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KRpia 분류 - 문화
최신순
제목순
인기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전통 음식
한복진 저,한복진 사진 | 대원사
전통 음식은 한방 의학을 기초로 한 음식의 조리와 음양 오행설의 반영이 특징이라는 개념 아래 여러 산물과 특징, 대표적인 조리법, 상차림, 부엌 도구와 식기, 양념과 장 그리고 김치와 젓갈, 술과 화채 등의 조리법을 소개하고 식사 예법도 다루고 있다. 한국의 독특한 풍토와 산물에 따라 만들어지는 음식의 종류가 얼마나 다양했는지, 계절에 따른 상차림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여실히 보여 주는 책이다.
궁중음식과 서울음식
한복려 저,한복려 사진 | 대원사
우리나라 음식문화의 최상급인 궁중음식의 종류와 요리법을 설명하고 사대부가 모여 살았던 서울지역의 음식문화를 고찰했다.
전통 건강 음료
한국의 맛 연구회 저,배병석 사진 | 대원사
우리의 음료 문화는 언제부터인가 서양식으로 변화되어 사이다, 콜라 등의 탄산 음료에 익숙해져 있다. 그러나 역시 우리 몸엔 우리 것으로 만든 음료가 어울리는 법이다. 올바른 음료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혹은 전통 음료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우리 선조들이 즐겨 마셔 왔던 음료를 종류별로 나누고 그 종류와 만드는 법 등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제주도 음식
김지순 저,안승일 사진 | 대원사
제주도는 척박한 화산섬이어서 생존을 위해서는 자연에 대항하여 힘겹게 싸워야 하는 곳이다. 이런 열악한 환경은 제주도만의 독특한 음식 문화와 식생활 풍습을 만들었다. 이 책에서는 제주도의 자연 환경이 음식에 끼친 영향과 제주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을 계절별로 분류하여 재료와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각 절기와 의례 음식에 대해 다룸으로써 제주 사람들의 삶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주도
김치
이춘자 저,김귀영 저,박혜원 저,배병석 사진 | 대원사
한국인에게 김치는 단순한 음식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김치는 반양식이라 할 정도로 쌀과 함께 우리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김치의 숙성 과정과 붉은 빛을 내는 시각적 조화에는 우리의 민족성이 담겨 있다. 이 책은 김치의 재료에서 특성, 종류, 각 시대별 김치를 비롯하여 50여 종의 김치 담그는 법과 김치를 이용한 음식까지 김치에 대한 모든 것을 소개하고 있다.
커피
조윤정 저,김정열 사진 | 대원사
커피란 무엇인가, 커피의 역사, 커피의 종류 등 커피의 모든 것을 자세하고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밑반찬
김경미 저,김매순 저,김윤자 저,이경희 저,이근형 저,임경려 저,홍순조 저,이춘자 저,권순철 사진 | 대원사
이 책은 상차림에 없어서는 안 되는 다양한 밑반찬을 소개하고 있다. 밑반찬의 기원에서부터 저장방법, 종류 등 밑반찬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집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레시피까지 수록했다. 부모님을 위한 밑반찬, 사위, 며느리를 위한 밑반찬, 손자, 손녀를 위한 밑반찬, 손님 상차림, 도시락 반찬 등 각 주제별로 묶은 레시피를 통해 단조로웠던 식탁이 풍요로워질 것이다.
민속놀이
김광언 저,김광언 사진 | 대원사
우리의 민속놀이를 분석한 책. 우리의 놀이 문화가 오늘날의 인도 근처에서 태어나 중앙아시아를 거쳐서 들어온 북방 계열과 쌀재배 발생지인 중국의 남서부에서 탄생해 벼농사와 함께 들어온 남방 계열의 놀이 두 갈래로 구성되었다는 사실을 살펴보면서, 여럿이 함께 모여 벌이는 놀이의 즐거움을 일깨워준다. 또한 놀이 내용과 분포, 놀이 세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다양한 민속놀이를 사진과 함께 담아 소개하고 있다.
#민속
민간 요법
안덕균 저,안덕균 사진 | 대원사
예로부터 전해 오는 경험 의학인 민간 요법을 소개한 책. 민간 요법에 사용되는 민간약은 대부분이 우리 산이나 들에서 채취하는 약초이다. 그 채취 방법과 구입법, 사용법 등을 자세히 일러 주고, 여러 증상에 따른 치료법들을 실생활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엮었다. 대중 매체를 통해 민간 요법들이 마구 쏟아지는 이때 과학적인 효용성과 약리학적인 해설을 갖추어 새롭게 꾸민 이 책은 민간약의 선택과 복용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제공한다.
#의학
한국의 무속
김태곤 저,김태곤 사진 | 대원사
우리나라 무속의 성격, 지역적 특징, 종교적 기능 등을 그림과 함께 엮었다. 더불어 컬러 사진 자료를 더해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초보자를 위한 관상학
신기원 저,신기원 사진 | 대원사
관상학이란 무엇인지, 관상학 입문자를 위한 책으로 관상학의 기본 개념과 오관, 면상의 십이궁을 그림과 함께 설명하였다.
수상학
조성우 저,조성우 사진 | 대원사
유명 역술인이 쓴 수상학 소개서로 유명인의 실제 손금을 소개하여 이해를 돕고 있다.
토우
이난영 저,이난영 사진 | 대원사
신에 대한 희생의 대용이나 기원, 숭배의 대상으로 또는 부장용으로 제작된 토우(土偶)는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생활 용구, 집 등 모든 것을 본떠 나타낸 토제(土製) 인형을 말한다. 토우의 모양과 그 각각의 특성 등을 상형 토기, 토용, 장식 토우 등으로 나누어서 사진과 함께 설명했다.
탈춤
채희완 저,김문호 사진 | 대원사
탈춤에 쓰이는 탈의 종류와 특징, 탈춤의 양식과 사회문화사적 배경을 알아보고 탈춤이 가지는 현재적 의미를 사진들과 함께 살펴볼 수 있다.
동신당
김태곤 저,김태곤 사진 | 대원사
지금까지 전래되어 오는 대표적인 동신당 곧 국사당, 산신당, 서낭당 등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동신 신앙의 역사에서부터 형태와 그 종류, 더 나아가 동신제에 이르기까지 하나하나의 절차를 사진과 함께 보여 준다. 우리 민족이 살아온 생활사적 발자취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이 책은 한국 기층 문화에 대한 이해와 함께 한민족의 미래상을 가늠할 수 있는 좋은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석등
정명호 저,정명호 사진,안장헌 사진 | 대원사
석등(石燈)이란 그 글자에서 알 수 있듯이 돌로 만든 등을 일컫는 것으로 우리나라 곳곳의 사찰과 능, 묘 등에 많이 산재해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석등의 의의와 기원을 알아보고, 각 시대별로 다양한 모양의 석등을 사진과 함께 소개한다. 또한 석등 양식의 변천과 특징을 자세히 설명하는 등 국내 최초로 세밀하게 석등을 조명하고 있다.
#불교
탈
심우성 저,박옥수 사진 | 대원사
탈이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어 신앙성을 띠면서 벽사, 기우, 수렵, 전쟁, 연희 등 각종 의식에 쓰여지기 위하여 창출된 역사적 조형물이다. 탈은 제례, 춤, 연극 등 그 용도에 따라 재료와 채색을 달리하여 각각 특색을 띠고 있다. 이 책은 탈의 기원과 역사를 시대별로 훑어보고,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20여 종의 탈놀이 탈들의 유래와 놀이 형태 등을 원색 사진을 곁들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서낭당
이종철 저,박호원 저,송봉화 사진 | 대원사
마을 입구나 고갯마루, 산록 등의 길가에 위치하며 신앙의 대상이 되는 돌무더기를 서낭당이라 부른다. 지금은 찾아보기 어려우나 머지않은 과거에는 가난한 선조들이 애틋한 기원을 드리던 민중 신앙의 한 형태였다. 여기서는 서낭당의 개념과 어원, 발생 배경과 기원, 형태와 유형 등을 살펴보고 서낭 신앙의 현지 사례를 통해 사라져 가는 서낭 신앙의 모습을 재현해 보았다.
#불교
옛 안경과 안경집
금복현 저,금복현 사진 | 대원사
우리의 옛 안경은 그 용도와 아름다움 뿐만 아니라 렌즈를 만드는 정성과 과학성, 테를 만드는 장인적 기예와 쓰임에 있어서 하나의 공예품으로 인정을 받아 왔다. 이 책에서는 안경의 역사를 중심으로 안경의 어원, 우리 옛 안경의 모양과 변천, 안경집의 형태, 안경에 얽힌 일화와 예법 그리고 만드는 법을 차례로 소개한다.
고분 유물
김기웅 저,김기웅 사진 | 대원사
옛 무덤의 부장품인 고분 유물(古墳遺物)의 모든 것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엮었다. 고분 유물에는 피장자(被葬者)가 생전에 사용하던 일상 용품, 장신구류 등을 비롯하여 권위와 상징과 주술적인 것들도 있으며 또 피장자의 진혼과 재생을 기원하면서 유해에 바친 제기, 용기류 등 그 종류가 아주 다양하다. 따라서 이 책은 우리 민족의 사회상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first
prev
1
2
3
4
5
next
last
KRpia 분류
역사∙지리
(490)
문학
(484)
예술
(447)
철학
(290)
사회과학
(49)
자연과학
(56)
문화
(114)
음식
(24)
민속
(41)
언어
(11)
종교
(20)
건강∙취미
(18)
인물전집∙사전
(65)
KDC
총류
(8)
철학
(241)
종교
(72)
사회과학
(130)
자연과학
(32)
기술과학
(39)
예술
(416)
언어
(21)
문학
(456)
역사
(47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