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KRpia 분류 - 예술 - 건축
최신순
제목순
인기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Suwon Hwaseong
김동욱 저 | 대원사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small town of Suwon to the south of Seoul was transferred to a new place, and became a city. The name of the newly built city changed from Suwonbu to Hwaseongbu. Once the city took shape, a fortress was built around it. Hwaseong Fortress, an architectural masterpiece of the Joseon Dynasty was thus born. Jeongjo, the 22nd King of the Joseon Dynasty,played a grea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the new city of Hwaseongbu and the fortress. King Jeongjo, regarded as an enlightened monarch with innovative ideas, successfully completed his meticulous preparations, and his commitment and drive was necessary to take on the monumental project of constructing a new city and fortress. In 1997, Hwaseong Fortress was declared a World Cultural Heritage site by UNESCO. It became not only an honored piece of national heritage but a precious cultural asset for the whole of mankind. The purpose of this book is to explain when and how the fortress was constructed and to consider what value it has to us all. It is also hoped that this book will serve as a comprehensive guide for those who visit Hwaseong Fortress. - 본문 중에서 -
#수원화성
#건축
#문화유산
북한문화재해설집 Ⅲ : 일반건축편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1984년부터 북한문화재 관련자료를 정리·연구하여 『북한문화재도록』등 7권의 보고서를 발간하는 등 통일을 대비하여 북한문화재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여왔습니다. 금번 『북한문화재해설집』 제3집(일반건축펀)은 1998년에발간한 제2집(사찰건축편)에 수록된 사찰건물을 제외한 궁궐·관아·객사·분루·정자·항교·서원·사묘·주택 둥 9개 분야 총 82건의 북한전통건축물에 대한 해설·사진·도면을 수록한 것입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북한
#문화재
문화재대관 국보편 : 건조물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이번에 발간하는 『문화재대관(국보편)』은 지난 1986년도에 발간한 『문화재대관』의 개정판입니다. 그간의 관련자료와 연구결과를 보완·확충하여 건조물 85건(목조건축 21건, 탑파 및 부도 36건, 석조물 28건)을 수록하였습니다. 이에, 새로 발간하는 『문화재대관(국보편)』이 우리의 자랑스런 문화재를 지켜가며 유지해나가는 한편 새로운 시대에 맞는 좌표를 설정하고, 나아가 문화민족, 문화강국으로서의 면모를 일신하는 하나의 계기로 활용되기를 기대합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문화재
#국보
문화재대관 보물편 : 석조 Ⅱ(개정판)
문화재청 건조물과 저 | 문화재청
「보물편-석조Ⅰ」의 후속편으로 『문화재대관(보물편 - 석조Ⅱ)』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의 「보물편 - 석조Ⅱ」는 지난 1986년도에 발간된 『문화재대관』의 개정판입니다. 그간의 관련자료와 연구결과를 보완·확충하여 보물 제3호 대원각사비 등 석조문화재 263건을 수록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문화재
한국성곽 용어사전 1 : 한국 성곽의 이해
문화재청 성곽연구회 저 | 문화재청
우리나라에 많은 성곽들이 분포하고 있음에도 성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도 사실이며, 한국성곽의 이해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성곽에 관련된 용어를 정리하는데 책 발간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일반인이 성곽 용어를 쉽게 이해하도록 간결히케 설명하고 사진 및 도면으로 이해를 도왔으며, 흑백으로 할 경우 현장감 이 부족할 것 같아 될 수 있으면 사진자료는 대부분 원색화보를 실은 것이 또 하나의 특징이다. - 《책의 특징과 구성》 중에서 -
#사전
경상남도의 석탑 Ⅱ : 석조건축 연구자료 제15호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에는 국가지정 석조문화재 571건(국보 70건, 보물 501건) 중 석조건축문화재로 분류되는 석탑을 대상으로 2004년 정밀실측조사 등을 통한 원형기록보존을 실시하고 있다. 국가지정문화재인 석탑은 전탑을 포함하여 2016년 현재를 기준으로 191건(국보 28건, 보물 163건)으로 이 가운데에는 쌍탑 16건이 포함되어 있다. 석탑은 대부분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지진, 벼락, 풍화 등 자연적 요인과 도굴 등의 인위적 요인으로 인한 훼손 가능성이 높고 석재의 내구성 저하 등 구조적인 불안전성을 내재하고 있어 현황에 대한 정확한 기록보존이 필요한 실정이다. 석탑에 대한 기록화사업은 2004년부터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국보 제10호) 등 전라북도 지역의 국보, 보물로 지정된 석탑 11건을 조사하여 석조건축 연구자료 제1호인『 전라북도의 석탑』을 발간하였으며 이후 연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2016년부터는 경상남도 지역에 있는 석탑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여 석조건축 연구자료 제14호로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국보 제105호) 등 산청, 진주, 의령 지역의 삼층석탑 9기를 수록한『 경상남도의 석탑Ⅰ』을 발간하고, 이어 2017년인 금년에는 석조건축 연구자료 제15호로 합천 월광사지 동·서 삼층석탑(보물 제129호)등 합천군, 함양군, 울주군 지역의 석탑 및 석등 10기를 수록한 『경상남도의 석탑 Ⅱ』을 발간하게 되었다. - 개요 중에서 -
#석탑
문화재대관 보물편 : 석조 Ⅰ(개정판)
문화재청 건조물과 저 | 문화재청
보물이란 국가에서 지정한 유형의 문화재 중 특히 역사적·학술적·예술적 가치가 큰 문화재를 말합니다.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는 우리 전통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우리민족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이번에 발간되는 『문화재대관(보물편 - 석조Ⅰ)』는 지난 1986년도에 발간된 『문화재대관』의 개정판입니다. 그간의 관련자료와 연구결과를 보완·확충하여 석조문화재 201건을 수록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문화재
경상남도의 석탑 Ⅰ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에는 국가지정 석조문화재 571건(국보 70건, 보물 501건) 중 석조건축문화재로 분류되는 석탑을 대상으로 2004년 정밀실측조사 등을 통한 원형기록보존을 실시하고 있다. 국가지정문화재인 석탑은 전탑을 포함하여 2016년 현재를 기준으로 191건(국보 28건, 보물 163건)으로 이 가운데에는 쌍탑 16건이 포함되어 있다. 석탑은 대부분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지진, 벼락, 풍화 등 자연적 요인과 도굴 등의 인위적 요인으로 인한 훼손 가능성이 높고 석재의 내구성 저하 등 구조적인 불안전성을 내재하고 있어 현황에 대한 정확한 기록보존이 필요한 실정이다. 석탑에 대한 기록화사업은 2004년부터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국보 제10호) 등 전라북도 지역의 국보, 보물로 지정된 석탑 11건을 조사하여 석조건축 연구자료 제1호인 『전라북도의 석탑』을 발간하였으며 이후 연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어 2016년인 금년부터는 경상남도 지역에 있는 석탑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여 석조건축 연구자료 제14호로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국보 제105호) 등 산청군, 진주시, 의령군 지역의 석탑 9기를 수록한 『경상남도의 석탑 Ⅰ』을 발간하게 되었다. - 개요 중에서 -
#석탑
사진으로 보는 경복궁
문화재청 저 | 문화재청
이 책은 경복궁 복원정비와 관련된 업무용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발간하였다. 도록은 서울 옛지도, 경복궁 전도, 경복궁 원경, 광화문, 궁성 및 궁문, 기타 전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발간된 보고서 및 도록에 수록된 사진과 복원된 전각의 사진은 일부 선별하여 수록하였다. 도록에 관한 세부사항은 각 장별로 시대순으로 편집하였다. - 〈일러두기〉 중에서 -
#궁궐
#경복궁
『경복궁 석조조형물 학술연구 및 보존관리방안 연구』 별책 ③ 경복궁 영건일기 번역본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문화재청이 2011년부터 진행한 ‘경복궁 석조조형물 학술연구 및 보존관리방안 연구’ 용역사업의 연구 결과물 중 별책으로 수록된 자료이다.
#일기
#경복궁
#조선시대사
문화재대관 보물편 : 목조(개정판)
문화재청 건조물과 저 | 문화재청
보물이란 국가에서 지정한 유형의 문화재 중 특히 역사적·학술적·예술적 가치가 큰 문화재를 말합니다.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는 우리 전통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우리민족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이번에 발간되는 『문화재대관(보물편 - 목조)』는 지난 1986년도에 발간된 『문화재대관』의 개정판입니다. 그간의 관련자료와 연구결과를 보완·확충하여 목조건조물 121건을 수록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문화재
북한문화재해설집 Ⅱ : 사찰건축편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이번에는 북한소재 문화재 가운데 ‘사찰건축’을 모아 해설집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가능한 북한의 현존 사찰건축 전반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집대성 되도록 노력하였으며, 특히 연탄 심원사 보광전, 관음사 대웅전의 도변은 1930 년대 일제강점기에 마련된 도면을 찾아내어 함께 실었습니다. 또한 현재의 사찰 사진과 1930년대의 사진을 비교함으로써 그 동안의 변화 상황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북한
#문화재
북한문화재해설집 Ⅰ : 석조물편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북한의 문화재 가운데 석조물만을 모아 사진과 도면,해설을 실은 해설집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북한문화재를 크게 석조물·고건축·고고미술·민속·천연기념물 등의 다섯분야로 나누어 해설집을 연차적으로 발간하고자 계획한 우리 연구소의 첫번째 성과물에 해당되는 것입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북한
#문화재
#불교
사진으로 보는 국보 목조건축물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된 목조건물인 국보 제15호 봉정사 극락전을 비롯하여 국보 제18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등 24개의 국보 목조건축물의 아름답고 늠름한 모습과 우리 선조들의 자연을 품은 건축술과 그 속에 담겨있는 예술적인 가치를 담아 사진집을 발간하였습니다. 국보 목조건축물은 반만년의 역사속에 당대의 최고 기술이 집약된 문화예술의 결정체로서 과거와 오늘에 이르는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
#국보
대전월드컵경기장
현대건축사 편집부 저자 | 현대건축사
『현대건축사 건설지』 시리즈 내 제품으로, 대전월드컵경기장 건설 과정을 사진과 함께 수록하였다. 경기장의 디자인 컨셉 및 주요 특징, 대전 8경 위치도 등이 포함되어 있다.
국세청청사 건설지
현대건축사 편집부 저자 | 현대건축사
『현대건축사 건설지』 시리즈 내 제품으로, 국세청청사 개발 내용을 화보와 함께 수록하였다. 시공 및 기술 뿐만 아니라 건설스토리, 미술장식품 등을 설명한 디테일 항목이 포함되었다.
KT거제수련관 건설지
현대건축사 편집부 저자 | 현대건축사
『현대건축사 건설지』 시리즈 내 제품으로, KT거제수련관 개발 내용을 사진과 함께 수록하였다. 시공 및 기술 사항을 항목별로 상세하게 기재하였으며 인테리어 도면을 포함하였다.
BUSAN ST. MARY'S HOSPITAL
현대건축사 편집부 저자 | 현대건축사
『현대건축사 건설지』 시리즈 내 제품으로, BUSAN ST. MARY'S HOSPITAL 개발 내용을 공정사진과 함께 수록하였다. 주요시설 및 건설 과정에 대해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송도 중앙공원 조성공사 건설기록지
현대건축사 편집부 저자 | 현대건축사
『현대건축사 건설지』 시리즈 내 제품으로, 송도 중앙공원 조성공사 건설 내용을 사진과 함께 수록하였다. 시공 내용을 '토목', '조경', '건축', '기계' 등으로 상세화하여 기록하였다.
자연&경남아너스빌
현대건축사 편집부 저자 | 현대건축사
『현대건축사 건설지』 시리즈 내 제품으로, 자연&경남아너스빌 개발 내용을 사진과 함께 수록하였다. 건축,구조,토목,조경 등의 계획을 상세 설명하였으며 시공 내용에 대해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first
prev
1
2
3
4
5
next
last
KRpia 분류
역사∙지리
(490)
문학
(484)
예술
(447)
예술일반
(50)
건축
(259)
미술
(91)
사진
(6)
음악
(12)
의류
(9)
감상법
(20)
철학
(290)
사회과학
(49)
자연과학
(56)
문화
(114)
인물전집∙사전
(65)
KDC
총류
(8)
철학
(241)
종교
(72)
사회과학
(130)
자연과학
(32)
기술과학
(39)
예술
(416)
언어
(21)
문학
(456)
역사
(47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