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KRpia 분류 - 역사∙지리 - 지리
최신순
제목순
인기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문화재 이야기 여행 천연기념물 100선
문화재청 활용정책과 저 | 문화재청
문화재청에서는 문화유산의 가치 재창출 및 대중의 이해확산을 위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권역별 문화유산 이야기자원 수집에 힘써왔습니다. 2015년부터는 문화재 유형별로 이야기자원을 발굴·정리하기로 하였으며, 이 책은 그 첫 번째 결과물입니다. 「문화재 이야기 여행 천연기념물 100선」은 문화재 유형 중에서도 기존에 발굴된 이야기 사례가 비교적 적고 사라질 위험성이 높은 천연기념물 중에서 100건을 선정하여 관련 이야기자원을 ‘식물’, ‘동물’, ‘지질’, ‘천연보호구역’으로 분류하여 한데 모은 책입니다. - 〈펴내는 글〉 중에서 -
#문화재
고서화 고문헌 등에 나타난 명승자원 발굴조사 : 서울·인천·경기·강원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저 | 문화재청
본 조사 연구는 명승 자원에 접근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이 분야에 주로 기여해왔던 조경학과 지리학 외에 한문학과 회화 연구를 아우르는 학제적 접근을 시도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앞으로 명승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그 성과를 인문·사회과학 전반으로 확산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나아가 명승이 갖는 인문적·문화적 가치를 보다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오늘날 널리 요구되는 ‘경관을 매개로 한 스토리텔링’을 위한 토대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Ⅰ. 조사 목적 및 필요성 중에서 -
#명승
#발굴조사
문화재대관 천연기념물·명승 Ⅰ : 동물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저 |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대관에는 우리나라 방방곡곡의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담고 있습니다. 천연기념물과 명승은 가까이는 고향 마을의 어귀에 있는 당산목부터, 바다 건너 제주도와 러시아 대륙을 오가는 황새에 이르기까지 식물·동물·지질·경승지 등 어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소중한 자연유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천연기념물 대관은 자연유산에 대한 문화재청의 현재와 미래의 의지를 담았습니다.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알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 책을 펼치는 모든 분들이 자연유산의 발굴과 보존에 동참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문화재
#명승
고서화 고문헌 등에 나타난 명승자원 발굴조사 : 충남·충북·대전·전남·전북·광주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저 | 문화재청
본 조사 연구는 명승 자원에 접근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이 분야에 주로 기여해왔던 조경학과 지리학 외에 한문학과 회화 연구를 아우르는 학제적 접근을 시도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앞으로 명승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그 성과를 인문·사회과학 전반으로 확산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나아가 명승이 갖는 인문적·문화적 가치를 보다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오늘날 널리 요구되는 ‘경관을 매개로 한 스토리텔링’을 위한 토대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Ⅰ. 조사 목적 및 필요성 중에서 -
#명승
#발굴조사
문화재대관 천연기념물·명승 Ⅱ : 식물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저 |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대관에는 우리나라 방방곡곡의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담고 있습니다. 천연기념물과 명승은 가까이는 고향 마을의 어귀에 있는 당산목부터, 바다 건너 제주도와 러시아 대륙을 오가는 황새에 이르기까지 식물·동물·지질·경승지 등 어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소중한 자연유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천연기념물 대관은 자연유산에 대한 문화재청의 현재와 미래의 의지를 담았습니다.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알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 책을 펼치는 모든 분들이 자연유산의 발굴과 보존에 동참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문화재
#명승
문화재대관 천연기념물·명승 Ⅲ : 지형·지질 : 명승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저 |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대관에는 우리나라 방방곡곡의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담고 있습니다. 천연기념물과 명승은 가까이는 고향 마을의 어귀에 있는 당산목부터, 바다 건너 제주도와 러시아 대륙을 오가는 황새에 이르기까지 식물·동물·지질·경승지 등 어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소중한 자연유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천연기념물 대관은 자연유산에 대한 문화재청의 현재와 미래의 의지를 담았습니다.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알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 책을 펼치는 모든 분들이 자연유산의 발굴과 보존에 동참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문화재
#명승
고서화 고문헌 등에 나타난 명승자원 발굴조사 : 경남·부산·울산·경북·대구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저 | 문화재청
본 조사 연구는 명승 자원에 접근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이 분야에 주로 기여해왔던 조경학과 지리학 외에 한문학과 회화 연구를 아우르는 학제적 접근을 시도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앞으로 명승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그 성과를 인문·사회과학 전반으로 확산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나아가 명승이 갖는 인문적·문화적 가치를 보다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오늘날 널리 요구되는 ‘경관을 매개로 한 스토리텔링’을 위한 토대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Ⅰ. 조사 목적 및 필요성 중에서 -
#명승
#발굴조사
그곳이 사라지고 그곳이 살아나고 - 인문지리로 읽는 우리 주변의 장소들
천종호 저 | 역사비평사
이 책은 2011년 5월부터 2014년 9월까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웹진 민연民硏’에 연재되었던 지역 칼럼들을 모아서 주제별로 묶은 뒤 일부 내용은 추가하고 새로 다듬은 것이다. 연재할 당시에는 매달 정신없이 칼럼을 썼기 때문에 각 소주제들을 큰 범주에 넣어 분류했던 것은 아니다. 그런데 책을 만들려고 보니 이 소주제들은 몇 개의 대주제로 묶어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책은 그러한 분류에 따라 전체적으로 4부로 구성했다. 1부는 산, 강, 평야, 해안, 숲, 농어촌 등 우리 국토의 자연과 그 자연을 바탕으로 형성된 마을에 관한 내용이다. 2부는 성곽, 왕릉과 묘지, 향교와 서원, 궁궐, 역사의 현장 등 역사적인 무게와 사연이 깃든 유적과 장소에 관한 내용이다. 3부는 공장, 탄광, 항만, 군부대, 옛 사회기반시설 등 그동안 우리가 숨 가쁘고 치열하게 달려왔던 산업화 시대와 냉전 시대의 흔적 및 그 변화가 나타나는 장소들에 관한 이야기이며, 4부는 고도성장의 결과로 도시에 나타난 주택, 교통 시설, 학교, 상점, 문화 여가 시설 등에 관한 이야기다. 특히 4부
에서 주목하는 장소는 도시화의 이력이 드러나는 곳으로서 국민 대다수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곳이기도 하다. - 책을 펴내며 중에서 -
#지리
전주한옥마을
이병천 저,채병선 저,최상철 저,이흥재 사진,조영호 사진 | 대원사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전주한옥마을에 살아 온 고결한 선비와 역사의 인물들을 만날 수 있으며, 우리 전통 문화가 살아 숨쉬는 문화 현장을 생생한 사진과 함께 만나 볼 수 있을 것이다. 또 이 책은 가보고 싶은 곳 ‘전주한옥마을’을 방문할 때 전주한옥마을을 이해하고 느끼기에 아주 유용할 것이다.
#지리
순천만
김인철 저,장채열 저,이돈기 사진 | 대원사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는 여수반도와 고흥반도가 에워싸고 있는 거꾸로 놓인 항아리 모양의 내만(內灣) 순천만. 잘 보전된 강 하구와 갯벌의 원형을 간직한 순천만은 가장 한국적인 풍경을 보여 주는 곳이다.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41호 람사르 습지 순천만은 희귀 조류 흑두루미, 검은머리갈매기, 알락꼬리마도요 등 철새들의 서식처이기도 하며, 염습지에서 서식하는 칠면초 등 염생식물과 짱뚱어를 비롯한 갯벌 생물의 서식처이기도 하다. 특히 갯벌에 펼쳐져 있는 크고 작은 원형 갈대 군락지는 순천만의 환경 보호 역할은 물론 우리에게 신비로운 자연 경관을 보여 준다. 또,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41호로 지정되기까지 순천시와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역사가 고스란히 기록된 책이기도 하다. 이 책은 신비한 풍광을 간직하고 있는 순천만을 둘러보고 감상하기에 가장 좋은 길잡이이다.
#지리
한강
이형석 저,김주환 저,이홍배 사진,송일봉 사진 | 대원사
한강의 이름, 규모, 역사, 지질과 지형, 발원지, 문화 유적과 설화 등을 중심으로 꾸몄다. 작은 한 권의 책으로 한강의 모든 분야를 살필 수는 없으나, 한강과 관련된 기초적이고도 개략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다. 한강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로서의 몫은 물론 1차적 교육 자료가 되도록 한 것이 이 책의 기획 의도이다.
#지리
한국의 호수
김추윤 저,손재식 사진 | 대원사
인간 생활과 밀접한 공존 관계를 유지해 온 호수에 대한 정의, 명칭, 분포와 종류, 나아가서 호수에서 얻어지는 자원 그리고 남북한 자연 호수에 대한 풍광과 특성 등을 설명하고 있으며, 해당 호수의 시원한 경관을 사진으로 보여 줌으로써 이해를 돕고 있다.
#지리
안동 하회마을
임재해 저,김수남 사진 | 대원사
안동 하회 마을'은 우리나라 민족 문화의 한 전형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 마을이다. 이 책에서는 하회 마을의 빼어난 지리적 형상과 역사, 양반과 민중의 대립적 전통, 풍산 류씨 문중과 건물들, 별신굿탈놀이에 이르기까지 마을 구석구석 살아 숨쉬는 민족 문화의 실체를 사진과 함께 찬찬히 훑어볼 수 있다.
#지리
#안동
풍수지리
김광언 저,김광언 사진 | 대원사
집터나 마을터에 관련된 풍수의 유형과 지역적인 차이 그리고 우리가 풍수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해왔는지를 컬러 사진과 함께 엮었다.
북한산
박인식 저,안승일 사진 | 대원사
산 시리즈 첫번째 책의 주인공인 북한산은 늘 우리 곁에, 특히 도심 한가운데에 있는 가까운 산이기에 그 산의 참모습을 간과하기가 쉽다. 그런 뜻에서 바위 하나하나에 깃든 의미, 북한산의 역사와 지리 등을 꼼꼼하게 짚어 보고 그 아름다운 경치를 사진으로 보여 줌으로써 북한산의 진정한 참모습을 볼 수 있게 한다.
#지리
지리산
최화수 저,김근원 사진 | 대원사
지리산의 역사와 지리, 등산로까지 생생한 사진과 함께 살펴볼 수 있다.
#지리
한라산
현길언 저,고길홍 사진 | 대원사
남한에서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하나밖에 없는 사화산(死火山)인 한라산. 제주도 사람들의 삶과 역사를 말 없이 지켜 보아 온 한라산의 구석구석을 다니면서 그 역사에서부터 자연 지리 곧 온대·한대·아열대에 걸친 모든 식물, 단풍과 눈꽃을 보여 주고 아울러 제주 사람들의 한과 삶을 조망해 본다.
#지리
설악산
손경석 저,성동규 사진 | 대원사
설악산이라는 이름의 유래, 계곡이나 폭포 등의 자연 지리적 경관, 생태계의 여러 요소들이 어울려 빚어 낸 경관의 아름다움을 사진과 함께 소개한다.
#지리
속리산
박원식 저,김상훈 사진 | 대원사
작은 금강산으로 불리는 속리산은 세속을 여윈 산이란 그 이름에서부터 우리에게 신비감을 불러일으킨다. 오르기에 어렵지 않은 산이기에 오래 전부터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아 온 속리산의 모습과 생태, 산에 얽힌 사화와 설화, 유물 들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다. 소박한 이야기와 속리산의 사계 풍경이 아름답게 어우러져 있어 보는 것만으로도 즐거운 책이다.
#지리
울릉도
박기성 저,심병우 사진 | 대원사
울릉도의 자연과 그 곳의 삶을 생생하게 보여 주고 교통편과 숙박 시설도 자세히 소개하였다. 울릉도의 풍경이 살아있는 심병우의 사진을 덧붙였다.
#지리
first
prev
1
2
3
next
last
KRpia 분류
역사∙지리
(490)
역사일반
(76)
통사
(36)
고대
(35)
고려시대
(31)
조선시대
(106)
근현대
(129)
중국사
(29)
지리
(48)
문학
(484)
예술
(447)
철학
(290)
사회과학
(49)
자연과학
(56)
문화
(114)
인물전집∙사전
(65)
KDC
총류
(8)
철학
(241)
종교
(72)
사회과학
(130)
자연과학
(32)
기술과학
(39)
예술
(416)
언어
(21)
문학
(456)
역사
(47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