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KRpia 분류 - 문학 - 문집
최신순
제목순
인기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조선시대 개인일기 4 : 충청·강원·전라·경남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일상에서 일어나는 신변잡기를 기록한 조선시대 개인일기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과 같은 관찬사료에서 찾을 수 없는 자잘한 시대상을 보여주고 있어 공적인 기록에서 누락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가치가 있습니다. 올해는 지역별 조사연구 마지막 해로 충청·강원·전라·경남 지역 개인일기의 현황을 조사하여 170여건의 일기 가운데 27건의 일기를 선별하여 해제하였습니다. 기본적인 서지사항과 함께 저자의 생애, 일기의 구성과 체제, 내용과 가치 등을 정리하고 해당 일기별 사진을 수록하여 가독성을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 〈펴내는 글〉 중에서 -
#조선시대사
#일기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총서] 강영일기(岡營日記)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강영일기(岡營日記)』는 황해 병사 황해병마절도사 심능준(沈能俊)이 헌종 8년(1842) 부임할 때부터 헌종 10년(1844) 4월 체임될 때까지의 공식적인 활동을 기록한 일기이다. 『강영일기(岡營日記)』는 황해 병사의 공식적인 임명과 활동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이다. 이외에도 부임 당시 헌종의 비 효현왕후가 승하하여 관인들이 국상을 치르는 절차나 복식 등도 살펴볼 수 있고, 여가에 타령 打詠 한마당을 듣는 대목도 있어 민간자료로도 흥미롭다. 아울러 이 일기의 주인공인 심능준의 연대기 자료와 비교하여 고찰하면 19세기 초기 무관의 관직업무를 살펴볼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해제 중에서 -
#일기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총서] 동북안사록(東北按使錄)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동북안사록』은 심수〔沈鏽, 숙종 33년(1707)~영조 52년(1776)〕가 강원도와 함경도의 관찰사를 지내면서 도내(道內)를 순력(巡歷)할 때 그 노정(路程)을 기록한 일기이다. 『동북안사록』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필사본으로 전체 1책이고 표지까지 총 80쪽이며, 10행 22자이다. 5쪽부터 57쪽까지는 강원도 관찰사 때의 기록이고, 61쪽부터 77쪽까지는 함경도 관찰사 때의 기록이다. 함경도 순력은 「북행일록(北行日錄)」과 「북순일기(北巡日記)」의 제목이 붙어 있다. 『동북안사록』은 관찰사 임기 중의 모든 일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도내(道內)를 순력(巡歷)할 때의 노정을 간략히 기록한 일기이다. 또한 공식적인 노정과 관찰사를 찾아온 사람들에 대한 기록뿐 아니라, 개인적인 기록, 즉 가족이나 지인들이 찾아오거나, 공무 중 금강산 유람을 하면서 느낀 감회, 그리고 기생들에게 풍악을 잡게 한 일 등까지도 기록하였다. 하지만 순력 중에 있었던 공적인 일들, 곧 해당 고을 수령의 근무 평가에 대한 내용은 전무하며, 백성들의 생활 형편 등도 몇몇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기록되어 있지 않다. - 해제 중에서 -
#일기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개인일기 1 : 대구·경북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조선시대 개인 일기는 이런 일반 성격 밖에도 ‘집안의 대·소사를 처리해 나가는 절차’, ‘외국 사행과정에서의 견문’, ‘전쟁 등 특정 사건에 대한 기억’, ‘건물의 영·중건’, ‘문집 간행’, ‘묘소를 옮기는 천장遷葬’ 등 전해둬야 할 내용을 기록한 특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동산문화재 학술조사연구 사업으로 조선시대 일기자료 현황을 파악 공유하고, 중요일기의 해제를 통해 국가지정 검토 대상 문화재를 확보하고자 다년간의 추진계획을 세웠습니다. 올해 그 첫 보고서로 『조선시대 개인 일기 - 대구·경북』편을 펴냅니다. - 〈펴내는 글〉 중에서 -
#조선시대사
#일기
충무공유사 : 국역·영인 합본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 저 | 문화재청
현충사에 유물관에 보관·전시되어 있는 국보 76호 난중일기, 임진장초, 서간첩 등은 모두 일찍이 국역되어 일반에게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과 함께 보존되어 왔으며 ″재조번방지초(再造藩邦志抄)″라는 표제로 그 내용이 일부 전문가 사이에서만 그 동안 알려져 왔던 충무공유사(忠武公遺事)는 지난 2006년에야 현충사에서 초서전문가인 노승석씨에게 의뢰, 국역을 완료하였는바 이제 국역·영인 합본으로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모쪼록 본 책자가 충무공 연구에 관심 있는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어 충무공 선양에 기여하기를 기대합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조선시대사
#이순신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총서] 관동일기(關東日記)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관동일기(關東日記)』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홍명일 洪命一, 선조 36년(1603)~효종 2년(1651) 이 인조 26년(1648) 4월 17일부터 같은 해 8월 1일까지 약 4개월 남짓 강원도 관찰사로 재직하며 그 업무와 일상을 기록한 일기이다. 이 일기는 짧은 재임 기간의 기록임에도 불구하고, 단순하게 무미건조한 공식 기록만 있는 것이 아니라 기행문, 수필 같은 요소를 갖추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아기자기한 내용들을 곁들이고 있다. - 해제 중에서 -
#일기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총서] 금영일기(錦營日記)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금영일기(錦營日記)』는 경주부윤으로 재직 중이던 심이지 沈頤之, 영조 11년(1735)~정조 20년(1796) 가 정조 4년(1780) 3월 27일에 홍충도(洪忠道) 관찰사로 임명되면서 기록한 내용이다. 금영은 충청도 관찰사가 근무하는 감영을 달리 일컫는 말이다. 임명되는 과정을 서술한데 이어 관내를 순시하는 등의 일정을 기록하였고, 9월 27일 충주의 포수 이시춘(李時春)의 승호(陞戶) 과정에서 발견된 부정이 문제가 되어 파직이 결정된 이후, 새로 관찰사로 임명된 홍병찬(洪秉纘)과 교대하고 10월 12일까지 서울로 들어가는 과정을 기록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하고 있다. - 해제 중에서 -
#일기
#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개인일기 2 : 인천·경기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동산문화재 학술조사연구 사업으로 조선시대 개인 일기 자료에 대한 전국적인 현황을 파악하여 소개하고, 그 가운데 중요한 일기에 대한 해제를 통하여 관련 연구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올해는 2015년도의 『조선시대 개인 일기 1 - 대구·경북』에 이어서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지역의 일기 현황을 담은 두 번째 보고서인 『조선시대 개인 일기 2 - 인천·경기』를 펴내게 되었습니다. - 〈펴내는 글〉 중에서 -
#조선시대사
#일기
나도향 문학전집 2
나도향 저 | 누리미디어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 작품을 작가별로 묶은 제품으로, 국내 주요 문인들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나도향 문학전집2』에서는, 1920년대의 사회적 분위기를 고스란히 작품 속에 담아 내었던 작가, 나도향의 작품을 소개합니다. 대표적인 수록 자료로는 '벙어리 삼룡이 (1925)', '사랑고개 (1925)' 등이 있습니다.
#한국근현대문학
계용묵 문학전집 2
계용묵 저 | 누리미디어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 작품을 작가별로 묶은 제품으로, 국내 주요 문인들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1900년대를 대표하는 작가인 '계용묵'은 인간의 순수성을 주로 다뤘으며 순수 문학을 지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계용묵 문학전집 2』에는 '거울 (1974)', '고절(苦節) (1935)', '금단(禁斷) (1946)', '마부(馬夫) (1939)', '목가(牧歌) (1935)' 등을 수록하였습니다.
#한국근현대문학
고한승 문학전집
고한승 저 | 누리미디어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 작품을 작가별로 묶은 제품으로, 국내 주요 문인들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아동문학가인 '고한승'은 소년운동 및 동화창작과 구연에 힘쓴 작가입니다. 『고한승 문학전집』에서는 '나 몰라의 죽음 (미상)', '5인 동무 (미상)', '국기소녀 (미상)', '귤 익는 남쪽나라 제주도 이야기 (미상)', '까마귀와 공작새 (미상)' 등 그의 주요 문학 작품을 수록하였습니다.
#한국근현대문학
권환 문학전집 1
권환 저 | 누리미디어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 작품을 작가별로 묶은 제품으로, 국내 주요 문인들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시인이자 평론가였던 '권환'은 정치투쟁과 순수서정 지향성의 두 가지 측면에 중점을 둔 작품 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권환 문학전집 1』에서는 '원망 (미상)', '자화상 (미상)', '가등(街燈) (1943)', '가랴거든 가거라 (1930)', '가을 (1943)' 등의 작품을 수록하였습니다.
#한국근현대문학
김남천 문학전집 2
김남천 저 | 누리미디어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 작품을 작가별로 묶은 제품으로, 국내 주요 문인들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김남천'은 1930년대 초부터 창작활동을 시작했으며 시사적인 사항을 평론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김남천 문학전집 2』에서는 '경영 (1940)', '공장신문 (1931)', '대하 (1939)' 작품을 수록하였습니다.
#한국근현대문학
김남천 문학전집 5
김남천 저 | 누리미디어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 작품을 작가별로 묶은 제품으로, 국내 주요 문인들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김남천'은 1930년대 초부터 창작활동을 시작했으며 시사적인 사항을 평론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김남천 문학전집 5』에서는 '명일에 기대하는 인간타입-소설가의 입장에서 (1940)', '모던 문예사전 (1939)', '모랄의 확립 (1938)', '문단과 신체제-전환기와 작가 (1941)', '문예가 협회에 대하여 (1935)' 등의 작품을 수록하였습니다.
#한국근현대문학
김내성 문학전집 3
김내성 저 | 누리미디어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 작품을 작가별로 묶은 제품으로, 국내 주요 문인들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한국 근대 탐정소설계의 독보적인 인물이었던 '김내성'은 1940~50년대에 주로 작품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그는 치밀한 사건구조를 바탕으로 대중적 관점에서 인간사를 서술하고자 했습니다. 『김내성 문학전집 3』에서는 '실락원의 별(상) (1957)' 작품을 수록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의 탁월한 문장 실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근현대문학
김동인 문학전집 6
김동인 저 | 누리미디어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 작품을 작가별로 묶은 제품으로, 국내 주요 문인들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김동인'은 간결한 문체로 대표되는 한국의 근현대 작가입니다. 그는 사실주의 기법에 입각하여 서술했으며, 작품 속의 인물을 '그'로 지칭하는 등 당시 한국 문학계에서 익숙하지 않았던 방식을 사용하여 내용을 전개하였습니다. 『김동인 문학전집 6』에서는 '1933년 문단총결산 - 소설계의 동향 (1933)', '내가 본 시인 주요한군 (1929)', '내가본 시인 김소월군을 논함 (1929)', '문단 30년의 자취 (1948)', '문예가협회에 대하여 (1935)' 등의 작품을 수록하였습니다.
#한국근현대문학
김남천 문학전집 4
김남천 저 | 누리미디어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 작품을 작가별로 묶은 제품으로, 국내 주요 문인들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김남천'은 1930년대 초부터 창작활동을 시작했으며 시사적인 사항을 평론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김남천 문학전집 4』에서는 '[삼일운동(三一運動)] 발(跋) (1947)', '[소년행(少年行)] 서언(序言) (1947)', '[인문평론] 1940년 10월호 ‘신인특집’ 유항림 부호 추천사', '[고리오옹] 과 부성애 · 기타 (1939)', '[비판]과 나의 십년 (1939)' 등의 작품을 수록하였습니다.
#한국근현대문학
김남천 문학전집 7
김남천 저 | 누리미디어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 작품을 작가별로 묶은 제품으로, 국내 주요 문인들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김남천'은 1930년대 초부터 창작활동을 시작했으며 시사적인 사항을 평론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김남천 문학전집 7』에서는 '창작과정에 대한 감상 (1935)', '창작방법에 있어서의 전환의 문제 (1934)', '창작방법의 신(新) 국면 (1937)', '창작여묵 (1939)', '창작의 태도와 실제-당면과제의 인식 (1934)' 등의 작품을 수록하였습니다.
#한국근현대문학
김내성 문학전집 1
김내성 저 | 누리미디어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 작품을 작가별로 묶은 제품으로, 국내 주요 문인들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한국 근대 탐정소설계의 독보적인 인물이었던 '김내성'은 1940~50년대에 주로 작품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그는 치밀한 사건구조를 바탕으로 대중적 관점에서 인간사를 서술하고자 했습니다. 『김내성 문학전집 1』에서는 '마인(1948)' 이라는 작품을 수록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의 탁월한 문장 실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근현대문학
김내성 문학전집 6
김내성 저 | 누리미디어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 작품을 작가별로 묶은 제품으로, 국내 주요 문인들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한국 근대 탐정소설계의 독보적인 인물이었던 '김내성'은 1940~50년대에 주로 작품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그는 치밀한 사건구조를 바탕으로 대중적 관점에서 인간사를 서술하고자 했습니다. 『김내성 문학전집 6』에서는 '애인(상) (1954)' 작품을 수록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의 탁월한 문장 실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근현대문학
first
prev
1
2
3
4
next
last
KRpia 분류
역사∙지리
(490)
문학
(484)
문학일반
(325)
시
(16)
소설
(63)
에세이
(9)
가사
(5)
희곡
(3)
문집
(63)
예술
(447)
철학
(290)
사회과학
(49)
자연과학
(56)
문화
(114)
인물전집∙사전
(65)
KDC
총류
(8)
철학
(241)
종교
(72)
사회과학
(130)
자연과학
(32)
기술과학
(39)
예술
(416)
언어
(21)
문학
(456)
역사
(47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