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품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KRpia 구독 기관 소속 이용자이신지 확인해주세요
확장영역 열기
기관회원로그인
개인회원로그인
개인회원 가입
고객센터
Q&A
ENGLISH
전체
제목
본문
저자
발행처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검색 도움말
검색 도움말
검색방법예제
기능
연산자
사용자질의어
검색방법
AND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와 ‘시대’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OR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 또는 ‘시대’가 포함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NOT 연산자
!
고려!시대
‘고려’가 포함되고 ‘시대’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줍니다.
괄호 연산자
( )
문화 & (고려 | 시대)
( )안의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다음 연산을 수행합니다.
NEAR 연산자
/N 또는 /n
고려 /n3 시대
‘고려’와 ‘시대’가 순서와 관계없이 3글자 이내에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ADJ 연산자
/A 또는 /a
고려 /a6 문화
‘고려’ 이후 ‘문화’가 6글자 이내에 순차적으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어구 연산자
" "
"고려 청자"
‘고려’ 이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청자’가 바로 인접한 자료를 우선순위로 찾아 줍니다.
주제분류
추천시리즈
인기제품
신규제품
역사∙지리
역사일반
통사
고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
중국사
지리
문학
문학일반
시
소설
에세이
가사
희곡
문집
예술
예술일반
건축
미술
사진
음악
의류
감상법
철학
철학일반
한국철학
중국철학
경학
서양철학
사회과학
사회과학일반
법학
자연과학
자연과학일반
동물학
식물학
천문학
의학
문화
음식
민속
언어
종교
건강∙취미
인물전집∙사전
인물전집
사전
×
다국어 입력기
입력
지우기
한자 음가로 찾기
한자 부수로 찾기
러시아어
옛한글
일본어
忍
000code
KRpia 분류 - 인물전집∙사전 - 사전
최신순
제목순
인기순
최신순
20개
20개
50개
100개
한국고고학전문사전 성곽·봉수편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저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번에 『韓國考古學專門事典-城部·烽燧篇-』을 발간하였습니다. 본 사전은 청동기시대편, 고분편에 이은 『韓國考古學專門事典』의 새로운 결과물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고고학의 성곽 및 봉수에 대한 그간의 연구성과를 집대성하고 공인된 용어 통일안을 마련하여 기초 연구자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사전
#고고학
한국고고학사전 (상) : ㄱ~ㅅ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연구실 저 | 문화재청
「韓國考古學事典」에는 한국 고고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면서도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정리한 용어에 대한 정의와 함께 그간 우리나라에서 발굴조사된 중요 유적들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수록하였습니다. 또한 한국 고고학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인접 국가는 물론 세계 각지의 중요 고고학 이론 및 관련 유적들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사전
#고고학
한국고고학사전 (하) : ㅇ~ㅎ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연구실 저 | 문화재청
「韓國考古學事典」에는 한국 고고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면서도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정리한 용어에 대한 정의와 함께 그간 우리나라에서 발굴조사된 중요 유적들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수록하였습니다. 또한 한국 고고학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인접 국가는 물론 세계 각지의 중요 고고학 이론 및 관련 유적들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사전
#고고학
한국고고학전문사전 구석기시대편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저 | 문화재청
이 책은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유명한 구석기시대 유적의 현황, 개념 및 관련 용어를 정리한 『韓國考古學專門事典-舊石器時代篇-』으로 2009년부터 2013년에 걸쳐 표제어 선정·원고 의뢰 및 집필·감수·교정·편집 등의 과정을 거쳐 발간한 것이다. - 〈일러두기〉 중에서 -
#사전
#고고학
한국고고학전문사전 고분편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저 | 문화재청
2001년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10년 간의 준비 끝에 『韓國考古學事典』을 발간하였으나 방대한 분량의 고고학자료를 한 권의 책으로다 담아내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았고, 이 부족분을 충족시키고자 노력한 결실이 바로 『韓國考古學專門事典-靑銅器時代篇』과 이번에 발간된 『韓國考古學專門事典-古境篇』입니다. 이 사전에는 시기적으로 초기철기 말기 무렵부터 통일신라까지의 유적 및개념 용어를 집대성하였고, 공간적으로는 한반도 뿐만 아니라 중국·일본 등 국외에 소재하는 우리 역사관련자료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사전
#고고학
한국고고학전문사전 신석기시대편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저 | 문화재청
이 사전에는 한국 신석기시대 고고학의 성과를 유적과 유물, 개념 등의 범주로 나누어 용어를 해설하고 주요 자료를 정리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한반도 외에도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우리의 신석기문화와 밀접한 지역의 연구 성과가 포함되었고, 도면과 도판을 수록하여 이 사전을 이용하는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사전
#고고학
한국고고학전문사전 고분유물편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저 | 문화재청
이번 「한국고고학전문사전 - 고분유물편」은 고분편 사전의 후속으로 한국고고학의 고분유적에서 출토된 중요 유물과 유적에 대한 대표적인 연구 성과를 국내 외 학계와 공유하고, 국내외 연구자들의 한국고대사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자 기획한 고고학 전문사전입니다. 여기에는 한국 고대 고분에서 출토된 중요 유물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면서도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정리한 용어와 그 해설을 수록하였습니다. 또한 한국고고학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인접 국가의 관련 유적들도 소개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사전
#고고학
한국고고학전문사전 청동기시대편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연구실 저 | 문화재청
『韓國考古學專門事典-靑銅器時代篇』은 한국 청동기시대를 유적과 유물, 개념 등의 범주로 나누어 비교적 세밀하게 서술한 전문사전입니다. 뿐만 아니라 그 주변지역인 일본 중국.러시아의 청동기시대 중 우리문화와 비교적 긴밀한 관련이 있는 항목을 선정하여 수록하였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항목들에 대해서는 도면과 도판을 충분히 수록해 본서를 이용하는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고자 노력하였습니다. - 〈발간사〉 중에서 -
#사전
#고고학
한글 이름 사전
김슬옹 저,김불꾼 저,신연희 저 | 한겨레출판
『한글 이름 사전』에서는 한글 이름 짓기에 필요한 수많은 자료들을 보기 쉽고 알기 쉽게 체계화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한글 이름과 관련된 이론적 설명을 실용적으로 다듬고 보완하였으며 통신 이름을 풀이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한글 이름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였으며 한글 이름을 수용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한글 이름 속에 녹아든, 한글로 표기한 일상의 한자어까지 포용하기로 한 것이다. 이 제품에서는 '사람 이름 풀이', '이름 짓는데 필요한 어휘 자료' 등을 다루고 있어, 이름 짓기에 필요한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사전
한국사회주의운동 인명사전
강만길 편,성대경 편 | 창작과비평
일본강점기 때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던 인물들의 행적을 담은 『한국사회주의운동 인명사전』은 2천여 명의 유, 무명 인사들의 주요 행적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모두 사회주의자라고 장담할 수는 없지만, 다만 사회주의운동에 참가한 사람들로 남북을 통틀어 일본강점기 때 사회주의 운동에 참가했던 인물이라면 나중에 활동을 중단한 인물은 물론 친일파로 변절한 인물들까지 수록하였습니다. 관련 연구자에게는 훌륭한 참고서는 물론, 역사에 관심 있는 일반인에게도 유익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한국근대사
#한국현대사
#사회주의
#사전
한국문집총간(韓國文集叢刊) 인물연표(人物年表)
한국고전번역원 편찬 | 한국고전번역원
『韓國文集叢刊 人物年表』는 《韓國文集叢刊》의 저자인 신라시대 최치원을 비롯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인물 662명의 인물에 대한 정보를 수록했다. 각 저자의 행력은 연령대별, 시대별로 인물의 비교가 가능하고, 가계도는 각 인물에 대한 관계를 알 수 있는 자료로써 인물 연구에 유용한 제품이다. ※『韓國文集叢刊 人物年表』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한국문집총간 해제집"을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한국고전문학
한국학대백과사전
한국학대백과사전 편찬위원회 편찬 | 을유문화사
『한국학대백과사전』은 한국적 특색이 있는 국토지리/고고, 정치/제도, 사회/경제, 종교/사상/교육, 민속/전설, 어문학, 문화/예술, 과학 기술, 서지, 인물 등 10개 전문분야를 종합한 한국학사전입니다. 엄선하여 선별된 총 1만 5천여개의 항목을 수록하고 있으며, 한국에 관계되는 주요 사항을 빠짐 없이 다루고 있음은 물론이고 수록된 항목마다 출처와 서지를 열거하여 각 분야별로 학문의 안내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사전
이슬람사전
김정위 저 | 학문사
『이슬람사전』은 2000여개 이슬람, 중동에 관한 기초적인 용어 설명을 통해 초보자들도 가깝고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사전입니다.
외국에서 이미 출간된 여러 이슬람, 중동 관계 사전을 참조하여 표제어를 번안, 해설하였으며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표제어를 선별하였습니다. 표제어는 가나다순으로 제공되며 쉽게 찾아 볼 수 있도록 인물이름, 장소이름, 종교와 기타 등 주제별로 나누어 구성되었으며, 이외에도 역대 칼리프조와 중요 왕조 연표, 참고 문헌 등을 첨부하여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이슬람
#사전
지방자치사전
한국지방자치학회 편저 | 한국지방자치학회
‘지방자치사전’은 지방자치행정에 관계하는 분들이 법령을 해석ㆍ적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 지방자치를 연구하는 분에게 용어의 정확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작된 제품입니다. 지방자치법을 중심으로 지방자치관련법령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초적 용어와 주요 외국의 지방자치에 관련된 용어들을 총망라하였고, 실무용어ㆍ상식용어 및 학술용어를 광범위하게 엄선하여 수록하였습니다.
#사전
기록학 용어 사전
한국기록학회 외 저 | 역사비평사
한국의 기록 관리 현실에서도 외래 용어를 수용하되, 정확하고 창조적으로 생성하는 작업이 긴요하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이 사전이 갖는 의미는 각별하다.
핵심 표제어를 체계적으로 선정했을 뿐만 아니라 용어의 표현에 고심한 흔적이 역력하다.
우리의 전통과 현장에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 개념을 우리말로 표현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리라 생각한다.
이 사전이 관련 학계와의 생산적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고, 기록 관리 이론과 현장의 전문성을 높이는 견고한 지렛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안병우 (국가기록관리위원회 위원장)
#기록학
#사전
한국인명대사전
한국인명대사전 편찬위원회 저 | 여강출판사
『한국인명대사전』은 우리나라 역사상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주요 인물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각종 정보를 담은 방대한 인물 정보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역사상 실존 인물 외에 중요 설화상의 인물, 대표적인 고전의 등장인물, 한국사에서 중요한 외국인물도 수록했습니다. 각 항목은 해당인물의 인명, 생몰년, 자호(字號), 별호, 초명, 본관, 가계, 출신지, 문인관계, 벼슬, 이력, 업적, 저술과 참고문헌 등의 순서로 정리하였고, 일부 인물의 초상화와 관련 사진 등 이미지 1,000여 점도 함께 실었습니다.
한국역사지명사전
한국역사지명사전 편찬위원회 저 | 여강출판사
『한국역사지명사전』은 우리나라 역사에 나오는 지명에 대한 자세한 해설과 상세정보를 수록한 지명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우리 역사서에 등장하는 역사지명 약 5,700여 개를 표제어로 추출하여 각 지명 표제어와 관련된 역사적 내력과 변천사 및 현대 지명과의 연관성을 지닌 관련 이미지 500여 점과 함께 상세히 수록하였습니다. 관련 연구자에게는 훌륭한 참고서로서, 역사에 관심 있는 일반인에게는 우리 지명의 유래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유익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사전
한국역대제도용어사전
한국역대제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저 | 여강출판사
『한국역대제도용어사전』은 한국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정치, 군사, 법률, 의식, 기구, 관직 등을 모두 아우르는 제도용어 15,000여 항목과 그에 관한 상세한 해설을 수록한 디지털 역사대사전입니다. 제도용어의 각 시대별 변천사를 상세한 해설과 함께 수록하였고, 내용 항목의 주제별 검색 및 본문 풀텍스트(Full-Text) 검색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사학연구자의 필수 공구서로 기능할 것입니다.
#사전
남북한말비교사전
조재수 편 | 한겨레출판
오늘날 우리말에는 ‘한국어’와 ‘조선말’ 그리고 700만 동포들이 간직해 온 모국의 언어가 있습니다. 남북한말비교사전은 남북한 및 중국, 옛 소련 지역 동포들의 우리말 어휘 3만 여개를 모아 이를 비교 분석한 사전입니다. 또한 분단으로 말미암아 지난 60년 동안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라 온 남과 북 두 지역의 언어적 차이를 인식하고, 이를 하나의 언어 체계로 정리하였습니다. 지난 60년간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라 온 언어이기 때문에 적지않은 차이가 났는데, 그 중 가장 두드러진 부분이 어휘 면이다. 따라서 남과 북의 두 지역 언어를 살피어 한 언어 체계로 정리하고자 한 것이다.
#한국어학
#북한
#사전
바른말글사전
최인호 역 | 한겨레출판
본 제품은 그릇된 말글들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편찬된 것이다. 한글, 표준어, 외래어 등 맞춤법에 어긋나게 쓰는 사례를 챙겨 바르게 잡았고, 한자말과 외래어의 손질과 상투어들 가운데 반성없이 써온 말글들도 바로잡은 사전이다.
#한국어학
#사전
first
prev
1
2
next
last
KRpia 분류
역사∙지리
(490)
문학
(484)
예술
(447)
철학
(290)
사회과학
(49)
자연과학
(56)
문화
(114)
인물전집∙사전
(65)
인물전집
(30)
사전
(35)
KDC
총류
(8)
철학
(241)
종교
(72)
사회과학
(130)
자연과학
(32)
기술과학
(39)
예술
(416)
언어
(21)
문학
(456)
역사
(47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