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KRpia 분류 - 문학 - 문학일반
최신순
제목순
인기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금오신화 전등신화 : 사랑과 죽음, 꿈과 현실의 이중주
김시습 저 | 미다스북스
「동아시아 고전 엮어 읽기」 『금오신화·전등신화』. 한국의 고전 〈금오신화〉와 중국의 고전 〈전등신화〉를 엮어서 읽는다. 〈전등신화〉에 수록된 21편 중 5편을 선별하여 〈금오신화〉에 수록된 5편과 함께 다루고 있다. 멋스럽고 고풍스럽고 환상적이고 우아하면서도 은유와 상징이 가득한 동아시아 고전을 만끽하면서, 사랑과 죽음, 꿈과 현실의 이중주를 듣게 된다. 중국 태생의 일러스트레이터 사술복의 그림을 담아 〈전등신화〉와 〈금오신화〉에 생동감을 부여하고 있다.
#동양고전문학
문학의 해부 : 문학을 보는 열다섯 개의 시선
김한식 저 | 미다스북스
일반인들이 문학을 접할 기회가 그리 많지 않은 까닭에 문학에 대해 본격적으로 고민하는 일이 사치처럼 되어버린 현실 속에서, 저자는 문학의 활동은 개별의 작품을 자세히 읽는 정도에 그쳐서는 안 되며, 각각의 작품을 넘어서는 인간 정신의 정수를 만나야 한다고 설파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책은 출발한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문학의 존재 방식과 존재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고, 그러면서도 문학의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작품을 골라보고자 노력한다. 저자는 문학을 주제에 따라 분석하려고 했기 때문에 양식을 나누고 그 안에 작품을 배치하는 기존의 문학론과는 다른 목차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저자는 작품 자체의 완결성이나 작가적 영감 등을 애써 강조하지는 않는다. 작가나 시인의 이력도 자세히 언급하지 않는다. 문학은 작품으로 존재하지만 작품의 안과 밖에는 그것보다 큰 세계가 존재한다는 것이 저자의 견해이다. 그래서 작품의 정서와 일상의 정서를, 작품 내의 갈등과 세계 내의 갈등을 연결시켜 분석하였다. 문학이 역사 등의 다른 학문과 맺는 관계도 염두에 두었다. 문학만이 독특한 자신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만이다. 저자의 견해로 보면, 문학은 다양한 인간 활동의 하나이며 그런 한에서 문학은 현재 존재하는 모습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이다.
#문학이론
(강헌국 문학평론집) 활자들의 뒷면 : 현대 소설과 시에 대한 사유의 기록
강헌국 저 | 미다스북스
이 책은 저자가 지금까지 연구해온 서사문법의 이론틀에 입각하여 문학논문과 비평문을 수록하고 있다. 1부는 소설에 대한 읽기이며 작가론과 작품론으로 이루어져 있고, 2부는 시인론과 시작품론으로 구성되었다. 저자는 이 책에서 활자들의 앞면만이 아니라 뒷면, 나아가 활자와 활자가 서로 엮여 만들어내는 새로운 의미망에 대한 탐색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심도 깊은 작품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문학이론
고문진보
황견 편저,이장우 역,우재호 역,박세욱 역 | 을유문화사
『고문진보』는 주(周)나라 때부터 송(宋)나라 때에 이르는 고시(古詩)ㆍ고문(古文)의 주옥편(珠玉篇)을 모아 엮은 '옛날 글 가운데 참된 보물만 모아둔' 책입니다. 전집(前集), 후집(後集) 각 10권으로 되어 있으며, 편자인 황견(黃堅)과 편찬 경위 등에 대하여서는 분명하지 않으나, 송나라 말기에서 원(元)나라 초기에 걸친 시기의 편저임은 확실합니다.
전집은 〈권학문(勸學文)〉을 비롯하여 소박하고 고아한 고시를 주로 수록하였으며, 후집은 산문인 17체의 명문을 실었습니다.
'고문진보’는 중국인에 의하여 중국인의 글을 모은 것이라는 한계성으로 인하여 비판적 견해가 있으나 변문을 억제하고 고문을 숭상하던 기조에 편승하여 초학들에게 널리 익힌 도서의 하나였습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알맞게 산증되었다는 점과 이 책에 대한 각종 주석, 그리고 언해본·현토본 등이 있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조선시대 문장학의 학습용도서로서 폭넓게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퇴계 이황은 “시를 공부하기 위해 보통 600번씩이나 읽으면서 암송하는데, 나는 200번을 읽고 암송하게 되었고, 그 뒤로 한결 시를 쉽게 지을 수 있었다”고 할 정도로 시를 공부하는 데 있어서 교과서의 역할을 해온 귀중한 고전 입니다.
#동양고전문학
한국서지
모리스 꾸랑 저,이희재 역 | 일조각
1894~1896년 프랑스의 서지학자 M.쿠랑이 고려시대의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에서 한말의 『한성순보(漢城旬報)』에 이르는 3,821종의 도서를 총 9부로 나누어 정리한 책. 저자는 단순한 서명목록이 아닌 저술의 내용을 분석하고 저작 간행의 상황과 저자와 관계된 중요한 사건들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문학의 두드러진 특징을 터득하였습니다. 그는 이 책에서 대영박물관에서 본 『감지금니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紺紙金尼大方廣圓覺修陀羅了義經)』과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紺紙金尼大方廣佛華嚴經)』은 뛰어난 작품이라고 소개하였습니다. 이 밖에 이들 서적들을 통하여 한국문화 전반을 서론(序論)에서 자세히 소개함으로써 우리 문화의 우수한 점을 세계에 알렸습니다.
first
prev
16
17
next
last
KRpia 분류
역사∙지리
(490)
문학
(484)
문학일반
(325)
시
(16)
소설
(63)
에세이
(9)
가사
(5)
희곡
(3)
문집
(63)
예술
(447)
철학
(290)
사회과학
(49)
자연과학
(56)
문화
(114)
인물전집∙사전
(65)
KDC
총류
(8)
철학
(241)
종교
(72)
사회과학
(130)
자연과학
(32)
기술과학
(39)
예술
(416)
언어
(21)
문학
(456)
역사
(47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