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KRpia 분류 - 예술
최신순
제목순
인기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북한문화재해설집 Ⅱ : 사찰건축편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이번에는 북한소재 문화재 가운데 ‘사찰건축’을 모아 해설집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가능한 북한의 현존 사찰건축 전반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집대성 되도록 노력하였으며, 특히 연탄 심원사 보광전, 관음사 대웅전의 도변은 1930 년대 일제강점기에 마련된 도면을 찾아내어 함께 실었습니다. 또한 현재의 사찰 사진과 1930년대의 사진을 비교함으로써 그 동안의 변화 상황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북한
#문화재
북한문화재해설집 Ⅰ : 석조물편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북한의 문화재 가운데 석조물만을 모아 사진과 도면,해설을 실은 해설집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북한문화재를 크게 석조물·고건축·고고미술·민속·천연기념물 등의 다섯분야로 나누어 해설집을 연차적으로 발간하고자 계획한 우리 연구소의 첫번째 성과물에 해당되는 것입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북한
#문화재
#불교
사진으로 보는 국보 목조건축물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된 목조건물인 국보 제15호 봉정사 극락전을 비롯하여 국보 제18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등 24개의 국보 목조건축물의 아름답고 늠름한 모습과 우리 선조들의 자연을 품은 건축술과 그 속에 담겨있는 예술적인 가치를 담아 사진집을 발간하였습니다. 국보 목조건축물은 반만년의 역사속에 당대의 최고 기술이 집약된 문화예술의 결정체로서 과거와 오늘에 이르는 중요한 문화유산입니다.
#국보
사진으로 보는 북한 회화 : 조선미술박물관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남북한종합학술조사연구사업의 일환으로 발간하는 《사진으로 보는 북한회화 조선미술박물관》은 북한조선미술박물관에 소장펀 회화 작품 300여 건을 소개하는 도록으로 북한에 있는 문화재, 특히 회회분야를 출판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도록에 수록된 300여 점의 회화 작품들은 북한 측이 직접 촬영한 것으로서, 유물을 직접 보지 못한 탓에 몇 가지걱정스러운 점이 있으나 자료제공이리는 측면에 의의를 두고 우리 회화자료의 지평을 넓혀보고자 이번 책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북한
#미술
문화재대관 보물 : 불교조각 Ⅱ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이 책은 작년에 발간한 『문화재대관(보물) - 불교조각Ⅰ』에 이어 1962년부터 2016년까지 지정된 불교조각분야 중 조선 후기에 조성된 67점의 작품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제Ⅰ편에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전기까지의 불교조각 총 84점을 수록하였습니다. 삼국시대에 이 땅에 전래된 이후 불교는 오늘날까지 조각과 그림, 공예 등 다양한 미술품으로 형상화되어 한국인의 심성과 바람을 대변해 왔습니다. 여기에 실린 67점의 작품은 조선시대 ‘숭유억불崇儒抑佛’정책 속에서도 우리 역사에 면면히 흘러온 불교문화의 생명력을 대표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사례 입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문화재
#불교
조선왕릉 석물조각사 Ⅰ : 석인·비석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015년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총9권)를 완간함으로써 세계유산으로서 조선왕릉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 바 있습니다. 이 책자는 그동안의 성과를 바탕으로 ‘조선왕릉 석물’을 처음으로 집약해서 다룬 연구서입니다. 이 책은 지금까지 면모가 충분히 밝혀지지 않은 조선왕릉 석물 중 문무석인상과 비석을 대상으로 하여 기원과 의미, 변천 등을 종합적으로 규명하였습니다. 또한 양식적으로 밀접한 신라와 고려왕릉 조각이 조선시대로 계승된 과정, 중국 등 주변국과의 영향관계도 다루어 우리나라 석물조각사를 정립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믿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조선시대사
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 상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광복 이후 축적된 한국미술사의 성과를 담은 사전 발간을 목표로, 2007년~2011년까지 ″한국서화가인명사전편찬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이 사전에는 삼국시대~1945년 시기 동안 활동한 화가·서예가·화승 중 학계의 검토를 거친 2,260명의 작가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몽유도원도〉를 남긴 안견에서부터 기록에 이름만 전하는 서화가들에 이르기까지 한국미술의 역사를 장식한 유·무명 작가들의 활동상을 최대한 복원하여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습니다. 아울러 중요 작가들의 작품 화보와 분야별 참고문헌 등을 풍부하게 수록하여 이용자들로 하여금 예술적 가치와 더불어 학술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사전
조선왕릉 석물조각사 Ⅱ : 석수·병풍석·난간석·장명등·망주석·석물 장인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이 책자는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추진한 【조선왕릉 심층연구 및 통합정보구축운영】사업의 일환으로 발간하는 ‘조선왕릉 석물조각사’ 학술서의 두 번째 결과물이다. 수록 대상은 왕릉 조성물 가운데 제1권에서 서술한 석인과 신도비, 표석을 제외한 석수, 병풍석, 난간석, 장명등, 망주석의 기원과 조형 특징 등을 다뤘다. - 〈일러두기〉 중에서 -
#조선시대사
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 하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광복 이후 축적된 한국미술사의 성과를 담은 사전 발간을 목표로, 2007년~2011년까지 ″한국서화가인명사전편찬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이 사전에는 삼국시대~1945년 시기 동안 활동한 화가·서예가·화승 중 학계의 검토를 거친 2,260명의 작가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몽유도원도〉를 남긴 안견에서부터 기록에 이름만 전하는 서화가들에 이르기까지 한국미술의 역사를 장식한 유·무명 작가들의 활동상을 최대한 복원하여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습니다. 아울러 중요 작가들의 작품 화보와 분야별 참고문헌 등을 풍부하게 수록하여 이용자들로 하여금 예술적 가치와 더불어 학술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사전
문화재대관 국보 : 도자기 및 기타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이 책은 동산문화재 가운데 도자기 및 기타 분야의 국보 62건의 해설과 사진자료를 수록하여 엮은 것으로, 『문화재대관 국보편』(1967년)발간 이후 지정된 문화재까지 포함하여 개정판 형식으로 발간한 것이다. 수록 문화재는 토기, 청자, 백자, 분청사기, 기타로 분류하고 시대순으로 배열하였다. - 〈일러두기〉 중에서 -
#문화재
#국보
문화재대관 보물 : 불교조각 Ⅰ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문화재의 역사적 의의, 문화사적 가치 등을 국민에게 알리고 함께 공유하고자 발간하는 이번 불교조각 대관은 Ⅰ, Ⅱ편으로 나누어 발간되며, Ⅰ편에는 삼국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를 수록하였습니다. 삼국시대에 전래되어 우리나라 문예부흥을 이끌었던 불교는 당대 최고의 문화유산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그 중 단연 불교조각이 돋보이며, 이 책은 그에 관한 이야기들을 담았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문화재
#불교
문화재대관 국보 : 금속공예
문화재청 동산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이 책은 동산문화재 가운데 국보 금속공예 46건의 해설과 사진자료를 수록하여 엮은 것으로, 『문화재대관 - 국보편』(1976년) 발간 이후 지정된 금속공예 문화재까지 포함하여 발간한 것이다. 국보 금속공예 문화재를 일반공예와 불교공예로 대별하여 시대순으로 엮었고, 청동기 유물은 일반공예 속에 포함하였다. 편의상 일부 돌이나 나무 재질의 공예도 함께 수록하였다. - 〈일러두기〉 중에서 -
#문화재
#국보
문화재대관 보물 : 토기·도자기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문화재청은 보물 동산문화재 중 토기와 도자기 분야의 문화재 127건을 모아 『문화재대관 보물 - 토기·도자기』편을 발간합니다. 문화재의 역사적 의의, 문화사적 가치 풍을 국민에게 알리고 함께 공유하고자 발간하는 이번 보물대관은 토기, 청자, 백자, 분청사기로 나누어 편집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문화재
북한미술 어제와 오늘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저 | 문화재청
이 책은 북한에서의 미술사연구 흐름, 미술정책의 시기별 변화와 미술품 제작방식, 남한의 북한미술연구·전시현황 등을 분석한 것으로, 분단 이후 전개된 북한미술의 성격, 이에 관한 남한학계에서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는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북한
#미술
북한미술 복원·복제와 유통
국립문화재연구소 저 | 문화재청
이번 국립문화재연구소의 두 번째 북한미술 연구보고서는 「북한의 미술 복원·복제와 유통」이라는 주제를 통해 북한의 미술품 모사, 복제의 역사와 유통 상황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체계적인 정보를 함께 공유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문화유산의 복원·복제 분야에 대한 남북의 시각차를 확인하고, 앞으로 통일에 대비하여 관련 분야의 보존 방안에 대한 준비가 꼭 필요함을 공감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북한
#미술
한국의 국보 : 회화/조각
문화재청 동산문화재과 저 | 문화재청
『한국의국보 회화,조각』은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된 이후 국보로 지정된 문화재 중 일명 ‘동산문화재’, 그 중에서도 회화와 조각을 소개한 책입니다. 동산문화재動産文化財란,회화 ·조각 ·공예·서지 등과 같이 사람이 인력으로 움직이기 쉬운 문화재를 지칭하는 말로서,우리가 흔히 박물관 등에서 접할 수 있는 문화재의 상당 부분이 여기에 속합니다. - 〈발간사〉 중에서 -
#문화재
#국보
조선왕실그림(朝鮮宮中繪畵) : 궁중유물전시관 개관 네돌 기념전
궁중유물전시관 저 | 문화재청
궁중유물전시관이 문을 연지(’92.12.23)네돌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그 기념으로 조선 왕실의 격조를 살리는 회화류 80여점을 선정하여 전시하는 기념특별전을 가져 국내·외국인들에게 조선시대 궁중문화의 진수를 보여드리려는 것입니다. 왕실을 화려, 웅장하게 치장한 벽화와 어좌 뒤에 친 임금의 위엄을 드러내는 일월오봉도, 채색을 선명하게 표현한 각종 회조도, 불로장생물 열가지를 그린 십장생도, 부귀와 영화를 상정하며 길상적 용도로 쓰던 모란도 등의 장식화 그리고 왕실의 여러 행사를 다룬 반차도(班次圖), 의궤도(橫執圖) 따위의 기록화와 임금의 어진(微眞), 신하의 영정(影幀)과 같은 인물화 등의 특정적이고 독자적인 양식과 화풍을 이룩하고 있는 궁중회화류들을 선보이고자 합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조선시대사
악기, 무형을 담다 : 2014 국립무형유산원 특별전
국립무형유산원 저 | 문화재청
악기를 주제로 한 이번 특별전은 무형문화유산에 사용된 악기뿐만 아니라 연주되는 음악을 통해 우리의 무형문화유산을 이해하고, 아울러 악기 제작 명장들의 장인정신을 알리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각 종목별로 사용된 다양한 악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삼현육각三絃六角에 편성되는 피리, 대금, 해금, 장구, 북의 전형적인 악기와 함께 생활도구나 재료가 악기로 사용된 사례도 볼 수 있습니다. 장독 뚜껑으로 만든 ‘사장구’나 소라껍질을 이용한 ‘나각’ 등 생소한 악기도 접하게 될 것입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음악
한국의 가사
김경숙 저,안명숙 저,김성철 사진 | 대원사
근본불교시대의 가사는 본래적 의미인 호사를 위해 옷을 입는 속인의 허례허식이나 벌거벗고도 부끄럼이 없는 외도의 양극을 지양하고 신체 보호의 기본 조건으로서의 수행인으로 하여금 중도를 따르게 하려는 가사의 공덕을 설한 『십주비바사론(十住毘婆沙論)』에 가사를 착용하여 얻는 10가지 이익을 들고 있다. 그리고 가사를 공양을 하는 사람은 생전(生前)에 지은 천 가지의 나쁜 장애가 없어지고, 백 가지 복이 구름처럼 일어나는데, 가사 폭(幅)의 구멍 중에 모든 부처님과 보살(菩薩) 그리고 일체 신장(神將)님이 갖추어 있기 때문이다. 가사는 용도, 소재, 색, 구조, 공덕에 따라 다양한 명칭이 있지만 율장에 의하면 용도에 따라 안타회, 울다라승, 승가리 등 삼의(三衣)가 있다. 대부분 한국의 가사는 5∼25조까지 홀수만을 선택하여 만든다. 동양 사상으로 볼 때 홀수는 좋은 수이며 유일무이(唯一無二)의 불법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진각종처럼 위쪽에 띠를 달아 목에다 걸고(掛) 두 어깨를 통하여(絡), 가슴 앞에 걸치는 낙자(絡子)를 가사로 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의 한국 불교는 가장 큰 종파인 조계종(曹溪宗)을 비롯해 태고종(太古宗)과 천태종(天台宗), 진각종(眞覺宗)의 4대 종단 등 18개 종파로 분립했으며 종파에 따른 특징 있는 가사를 입고 있다. 그리고 한국 가사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가사 불사 후 회향하는 의식인 가사 점안 의식(袈裟點眼儀式)이다. 가사 불사는 붓다 당시부터 현재까지도 근본 불교 국가에서 가사 공양 의식으로 행해지고 있는데 현재 근본불교 국가는 물론 북방불교 국가 가운데에서도 우리나라가 중요하게 하고 있다. 그만큼 가사를 신성시하여 불상 등에서 볼 수 있는 점안 의식으로 가사에 생명을 불어 넣어 하나의 천에 불과한 가사를 불법을 나타내는 상징물로 인정하는 것이다. 가사는 가사 불사와 승복집을 통해서 구입하고 있으나 전통적인 방법은 가사 불사를 하여 가사를 만들고 가사 점안 의식을 마쳐야 비로소 불법을 전하는 방편으로서 가사가 되는 것이다.
우리 옛 질그릇
윤용이 저,윤용이 사진 | 대원사
질그릇은 고고학과 미술사의 중요한 대상이다. 선사시대의 질그릇과 역사시대의 질그릇을 합하면 8,000년의 역사를 지니며 신석기에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거의 전 시기에 걸쳐 만들어졌다. 생활의 필요에 따라,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졌으며 지금도 전국에는 그 당시 질그릇을 만들고 사용하였던 가마터와 생활터, 고분 등의 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소박한 아름다움을 지닌 우리 옛 질그릇을 시대별로 살펴보고 그 특징과 아름다움을 조목조목 짚어보았다.
first
prev
1
2
3
4
5
next
last
KRpia 분류
역사∙지리
(490)
문학
(484)
예술
(447)
예술일반
(50)
건축
(259)
미술
(91)
사진
(6)
음악
(12)
의류
(9)
감상법
(20)
철학
(290)
사회과학
(49)
자연과학
(56)
문화
(114)
인물전집∙사전
(65)
KDC
총류
(8)
철학
(241)
종교
(72)
사회과학
(130)
자연과학
(32)
기술과학
(39)
예술
(416)
언어
(21)
문학
(456)
역사
(47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