국역 영첨』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1첨에서 100첨까지의 내용이 수록된 『영첨』은 다른 점복서와는 달리 점괘를 풀이하고 또 예전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면서 사람들에게 점괘풀이보다 권선징악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예컨대, 아무리 좋은 점괘가 나왔다 하더라도 적선을 해야 복을 누리며, 설사 나쁜 점괘가 나왔다 하더라도 적선하고 근신하면 재앙을 면할 수 있다는 식으로 사람에게 권선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점복은 인간의 지능으로 예측할 수 없는 미래사나 미지의 일을 주술의 힘을 빌려 추리 내지는 판단하고자 하는 행위로, 인류생활과 함께 병행되어왔습니다. 최근 일간신문지마다 일일운세가 있는 것도 점복과 무관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점복관련 희귀문헌인 『국역 영첨』이 학문적 연구가 미비한 점복연구에 유익한 자료가 되었으면 합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조선시대사
#역학/천문학
[원전총서] 천지서상지 : 당 제국의 국가제사와 의례
김용천 저,김용천 저 | 예문서원
『천지서상지』는 그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하늘과 땅 사이에서 일어나는 각종 상서로운 현상들을 기록한 책이다.
이 책은 내용상으로 볼 때도 천문·지리·역법 등과 관련된 부분이 전체의 1/3을 차지할 만큼 음양오행·천문역법의 전문적인 유서이다. 특히 권20에는 맹서와 더불어 봉선·교 등 주로 국가제사를 항목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아 중국의 선진시대 이래 당 고종시대까지 유가경전의 제사의식에 대한 관념과 그 해석사의 흐름, 나아가 실제 각 시대의 의례규정의 변화를 파악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동양철학
[동양문화산책 3] 일본인의 성(性)
히구치 기요유키 저,히구치 기요유키 저 | 예문서원
『일본인의 성』은 일본인의 성에 대한 집착에 가까운 그러면서도 자연스러우며 본능적인 것을 본능적인 것으로 인정하는 개방성을 드러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성이라고 하면 늘 베일에 씌우고 음지의 이야기로 치부하지만 이 책은 우리문화와는 다른 성관련보고서의 성격을 취한다.
『일본인의 성』을 통해 솔직한 일본의 성문화를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동양철학
#일본
KRpia 분류
역사∙지리
(490)
문학
(484)
예술
(447)
철학
(290)
사회과학
(49)
자연과학
(56)
문화
(114)
인물전집∙사전
(65)
KDC
총류
(8)
철학
(241)
철학
(11)
형이상학
(4)
철학의 체계
(1)
경학
(41)
동양 철학, 사상
(166)
서양철학
(4)
심리학
(7)
윤리학, 도덕철학
(7)
종교
(72)
사회과학
(130)
자연과학
(32)
기술과학
(39)
예술
(416)
언어
(21)
문학
(456)
역사
(47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