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KRpia 분류 - 철학 - 중국철학
최신순
제목순
인기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연구총서 5] 反논어 : 논어신탐 | 공자의 논어 공구의 논어
조기빈 저,조기빈 저 | 예문서원
『논어』를 통해 춘추시대 사회의 성격을 밝히는가 하면『논어』에서 언급하는 `인`과 `민`이 각각 노예주와 노예계급을 지칭한다고 보고 이의 용례를 분석함으로써 공자의 계급성을 논증한다
#동양철학
#공자
#논어
[역학총서 2] 주역, 유가의 사상인가 도가의 사상인가 : 역전여도가사상
진고응(陳鼓應) 저,진고응(陳鼓應) 저 | 예문서원
공자 등 유가의 저작으로 알려져 온 「역전(易傳)」이 도가의 작품이라고 주장한 책이다.
도가사상 연구의 최고 권위자이며 대만에 살다가 정치적인 이유로 추방되어 현재 북경대학 철학과에서 연구생활을 하는 특이한 경력의 소유자인 저자는 최근 마왕퇴 유적에서 발굴된 백서(帛書) 등을 근거로 대담한 주장을 거침없이 펼친다.
#동양철학
#역학/천문학
#주역
#도교
[노장총서 3] 유학자들이 보는 노장 철학
조민환 저,조민환 저 | 예문서원
노장 사상에 대한 여러 가지 부정적인 이해들을 해소하기 위해 노장 사상을 여러 각도에서 살피는가 하면 노장 사상을 유가 사상과 비교 분석해 보이기도 하고, 중국과 조선의 유학자들이 노장을 어떻게 이해했는가 하는 점을 살피고 있다.
[원전총서] 열선전 : 중국 도교의 70선인 이야기
유향 저,유향 저 | 예문서원
중국 도교의 70선인 이야기
합리적 사고의 지식인이자 역사의 냉정한 기록자였던 유향이 적송자, 마사황, 노자, 여상, 팽자, 동방삭 등 고대 선인 70인의 자료와 전적을 섭렵하여 세상에 남긴 귀중한 유물이자, 도가 사상과 도교 신앙의 발전 과정을 논증하는 근거로, 문학적 상상력의 저수지로, 민간신앙 숭배 대상자들의 목록집으로, 그리고 연단술 등 고대 자연과학적 사고의 전거로 평가받는 불후의 고전!
『열선전』은 최고最古의 신선 전기집으로서 현존하는 모든 도교 설화의 원조라 할 수 있다.
도교 설화, 즉 신선 이야기는 모든 중국 설화 중의 대종大宗이며, 그것이 철학과 문학, 예술 등에 미친 영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막대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변변한 연구 업적은커녕 제대로 된 번역서조차 없었던 것이 현재까지의 실정이었다. 아들 유흠劉歆과 함께 중국 최초의 목록서인『칠략七略』을 완성하는 등 선진先秦 시대 전적들의 정리 및 교감에 뛰어난 업적을 쌓고, 명유名儒로 선발되어 한대漢代에 석거각石渠閣에서 오경五經을 강론하기도 하였으며, 경학·문학·천문학 등에도 달통한 유향이 그 때까지 전해 내려오던 신선 및 선인仙人들의 행적에 관한 이야기들을 모두 모아 엮은 것이다.
#동양철학
#도교
[연구총서 13] 동아시아의 전통철학
주칠성 저,주칠성 저 | 예문서원
중국 연변대학 '조선문제 연구소' 교수들이 쓴 「중국/조선/일본/전통철학 비교연구」 중국어판을 약간의 수정을 거쳐 옮겼다.
유교/도교/불교/주자학/양명학/실학이 중국에서 형성되어 한국/일본 등지에 전파되어 어떤 영향을 끼치고 어떠한 특징을 띠게 되었는지 전면적이고 체계적으로 비교/연구하였다.
[원전총서 14] 홍석주의 노자 : 「정로」, 기호 주자학자의 노자 읽기
홍석주 저,홍석주 저 | 예문서원
옮긴이가 홍석주洪奭周의 『정노訂老』를 접한 것은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의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으로 박사 학위를 준비할 때였다. 박사 학위 논문에 일정 부분 조선 유학자들의 『노자』 주석서를 언급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이이李珥의 『순언醇言』과 서명응徐命膺의 『도덕지귀道德指歸』를 『정노』와 함께 살펴본 적이 있다. 사실 옮긴이는 학위 전부터 이미 『순언』과 『신주도덕경』을 어느 정도 완역한 상태였고, 『도덕지귀』에 대해서도 반 이상을 초역해 놓고 있었다.
#동양철학
#주자
#노자
[연구총서 9] 중국철학과 지행의 문제
방립천 저,방립천 저 | 예문서원
이 책을 통해 지와 행에 관한 갖가지 논의들을 조각해 가다 보면 인식과 실천에 관한 중국철학적 사유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성리총서 4] 범주로 보는 주자학
오하마 아키라(大濱晧) 저,오하마 아키라(大濱晧) 저 | 예문서원
이기합리理氣合離의 사유 방식으로 주희의 저서에 나오는 수많은 기술記述상의 모순된 표현들을 해명하고자 한 책.
주희 철학의 주요 범주라고 할 수 있는 리理ㆍ기氣ㆍ심心ㆍ성性ㆍ인仁ㆍ도道 등의 개념을 대립과 통일의 면에 비추어 이해하고 깊이 연구하였다
[연구총서 8] 문제로 보는 중국철학 : 인식의 문제
방립천 저,방립천 저 | 예문서원
중국인민대학 교수인 저자의 「중국고대철학문제발전사」 중 ''중국고대우주생성론''과 ''중국고대본체론''의 번역서다. 선진부터 청대까지의 거대한 역사 속에서 우주 본체, 인성, 인식, 이상적 삶, 역사의 여섯가지 주요 철학적인 문제를 심도 있게 체현해냈다.
#동양철학
[연구총서 10] 중국철학과 이상적 삶의 문제
방립천 저,방립천 저 | 예문서원
우리네 사상 철학을 중국과 별개해 생각할 수 없는 바, 중국철학에서 추구한 이상적 삶의로의 도달 문제는 따라서 우리 사상을 보다 핵심적으로 파고들 수 있는 코드가 되어줄 것이다.
중국 사상의 발전과 그 전개 양상을 통해 들여다 본 중국철학.. 무엇이 중국 철학의 토대를 이루며 그 목적은 무엇이었는지, 광범위하며 서로 다른 사상을 내세운 모든 철학자들의 의견에 통달할 수는 없겠지만 역자의 말대로 자연과 나가 아닌 다른 사람을 중심으로 펼쳐진 중국철학에 대한 나름의 모색은 우리 사상의 앞날을 조망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동양문화산책 6] 공자의 이름으로 죽은 여인들
전여강(田汝康) 저,전여강(田汝康) 저 | 예문서원
중국 명대에 守節이라는 이름하에 자살한 여성 수가 갑자기 증가한 현상은 당시의 도덕적, 법적, 종교적, 문화적 결정 요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과거 시험에서 계속 불합격하는 쓰라린 경험을 하게 되는 남성수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
고난을 겪으면서도 보편적인 도덕 규범에 충실한 여성들을 찬양함으로써 남성들은 자신도 도덕적 의무를 완수했다고 생각했으며, 이러한 도덕성을 자신들에게 이전함으로써 자신들도 도덕적이라고 생각했다. 이렇게 해석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여성이 목을 매달 때 수많은 사람들이 흥분과 희열로 바라보는 비참한 광경을 설명할 수 있겠는가.
#동양철학
#공자
[동양문화산책 4] 공자와 노자, 그들은 물에서 무엇을 보았는가
사라 알란(Sarah Allan) 저,사라 알란(Sarah Allan) 저 | 예문서원
사라 알란은 자연 세계의 사물들이 중국에서 추상적 사유를 철학적인 개념으로 정착시키는 구체적인 뿌리였다고 본다.
지은이는 그러한 사물들을 모델로 한 철학적 개념화의 과정을 '뿌리 은유'라고 이름짓는다.
뿌리 은유는 이 책의 키워드. 지은이는 이 뿌리 은유와 뿌리 은유를 바탕으로 한 '물'의 사유를 통해 고대 중국의 철학체계를 다시 더듬고 있다.
#동양철학
#공자
#노자
#도교
[성리총서 3] 동아시아의 양명학
최재목 저,최재목 저 | 예문서원
중국 명대에 교조화된 주자학에 반기를 들고 나타난 양명학이 동아시아 각국에서 변용, 굴절해간 내용을 담았다.
한국에서 양명학은 정제두를 비롯한 일군의 강화학파에 의해 주자학적 형식 속에 양명학의 주요 개념인 양지(良知)를 담아내는 형태로 수용되었고, 일본에서는 양지개념을 ''황상제(皇上帝)''라는 전통개념으로 격상시켜 종교적 신앙 및 실천적 수양의 형태로 자리잡았다.
[동양문화산책 19] 거북의 비밀, 중국인의 우주와 신화
사라 알란(Sarah Allan) 저,사라 알란(Sarah Allan) 저 | 예문서원
재미있는 이야기로서의 신화가 아닌, 고대 중국인이 가진 믿음체계와 우주관의 모태로서 신화를 분석하고 있는 새로운 책!!
『공자와 노자, 그들은 물에서 무엇을 보았는가』의 저자인 사라 알란의 새 책으로, 오랫동안 중국 고대 문화를 연구해 온 미국인 학자의 새로운 중국 신화 이야기를 엿볼 수 있다.
#동양철학
[동양문화산책 20] (문학과 철학으로 떠나는) 중국 문화 기행
양회석 저,양회석 저 | 예문서원
한 · 중 수교 10주년을 맞이하여 중국 문화 깊이 읽기
올해는 한 · 중 수교 10주년이 되는 해이다. 동서 이데올로기의 벽이 무너지기 시작하던 1992년 우리는 중국과 국교를 수립하였다. 이후 중국은 우리의 이웃 나라가 되었고, 왕성한 인적 물적 교류가 이루어졌다. 그 동안의 관계를 반영하려는 듯 최근 들어 중국에서는 한류韓流가 유행하고 있기도 하다.
우리 나라에서도 중국에 관한 관심이 날로 고조되면서 그에 따른 각종 정보가 홍수처럼 양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중국에 대한 성장 가능성과 바로 이웃하고 있는 우리와의 관계가 어떻게 변할 것인지에 대한 관심에서 일고 있는 붐이라고 할 것이다. 또한 여기에는 자본의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앞으로 떠오를 거대 시장으로서의 중국에 대한 세계의 주목이 한몫하고 있다.
‘19세기가 영국의 시대이고, 20세기가 미국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바로 중국의 시대’가 될 것이라는 관망들이 우리로 하여금 중국에 대한 관심을 폭증하게 하는 배경인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최근 출판계에 일고 있는 중국 바람 또한 그 기세가 거세다.
하지만 대부분의 책들은 중국을 지나치게 부풀리거나 깎아 내리려는 편중된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얄팍한 지식과 정보 수준의 여행기나 체험담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들 중에는 “중국은 아직 멀었어” 하는 식으로 그들의 부정적인 면을 부각시켜 섣부른 우월론을 펼치는 경우마저 눈에 띄어 우려를 자아내게 하고 있다.
좀더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중국인은 느리고 더럽고 시끄럽고 교만하고 이기적이어서 우리보다 몇십 년은 뒤졌다고 단정하는 식이다.
이러한 현실을 안타깝게 생각한 저자는 중국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면서 중국에 대한 ‘깊이 읽기’를 시도한다. 이것은 이 책의 기획 의도이자 출간 의의이다.
#동양철학
#중국사
[일본사상총서 1] 일본 신도사
무라오카 츠네츠구 저,무라오카 츠네츠구 저 | 예문서원
일본인의 정신적 지주에 놓여있는 신도의 역사와 사상적 흐름을 시대별로 정리했다.
신도는 원래 일본에 뿌리내리고 성장해왔으며 독창적인 일본의 고유종교라고 강조한다.
#동양철학
#일본
[동양문화산책 2] 인도인의 성(性)
웬디 더니거 오플레어티(W.D.OFLAHERTY) 저,웬디 더니거 오플레어티(W.D.OFLAHERTY) 저 | 예문서원
고대 인도인의 성(性)인식 문제를 인도신화 및 동물과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집중 고찰한 저서.
#동양철학
first
prev
6
7
8
9
next
last
KRpia 분류
역사∙지리
(490)
문학
(484)
예술
(447)
철학
(290)
철학일반
(33)
한국철학
(75)
중국철학
(177)
경학
(2)
서양철학
(3)
사회과학
(49)
자연과학
(56)
문화
(114)
인물전집∙사전
(65)
KDC
총류
(8)
철학
(241)
종교
(72)
사회과학
(130)
자연과학
(32)
기술과학
(39)
예술
(416)
언어
(21)
문학
(456)
역사
(47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