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KRpia 분류 - 역사∙지리 - 고려시대
최신순
제목순
인기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속)고려묘지명집성(개정증보판)
김용선 | 김용선
묘지명(墓誌銘)은 무덤 옆에 파묻는 돌이나 도판(陶板)에 죽은 이의 이름, 신분, 행적 등을 기록한 글로서 묘명(墓銘) 또는 지석(誌石)이라고도 불립니다. 묘지명은 사자(死者)의 일생, 그 인물이 산 시대상,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사학 연구 자료로서 귀중한 가치를 가진 자료입니다. 『(속)고려묘지명집성』개정증보판에는 묘지명 34점에 대한 원문 판독문, 역주가 딸린 해석문과 더불어 방대한 고려 시대 관련 원전을 연구해 발췌한 해제도 함께 수록되어 있습니다.
#고려시대사
제정집(霽亭集)
이달충(李達衷) 저자 | 누리미디어
《제정집(霽亭集)》은 고려 말 제정(霽亭) 이달충(李達衷)의 文集인 《霽亭集》을 校勘ㆍ標點한 것이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고려시대사
#한국고전문학
근재집(謹齋集)
안축(安軸) 저자 | 누리미디어
《근재집(謹齋集)》은 고려 말 근재(謹齋) 안축(安軸)의 文集인 《謹齋集》을 校勘ㆍ標點한 것이다. 문집에는 사대부로서 관료 생활을 하면서 보고 느낀 백성의 참담한 현실을 고발하고, 그것을 구제해야 하는 자신의 직무에 대한 책임감과 이를 완수하기 위한 고민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 수록되어 있는가 하면, 산수에 대한 남다른 관심과 빼어난 감식안을 바탕으로 지은 관동(關東) 유람시(遊覽詩) 등도 있고, 〈한림별곡(翰林別曲)〉 이후 100여 년간 창작되지 않았던 경기체가(景幾體歌)에 관심을 기울여 지은 〈관동별곡(關東別曲)〉과 〈죽계별곡(竹溪別曲)〉도 수록되어 있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고려시대사
#한국고전문학
인재유고(麟齋遺稿)
이종학(李種學) 저자 | 누리미디어
《인재유고(麟齋遺稿)》는 고려 말 문신 인재(麟齋) 이종학(李種學)의 文集인 《麟齋遺稿》를 校勘ㆍ標點한 것이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고려시대사
#한국고전문학
담암일집(淡庵逸集)
백문보(白文寶) 저자 | 누리미디어
《담암일집(淡庵逸集)》은 고려 시대 담암(淡庵) 백문보(白文寶, 1303~1374)의 文集인 《淡庵逸集》을 校勘ㆍ標點한 것이다. 성정(性情)을 중시하고 전려(典麗)의 미(美)를 추구한 백문보의 문학세계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고려시대사
#한국고전문학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김종서(金宗瑞) 등 | 누리미디어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는 고려 시대 역사를 편년체(編年體)로 정리한 사서(史書)이다. 세종 6년(1424)에 윤회(尹淮)에 의해 편찬되었던 편년체의 고려사(高麗史)인 《수교고려사》를 개수(改修)한 것으로, 문종 2년(1452)에 김종서(金宗瑞) 등에 의하여 편찬되었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고려시대사
고려도경(高麗圖經)
서긍(徐兢) 저자 | 누리미디어
《고려도경(高麗圖經)》은 송(宋) 나라 서긍(徐兢)이 지은 책으로,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을 줄여서 부르는 이름이다. 고려 인종 1년(1123)에 송 휘종(宋徽宗)의 명에 따라 사신으로 파견된 서긍이 한달 남짓 개성(開城)에 머물면서 보고 들은 내용을 송 나라에 돌아가 편찬한 것이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고려시대사
매호유고(梅湖遺稿)
진화(陳澕) 저자 | 누리미디어
《매호유고(梅湖遺稿)》는 고려 말 문신 매호(梅湖) 진화(陳澕)의 文集인 《梅湖遺稿》를 校勘ㆍ標點한 것이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고려시대사
#한국고전문학
야은일고(壄隱逸稿)
전녹생(田綠生) 저자 | 누리미디어
《야은일고(壄隱逸稿)》는 고려 말기의 명신 전녹생(田祿生, 1318~1375)의 시문집인 《壄隱逸稿》을 校勘ㆍ標點한 것이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고려시대사
#한국고전문학
급암시집(及菴詩集)
민사평(閔思平) 저자 | 누리미디어
《급암시집(及菴詩集)》은 고려 말 급암(及菴) 민사평(閔思平)의 文集인 《及菴詩集》을 標點ㆍ校勘한 것이다. 그의 시에는 당대 현실에 대한 비판이나 개혁 의지를 표출한 작품도 있고 풍류와 개성을 드러내는 작품도 있는데 모두 담담하면서도 천연의 정취와 풍부한 의미를 지닌 묘품(妙品)으로 평가받는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고려시대사
#한국고전문학
변안열 평전
이성무 저 | 글항아리
대은 변안열은 최영·이성계 등과 함께 황산대첩에서 활약하던 고려 말 무인이었다. 그러나 조선 건국에 반대하고 고려를 지키려 했다는 이유로 김저의 난에 휘말려 한양 부윤 김백흥에 의해서 참혹한 죽음을 맞고 만다. 함께 절개를 지키다 살해당했던 정몽주가 충신의 대명사로 추앙받은 것과 달리 변안열은 이후 『고려사』 「간신열전」에 수록되며, 지금까지도 많은 이에게 조선 건국을 방해한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대은 변안열, 그는 정말로 간신이었던 것일까? 역사는 언제나 승자의 것이니, 어쩌면 변안열은 조선을 건국한 세력들에 의해 억울하게 희생당한 충신이 아니었을까? 이성무는 이 사라진 영웅에게 빛을 비추어 생명을 불어넣는다. 변안열의 생애는 물론, 그의 시조부터 후예까지 세세하게 더듬어가는 작업은 그에게 붙여진 ‘간신’이라는 칭호에 대해 강력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 평전은 단지 한 무신의 명예회복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역사라는 거대한 페이지를 쓸 수 있는 펜을 쥔 자는 언제나 권력자뿐이다. 저자는 권력다툼에 밀려 억울하게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진 인물들의 존재가 있다는 것을, 여말 선초의 역사에서 지워지고 왜곡된 인물이 본격적으로 재평가되어야 함을 우리에게 다시금 일깨워주고 있다.
#고려시대사
한국금석문집성 17 : 고려1 비문1
임세권 저,이우태 편저 |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금석문집성』제17권은 高麗의 碑文을 수록하였다. 해설편과 도록편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해설편 해제에는 간략한 설명과 함께 원문과 번역문을 싣고, 참고문헌을 제시하였으며, 도록은 탁본이미지를 수록하였다
#고려시대사
#금석문
한국금석문집성 18 : 고려2 비문2
임세권 저,이우태 편저 |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금석문집성』제18권은 麗의 碑文을 수록하였다. 해설편과 도록편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해설편 해제에는 간략한 설명과 함께 원문과 번역문을 싣고, 참고문헌을 제시하였으며, 도록은 탁본이미지를 수록하였다
#고려시대사
#금석문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최연식 저 |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금석문집성』제19권은 高麗의 碑文을 수록하였다. 해설편과 도록편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해설편 해제에는 간략한 설명과 함께 원문과 번역문을 싣고, 참고문헌을 제시하였으며, 도록은 탁본이미지를 수록하였다
#고려시대사
#금석문
한국금석문집성 20 : 고려4 비문4
임세권 저,이우태 편저 |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금석문집성』제20권은 高麗의 碑文을 수록하였다. 해설편과 도록편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해설편 해제에는 간략한 설명과 함께 원문과 번역문을 싣고, 참고문헌을 제시하였으며, 도록은 탁본이미지를 수록하였다
#고려시대사
#금석문
한국금석문집성 21 : 고려5 비문5
임세권 저,이우태 편저 |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금석문집성』제21권은 高麗의 碑文을 수록하였다. 해설편과 도록편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해설편 해제에는 간략한 설명과 함께 원문과 번역문을 싣고, 참고문헌을 제시하였으며, 도록은 탁본이미지를 수록하였다
#고려시대사
#금석문
한국금석문집성 23 : 고려7 비문7
최연식 저 |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금석문집성』제23권은 高麗 碑文을 수록하였다. 해설편과 도록편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해설편 해제에는 간략한 설명과 함께 원문과 번역문을 싣고, 참고문헌을 제시하였으며, 도록은 탁본이미지를 수록하였다
#고려시대사
#금석문
한국금석문집성 24 : 고려8 비문8
조명제 저 |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금석문집성』제24권은 高麗 碑文을 수록하였다. 해설편과 도록편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해설편 해제에는 간략한 설명과 함께 원문과 번역문을 싣고, 참고문헌을 제시하였으며, 도록은 탁본이미지를 수록하였다
#고려시대사
#금석문
한국금석문집성 25 : 고려9 비문9
조명제 저 |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금석문집성』제25권은 高麗 碑文을 수록하였다. 해설편과 도록편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해설편 해제에는 간략한 설명과 함께 원문과 번역문을 싣고, 참고문헌을 제시하였으며, 도록은 탁본이미지를 수록하였다
#고려시대사
#금석문
한국금석문집성 27 : 고려11 비문11
최연식 저 |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금석문집성』제27권은 高麗 碑文을 수록하였다. 해설편과 도록편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해설편 해제에는 간략한 설명과 함께 원문과 번역문을 싣고, 참고문헌을 제시하였으며, 도록은 탁본이미지를 수록하였다
#고려시대사
#금석문
first
prev
1
2
next
last
KRpia 분류
역사∙지리
(490)
역사일반
(76)
통사
(36)
고대
(35)
고려시대
(31)
조선시대
(106)
근현대
(129)
중국사
(29)
지리
(48)
문학
(484)
예술
(447)
철학
(290)
사회과학
(49)
자연과학
(56)
문화
(114)
인물전집∙사전
(65)
KDC
총류
(8)
철학
(241)
종교
(72)
사회과학
(130)
자연과학
(32)
기술과학
(39)
예술
(416)
언어
(21)
문학
(456)
역사
(47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