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KRpia 분류 - 역사∙지리
최신순
제목순
인기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인재집(寅齋集)
신개(申槩) 저자 | 누리미디어
《인재집(寅齋集)》은 신개의 후손 신현국(申鉉國), 신우균(申佑均) 등이 《동문선(東文選)》과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등에서 신개의 시문을 수집한 후, 여기에 집안에서 보관하여 온 〈연보(年譜)〉와 〈묘표(墓表)〉 등을 붙여서 4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한국고전문학
해행총재(海行摠載)
정몽주(鄭夢周) 등 저자 | 누리미디어
《해행총재(海行摠載)》는 일본을 왕래하는 여러 통신사(通信使)의 일기(日記)를 모아 편집한 책이다. 말하자면 고려 말(高麗末)에서 조선(朝鮮) 시대에 걸친 우리나라 대일(對日) 외교 사신들의 생생한 기록집(記錄集)이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일본사
#연행록
형재시집(亨齋詩集)
이직(李稷) 저자 | 누리미디어
《형재시집(亨齋詩集)》은 고려 말, 조선 초에 활동한 형재(亨齋) 이직(李稷, 1362~1431)의 文集인 《亨齋詩集》을 校勘ㆍ標點한 것이다. 이직의 시는 문학사적으로 조선 전기 관각문학(館閣文學)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한국고전문학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
사직서(社稷署) 저자 | 누리미디어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는 1783년(정조7) 正祖의 命으로 編纂되어 1804년(순조4) 1차 增補되고 1842년(헌종8) 2차 增補된 《社稷署儀軌》를 校勘ㆍ標點한 것으로 조선시대 사직단(社稷壇)의 시설현황, 각종 의식의 식례(式例)ㆍ의절(儀節) 및 사실(史實) 등을 기록하고 있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정조
대산집(大山集)
이상정(李象靖) 저자 | 누리미디어
《대산집(大山集)》은 조선 시대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의 文集인 《大山集》을 標點ㆍ校勘한 것이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한국고전문학
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
교정청(景慕宮) 저자 | 누리미디어
《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는 朝鮮 正祖 때 思悼世子(1735~1762)의 사당인 景慕宮 관련 기록과 제사 의식을 정리하여 펴낸 《景慕宮儀軌》를 校勘ㆍ標點한 것이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정조
은대조례(銀臺條例)
고종 명편(高宗 命編) 저자 | 누리미디어
《은대조례(銀臺條例)》는 조선 시대 승정원(承政院)의 연혁과 조직, 담당 업무의 수행 절차 및 관련 규정 등을 종합한 일종의 업무 지침서이다. ‘은대(銀臺)’는 승정원의 별칭으로, 황제에게 올리는 글과 각종 공문을 관리한 중국 송(宋)나라 문하성(門下省)의 은대사(銀臺司)에서 유래하며, ‘조례(條例)’는 법제화된 국왕의 명령을 말한다. 각 관서 및 신료가 개별적인 사안에 대해 국왕으로부터 받은 명령을 수교(受敎)라고 하는데, 개별적ㆍ구체적 수교가 일반적인 법조문이 되면 조례, 조령(條令), 조건(條件) 등으로 일컫는다. 따라서 ‘은대조례’는 ‘국왕의 명령으로 제정된 승정원의 규정’이라는 뜻으로 볼 수 있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승정원
반계수록(磻溪隨錄)
유형원(柳馨遠) 저자 | 누리미디어
《반계수록(磻溪隨錄)》은 조선 후기 학자 유형원(柳馨遠)이 체계적으로 기술한 당대의 정치ㆍ경제ㆍ문화 개혁안에 대해 설명한 책이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실학
송당집(松堂集)
조준(趙浚) 저자 | 누리미디어
《송당집(松堂集)》은 趙浚의 文集인 《松堂集》을 校勘ㆍ標點한 것으로 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송당집》은 송당의 문학적 재능이 시를 중심으로 발현되었음을 보여 주는데, 시 작품 가운데 송당이 가장 주력한 양식은 칠언절구인 것으로 보인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한국고전문학
기측체의(氣測體義)
최한기(崔漢綺) 저자 | 누리미디어
《기측체의(氣測體義)》는 조선 후기의 학자 최한기(崔漢綺 1803(순조3) ~ 1879(고종16))가 사물에 대한 사고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해야 한다는 것을 인간의 신체를 분석하여 비유한 책이다. <신기통(神氣通)>, <추측록(推測錄)>, <명남루수록(明南樓隨錄)>을 합쳐 《기측체의》라고 하였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한국철학
우서(迂書)
유수원(柳壽垣) 저자 | 누리미디어
《우서(迂書)》는 조선 후기 실학자 농암(聾庵) 유수원(柳壽垣 1694(숙종20) ~ 1755(영조31))이 부국안민(富國安民)을 위한 방안을 기술한 책이다. 중국 사마광(司馬光)의 《우서》와 같은 문답체나, 그 체재는 정연한 논문 형식으로서 서론 6항목, 본론 69항목, 결론 2항목으로 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 실학 및 사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실학
용헌집(容軒集)
이원(李原) 저자 | 누리미디어
《용헌집(容軒集)》은 고려 말 조선 초 용헌(容軒) 이원(李原, 1368~1429)의 문집인 《용헌집(容軒集)》을 校勘ㆍ標點한 것이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한국고전문학
삼탄집(三灘集)
이승소(李承召) 저자 | 누리미디어
《삼탄집(三灘集)》은 조선 초기인 세종에서 성종 대에 이르는 동안 황해도 해주(海州) 출신으로 우리나라 문학사에서 뚜렷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삼탄 이승소(李承召, 1422~1484)의 시문을 모은 《삼탄집》을 標點ㆍ校勘한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한국고전문학
사변록(思辨錄)
박세당(朴世堂) 저자 | 누리미디어
《사변록(思辨錄)》은 조선 숙종 때의 실학자(實學者) 박세당(朴世堂))의 저서로, 주자의 경의(經義)에 반기를 들고 경서를 독자적으로 해석하여 당시 정계와 학계에 큰 물의를 일으켰고, 결국 사문난적(斯門亂敵)으로 몰리는 화를 입었다. 경직된 학문 풍토 속에서 독창적인 견해를 펼친 대표적인 책으로 한국 사상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실학
#한국철학
변례집요(邊例集要)
예조 전객사(禮曹 典客司) 저자 | 누리미디어
《변례집요(邊例集要)》는 그 제목의 뜻을 유추해 보면, ‘변방에 관한 사례를 요약하여 모은 책’이라는 의미이다. 그런데 여기서 변방이란 주로 일본과의 관계를 가리키며, 사례는 조선 후기 일본과 교린 관계를 지속하면서 발생한 모든 사항을 포괄한다. 즉 시기적으로 보면 1599년(선조32) 1월부터 1841년(헌종7) 2월까지의 사례를 수록하고 있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일본사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이규경(李圭景) 저자 | 누리미디어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는 조선 후기 실학파의 박학다식(博學多識) 사조(思潮)의 대표자인 오주(五洲) 이규경이 중국과 우리 나라의 고금의 각종 사물을 비롯하여 경전ㆍ역사ㆍ문물 제도ㆍ시문 등 소위 경전과 명물도수(名物度數) 전반에 걸쳐 변증을 가한 백과전서적인 저술서로 오늘날의 과학적이고 계몽적인 학문 방법에 다소 접근되는 조선 후기 실학파의 실사구시(實事求是)적인 측면을 볼 수 있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실학
산림경제(山林經濟)
홍만선(洪萬選) 저자 | 누리미디어
《산림경제(山林經濟)》는 조선 숙종 때 실학자 유암(流巖) 홍만선(洪萬選 1643(인조21) ~ 1715(숙종41))이 지은 농서(農書)이자 생활 백과 성격의 책으로, 농림, 축산, 잠업을 망라하였고 농촌 생활에 관련된 주택ㆍ건강ㆍ의료ㆍ취미ㆍ흉년 대비책 등에 이르기까지 기술하고 있어, 당시의 농업 기술 수준, 농가 생활의 모습, 실학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실학
명의록(明義錄)
김치인(金致仁) 등 저자 | 누리미디어
《명의록(明義錄)》은 정조 즉위 직후, 정조의 명으로 편찬된 책이다. 영조의 뜻과 달리, 정조의 대리청정 및 즉위를 막으려 하였으며 즉위 후에는 정조 시해 음모를 실행에까지 옮긴 정치 집단들의 죄상을 명백하게 밝혀 일반인들에게 공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인 책으로 일종의 군주를 위한 당론서(黨論書)에 해당한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정조
대동야승(大東野乘)
성현(成俔) 등 저자 | 누리미디어
《대동야승(大東野乘)》은 조선시대의 패관(稗官) 문학서(文學書)로 여러 사람들이 편술한 59종의 야사(野史), 일화(逸話), 소화(笑話), 만록(漫錄), 수필(隨筆) 등을 모은 조선 시대 책으로 당쟁과 관계 깊은 사화(士禍)나ㆍ옥사(獄事)에 대한 기록이나 임진왜란이나ㆍ병자호란에 관한 기록물은 역사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며, 인물이나 풍속에 관한 재미난 이야기들이 풍부하여 문화 자료로서 활용도가 높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조선시대사
#한국고전문학
제정집(霽亭集)
이달충(李達衷) 저자 | 누리미디어
《제정집(霽亭集)》은 고려 말 제정(霽亭) 이달충(李達衷)의 文集인 《霽亭集》을 校勘ㆍ標點한 것이다. ※ 본 DB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자료를 공공정보로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고려시대사
#한국고전문학
first
prev
1
2
3
4
5
next
last
KRpia 분류
역사∙지리
(490)
역사일반
(76)
통사
(36)
고대
(35)
고려시대
(31)
조선시대
(106)
근현대
(129)
중국사
(29)
지리
(48)
문학
(484)
예술
(447)
철학
(290)
사회과학
(49)
자연과학
(56)
문화
(114)
인물전집∙사전
(65)
KDC
총류
(8)
철학
(241)
종교
(72)
사회과학
(130)
자연과학
(32)
기술과학
(39)
예술
(416)
언어
(21)
문학
(456)
역사
(47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