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KRpia 분류 - 문학 - 소설
최신순
제목순
인기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중세에서 현대까지 독일 고전 명작들과 함께 하는) 독일 명작 기행
홍성광 저 | 연암서가
이 책은 독일 문학의 여러 명작을 중심으로 문학 전공자는 물론이고 문학 애호가, 명작 수업을 듣는 학생 및 일반 독자들이 읽을 만한 작품들을 선별해서 되도록 상세히 소개, 분석하고 해설, 평가했다. 독일의 고전작가인 요한 볼프강 폰 괴테와 프리드리히 실러, 20세기의 세 거장 토마스 만, 헤르만 헤세, 프란츠 카프카를 비롯하여 현대의 인기 작가인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하인리히 뵐, 페터 한트케, 파트리크 쥐스킨트,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작품들을 다루었다. 그리고 문학 작품은 아니어도 토마스 만, 헤르만 헤세, 프란츠 카프카에게 큰 영향을 끼친 아르투어 쇼펜하우어와 프리드리히 니체의 저서도 아울러 소개했다. 독일 문학은 철학, 특히 쇼펜하우어나 니체의 철학을 바탕에 깔고 있는 경우가 많다.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에는 니체의 이름이 직접 거론되어 있고,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 처음에 니체의 영원회귀에 대한 단상으로 시작하고 있다. 그리고 카프카의 작품에서 ‘법’이나 ‘성’은 안으로 들어가거나 닿을 수 없는 의지나 무의식으로 볼 수도 있는데 그 단초는 의외로 쇼펜하우어에게서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법’이나 ‘성’은 외적 차원에서 보면 오늘날 안정된 정규직의 알레고리로도 읽을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독일 문학은 난해하고 지루한 감이 없지 않지만 지적 흥미를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우리의 도전의식을 자극하기도 한다.
#서양문학
#문학이론
화문록(花門錄) 上
문화재관리국 장서각 저 | 문화재청
이 작품은 일부다처로 기인하는 가정의 비극을 표현한 쟁총형(爭寵型) 가정소설의 주제를 띠고 있는 소설이다. 간악한 제2부인 호씨가 선량한 제1부인인 이씨를 모해하는 것은 “사씨남정기”와 같으나, 끝에 가서 이부인이 그렇게 자기를 죽이려고 하였던 호부인을 용서하고, 산사에 숨어있는 것을 사람을 보내어 데려와 남편을 움직여 가까이하게 하여 가정의 평화를 되찾게 하는데에, 이 작품의 특색이 있다. 요컨데 권선징악이란 고전소설의 공통적인 주제를 구현하는 데만 그치고 말았으나, 플로트의 전개에 있어서도 독창적인 참신한 사건들을 결구해 놓았고, 사건의 비극성을 실감이 있게 표현해 놓은 가작이다. - 〈해제〉 중에서 -
#한국고전문학
쌍천기봉(雙釧奇逢) 中
문화재관리국 장서각 저 | 문화재청
이조후기에 이르러 이땅에서는 士의 개념에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士란 상우왕공(上友王公)이요 하열농공(下列農工)이라던 말은 집권권에서 탈락된 일부 사류(士類)에 있어서는 이미 지난날의 한낱 추억거리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이들 士들은 실제로 피지배 대중인 농·공·상의 계층에 가까와져 있었고 때문에 이들은 또 그들 나름대로의 새로운 세계의 구축이라는 꿈 다시말하면 이상향적 구도라는 새 씨앗을 마련하고 있었던 것이다. 때문에 이들은 행렬이나 연령의 순차에 의해 요직과 이권이 분배되던 벌열의 세도라는 모순적인 보수성에서 탈피하고 참신하고 역량있는 젊은 세대로 짜여진 새로운 지도계층을 갈망하였던 것이다. 이 작품에서 요직들이 젊은 계층으로 메꾸어지게 된 것도 사실은 그러한 결과의 산물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렇게 볼 때 이조후기의 장편소설에 나타나고 있는 지도계층의 소장화(小壯化)는 실로 이조의 후기사회인들 일각에서 염원하던 그들의 Utopia적 구도의 일환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이 작품은 우리에게 다음의 몇 가지를 말해 준다. 첫째:이 작품은 아직 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고는 있으나 이조후기에 나타나게 된 주부 연작의 희귀한 대하소설이다. 둘째:이 작품은 이조후기의 사회가 족벌이나 척신들에 의해 전천되었던 정치적, 사회적 모순에 조용한 반성과 강력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세째:이 작품은 지난날의 연로한 인물들에 의해 운영되어온 이른바 노인왕구에 대해 반발하고 참신하고 역량있는 소장지도계층을 내세워 이들로 하여금 그들이 그리는 이상향을 구축하고 싶어하고 있다. 이러한 해역이 가능하다면 이 작품은 우리의 문학사에서 뺄 수 없는 귀중한 유산이 아닐 수 없다. - 〈쌍천기봉 해제〉 중에서 -
#한국고전문학
쌍천기봉(雙釧奇逢) 下
문화재관리국 장서각 저 | 문화재청
이조후기에 이르러 이땅에서는 士의 개념에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士란 상우왕공(上友王公)이요 하열농공(下列農工)이라던 말은 집권권에서 탈락된 일부 사류(士類)에 있어서는 이미 지난날의 한낱 추억거리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이들 士들은 실제로 피지배 대중인 농·공·상의 계층에 가까와져 있었고 때문에 이들은 또 그들 나름대로의 새로운 세계의 구축이라는 꿈 다시말하면 이상향적 구도라는 새 씨앗을 마련하고 있었던 것이다. 때문에 이들은 행렬이나 연령의 순차에 의해 요직과 이권이 분배되던 벌열의 세도라는 모순적인 보수성에서 탈피하고 참신하고 역량있는 젊은 세대로 짜여진 새로운 지도계층을 갈망하였던 것이다. 이 작품에서 요직들이 젊은 계층으로 메꾸어지게 된 것도 사실은 그러한 결과의 산물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렇게 볼 때 이조후기의 장편소설에 나타나고 있는 지도계층의 소장화(小壯化)는 실로 이조의 후기사회인들 일각에서 염원하던 그들의 Utopia적 구도의 일환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이 작품은 우리에게 다음의 몇 가지를 말해 준다. 첫째:이 작품은 아직 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고는 있으나 이조후기에 나타나게 된 주부 연작의 희귀한 대하소설이다. 둘째:이 작품은 이조후기의 사회가 족벌이나 척신들에 의해 전천되었던 정치적, 사회적 모순에 조용한 반성과 강력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세째:이 작품은 지난날의 연로한 인물들에 의해 운영되어온 이른바 노인왕구에 대해 반발하고 참신하고 역량있는 소장지도계층을 내세워 이들로 하여금 그들이 그리는 이상향을 구축하고 싶어하고 있다. 이러한 해역이 가능하다면 이 작품은 우리의 문학사에서 뺄 수 없는 귀중한 유산이 아닐 수 없다. - 〈쌍천기봉 해제〉 중에서 -
#한국고전문학
화문록(花門錄) 下
문화재관리국 장서각 저 | 문화재청
이 작품은 일부다처로 기인하는 가정의 비극을 표현한 쟁총형(爭寵型) 가정소설의 주제를 띠고 있는 소설이다. 간악한 제2부인 호씨가 선량한 제1부인인 이씨를 모해하는 것은 “사씨남정기”와 같으나, 끝에 가서 이부인이 그렇게 자기를 죽이려고 하였던 호부인을 용서하고, 산사에 숨어있는 것을 사람을 보내어 데려와 남편을 움직여 가까이하게 하여 가정의 평화를 되찾게 하는데에, 이 작품의 특색이 있다. 요컨데 권선징악이란 고전소설의 공통적인 주제를 구현하는 데만 그치고 말았으나, 플로트의 전개에 있어서도 독창적인 참신한 사건들을 결구해 놓았고, 사건의 비극성을 실감이 있게 표현해 놓은 가작이다. - 〈해제〉 중에서 -
#한국고전문학
쌍천기봉(雙釧奇逢) 上
문화재관리국 장서각 저 | 문화재청
이조후기에 이르러 이땅에서는 士의 개념에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士란 상우왕공(上友王公)이요 하열농공(下列農工)이라던 말은 집권권에서 탈락된 일부 사류(士類)에 있어서는 이미 지난날의 한낱 추억거리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이들 士들은 실제로 피지배 대중인 농·공·상의 계층에 가까와져 있었고 때문에 이들은 또 그들 나름대로의 새로운 세계의 구축이라는 꿈 다시말하면 이상향적 구도라는 새 씨앗을 마련하고 있었던 것이다. 때문에 이들은 행렬이나 연령의 순차에 의해 요직과 이권이 분배되던 벌열의 세도라는 모순적인 보수성에서 탈피하고 참신하고 역량있는 젊은 세대로 짜여진 새로운 지도계층을 갈망하였던 것이다. 이 작품에서 요직들이 젊은 계층으로 메꾸어지게 된 것도 사실은 그러한 결과의 산물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렇게 볼 때 이조후기의 장편소설에 나타나고 있는 지도계층의 소장화(小壯化)는 실로 이조의 후기사회인들 일각에서 염원하던 그들의 Utopia적 구도의 일환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이 작품은 우리에게 다음의 몇 가지를 말해 준다. 첫째:이 작품은 아직 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고는 있으나 이조후기에 나타나게 된 주부 연작의 희귀한 대하소설이다. 둘째:이 작품은 이조후기의 사회가 족벌이나 척신들에 의해 전천되었던 정치적, 사회적 모순에 조용한 반성과 강력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세째:이 작품은 지난날의 연로한 인물들에 의해 운영되어온 이른바 노인왕구에 대해 반발하고 참신하고 역량있는 소장지도계층을 내세워 이들로 하여금 그들이 그리는 이상향을 구축하고 싶어하고 있다. 이러한 해역이 가능하다면 이 작품은 우리의 문학사에서 뺄 수 없는 귀중한 유산이 아닐 수 없다. - 〈쌍천기봉 해제〉 중에서 -
#한국고전문학
춘향전
설성경 역주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의 고전을 보다 넓고 깊게 읽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대본은 완판본 「열녀춘향수절가」와 파리 동양어학교본 「남원고사」를 사용하였다. 「춘향전」은 판소리 「춘향가」에 그 원류를 두고 있다. 판소리 「춘향가」의 문학적 측면인 사설을 차용하여 기록한, 소설화 작업의 결과로, 작자가 불분명하다. 17세기 말쯤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국고전문학
심청전
정하영 역주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의 고전을 보다 넓고 깊게 읽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심청전」은 조선 후기 작성된 국문소설로, 작자와 저작 시기가 불분명한 작품이다. 「심청전」은 오랜 옛날의 설화를 소재의 원천으로 삼아 구전 전승 과정을 거침으로써, 이야기의 뼈대가 마련되었다. 대체적인 줄거리가 만들어진 후에, 조선 후이 영?정조 때를 전후하여, 기록 소설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본 제품의 경우 대본은 경판본 「심쳥젼」, 완판본 「심쳥젼」, 여규형본 「잡극 심청왕후전」, 이해조 개작 「강상련」을 사용하였다.
#한국고전문학
육미당기
장효현 역주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의 고전을 보다 넓고 깊게 읽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육미당기」는 장편 한문소설로, 서유영이 창작하였다. 「육미당기」는 신라를 배경으로 하여, 실존했던 왕 소성왕의 아들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이야기를 전개하였다. 서유영은 서문에서, 기존에 성행했던 소설을 여러 편 절충하여 지리번쇄한 것을 덜어내고 신어를 보태어 「육미당기」를 지었음을 밝혔다. 대본은 서울대도서관 가람문고본 한문본을 사용하였으며, 번역문을 앞에 제시하고 원문은 하단에 배치하였다.
#한국고전문학
일반무가
김헌선 역주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의 고전을 보다 넓고 깊게 읽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일반무가」는 현대 번역문 없이 원문만을 수록하였으나, 주석을 자세하게 기재하여 이해하기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본 제품에서는, 오산 지역에서 채록된 이종만과 이용우의 마달, 서울 지역에서 채록된 배경재의 말미, 시흥 지역에서 채록된 하영운의 마달, 정문연 소장본 「무가집」, 조동일 소장본 「굿거리책」, 김선풍 소장의 태백지역 무가를 수록하였다.
#한국고전문학
금방울전ㆍ김원전ㆍ남윤전ㆍ당태종전ㆍ이화전ㆍ최랑전
박용식 역주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의 고전을 보다 넓고 깊게 읽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대본 「금방울전」은 대영박물관 소장 28장본을, 「김원전」은 파리 동양대학교 소장본을, 「남윤전」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을, 「당태종전」은 김도욱 소장 경판 26장본을, 「이화전」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을, 「최랑전」은 이수봉 소장본을 각각 사용하였다. 번역문과 원문을 모두 수록하여 대조하며 이해하기에 편리하도록 구성하였다. 원문은 짝수면에, 번역문은 홀수면에 수록하여, 상호 참조에 유리하도록 하였다. 한문본의 경우에는 번역문을 상단에, 원문을 하단에 수록하였다.
#한국고전문학
목은집
이병혁 역주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의 고전을 보다 넓고 깊게 읽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목은집」은 목은 이색의 시문집이다. 본 제품에는 시고 35권, 문고 20권을 실었으며 부록을 따로 붙여 수록하였다. 대본은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1973년에 영인한 「목은집」을 사용하였다. 번역문을 앞에 제시하고 뒤에 원문을 배치하여, 참조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국고전문학
#고려시대사
박씨전ㆍ임장군전ㆍ배시황전
김기현 역주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의 고전을 보다 넓고 깊게 읽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대본의 경우, 「명월부인전」은 손낙범본을, 「박씨전」은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을, 「임장군전」은 경판 27장본을, 「배시황전」은 국립도서관 소장본을 각각 사용하였다. 주석 표제어는, 원문의 표기가 한문일 경우에는한글로, 한글일 경우에는 한글과 원문을 같이 병기하였다. 한글과 원문을 같이 병기하는 경우에는 원문의 한글표기가 아닌 현대표기로 수록하였다.
#한국고전문학
시조 Ⅰ
김대행 역주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의 고전을 보다 넓고 깊게 읽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원전과 현대역을 동시 수록하여 연구와 감상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시조 Ⅰ」은 시조가 문학사에 등장하기 시작한 시기부터 16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의 작품 중, 작자가 알려진 작품을 수록하였다. 총 180여 명의 작품 850 수를 시대순으로 담고 있으며, 현대역은 원전의 뜻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쉽지 풀어 우리말의 문학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하였다.
#한국고전문학
시조 Ⅱ
박을수 역주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의 고전을 보다 넓고 깊게 읽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시조 Ⅱ」에서는 17세기 중엽부터 19세기 중엽 중 작자가 알려진 작품을, 시대순으로 배열하였다. 110명의 작품 981수를 수록하고 있다. 작품 내 번역문은 원전의 뜻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쉽게 풀어 제공하였다. 작품의 원문 표기는 「악학습령」을 따랐으며, 그 이외의 작품은 수록문헌을 밝혔다. 윤선도의 작품의 경우에는 본 모습을 유지하기 위해, 원전의 표기를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한국고전문학
흥부전ㆍ변강쇠가
김태준 역주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의 고전을 보다 넓고 깊게 읽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대본으로 각각 「흥부전」은 경판 25장본과 신재효본을, 「변강쇠가」는 신재효본을 사용하였다. 홀수면에 번역문을 수록하고, 짝수면에 원전을 제시하여 상호 참조에 유리하도록 구성하였다.
#한국고전문학
시조 Ⅲ
진동혁 역주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의 고전을 보다 넓고 깊게 읽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본 제품에서는, 총 787수의 시조를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후반까지 생존했던 작가의 시조에 대한 현대 번역문과 주석을 함께 수록하였다. 번역문을 앞에, 원문을 뒤에 배치하여 상호 참조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수록 작품의 경우, 연시조를 제외하고 작자별로 묶어 가나다순으로 배열하였다.
#한국고전문학
삼한습유
조혜란 역주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의 고전을 보다 넓고 깊게 읽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본 제품은 1814년에 김소행(金紹行)이 쓴 한문장편소설 「삼한습유(三韓拾遺)」를 번역하고 주석한 것으로, 번역은 서울대 일반도서관본을 영인한 필사본 고전소설전집 1에 수록된 것을 대본으로 삼았다. 제품 내 소제목의 경우, 원문에는 없으나 이해를 돕기 위해 번역 과정에서 추가 수록하였다.
#한국고전문학
서사무가 Ⅰ
서대석 역주,박경신 역주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의 고전을 보다 넓고 깊게 읽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본 제품에서는 어느 한 지역에 편재되어 전승되는 자료를 수록하였다. 전국적 전승 분포를 보이는 자료는 <서사무가Ⅰ>로 엮었다. 전체 해제에서는 제품에 수록된 서사무가 각 유형의 특징과 무속신화로서의 성격을 개괄적으로 풀이하였고, 수록된 각편 해설에서는 채록자와 발표지 및 각편으로서의 특징을 언급하여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어려운 한자는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주에서 자세하게 풀이하여 이용 편리성을 높였다.
#한국고전문학
서사무가 Ⅱ
서대석 역주,박경신 역주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고, 우리의 고전을 보다 넓고 깊게 읽어 섭취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본 제품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본토의 서사무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국적 전승 분포를 보이는 자료는 서사무가 Ⅰ에, 어느 특정 한 지역에 편재되어 전승되는 자료는 서사무가 Ⅱ에 수록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하였다. 본문 내 표기는 채록자가 정리한 원문의 표기를 그대로 수록하였으나, 방언의 의미가 표준어와 달라서 이해가 어려운 부분은 주석에서 표준어 표기로 고쳐 수록하였다.
#한국고전문학
first
prev
1
2
3
4
next
last
KRpia 분류
역사∙지리
(490)
문학
(484)
문학일반
(325)
시
(16)
소설
(63)
에세이
(9)
가사
(5)
희곡
(3)
문집
(63)
예술
(447)
철학
(290)
사회과학
(49)
자연과학
(56)
문화
(114)
인물전집∙사전
(65)
KDC
총류
(8)
철학
(241)
종교
(72)
사회과학
(130)
자연과학
(32)
기술과학
(39)
예술
(416)
언어
(21)
문학
(456)
역사
(47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