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기관회원 로그인 개인회원 로그인
한국민속대관
  • 목차
  • 검색
  • 북마크
  • 인쇄
    인쇄
    인쇄범위
    인쇄실행 취소
  • 북마크
  • 정보
  • 목차
  • 검색
  • 북마크
목차
  • 동부주범
  • 동부주범
  • 다뉴세문경
  • 참성단
  • 청동초두
  • 전가즉사도
  • 암사동 선사주거지
  • 암사동 선사주거지 - 2
  • 평생도 - 혼행
  • 혼례식의 신랑·신부
  • 한국 위치도
  • 한국지질도
  • 韓半島를 中心으로 한 西北太平洋變動帶의 大地形區分
  • 수선전도
  • 首善全圖의 拓本
  • 韓半島의 年平均氣溫·等溫線圖
  • 韓半島 年平均 降水量
  • 韓半島 近海의 水深
  • 연석
  • 돌도끼
  • 동경
  • 鑛物分布圖
  • 鑛物分布圖
  • 1920年代의 市場風景
  • 1920年代의 市場風景 - 2
  • 마패
  • 모 말과 되
  • 벌목
  • 선추
  • 선추 - 2
  • 선추 - 3
  • 고인쇄 광경
  • 석보상절
  • 동국정운
  • 십칠사찬고금통요
  • 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
  • 산가지
  • 약틀·약연·약탕관
  • 무문토기대발
  • 강화지석묘
  • 창녕지석묘
  • 홍도
  • 훈민정음
  • 정유 한글활자
  • 천마도
  • 나룻배
  • 귀시도
  • 관인
  • 인력거를 탄 남자
  • 천전리 암각화
  • 금산패
  • 선전패
  • 호패
  • 전령패
  • 평생도(平生圖) - 과장(科場)
  • 쌍학흉배(雙鶴胸背)
  • 쌍호흉배(雙虎胸背)
  • 단호흉배(單虎胸背)
  • 삼일유가(三日遊街)
  • 솔대
  • 평생도(平生圖) - 유수행렬(留守行列)
  • 평생도(平生圖) - 판서행차(判書行次)
  • 평생도(平生圖) - 좌의정 행차(左議政行次)
  • 평생도(平生圖) - 환향행렬(還鄕行列)
  • 평생도(平生圖) - 안거(安居)
  • 평생도(平生圖) - 유가행렬(遊街行列)
  • 평생도(平生圖) - 한림 겸 수찬행렬(翰林 兼 修撰行列)
  • 천상열차분야지도 석각본(千象列次分野之圖石刻本)
  • 명당도(明堂圖)
  • 귀덕도(歸德圖)
  • 평면일구(平面日晷)
  • 앙부일구(仰釜日晷)
  • 앙부일구(仰釜日晷)
  • 발병부(發兵符)와 주머니
  • 호패(號牌)
  • 신발가게와 허리띠類 行商
  • 짚신가게
  • 도장(圖章)
  • 도장(圖章) - 2
  • 도장(圖章) - 3
  • 도장(圖章) - 4
  • 도장(圖章) - 5
  • 도장(圖章) - 6
  • 염전(鹽田)
  • 벼슬아치의 行次
  • 호적단자(戶籍單子)
  • 韓國의 家族(1920年代 末頃)
  • 사랑방의 老人들
  • 韓國의 家族(1920年代 末頃) - 2
  • 초분(草墳)
  • 초분(草墳) - 2
  • 기자석(祈子石)
  • 쇠도끼
  • 시권(試券)
  • 사주단자(四柱單子)
  • 전당포(典當鋪)
  • 복덕방(福德房)
  • 평양상설가축시장(平壤常設家畜市場)
  • 전주우시장(全州牛市場)
  • 차례(茶禮)
  • 기제사(忌祭祀)
  • 부담마(負擔馬)에 메운 가마
  • 나귀여행
  • 박물전(博物廛) (서울)
  • 포목전(布木廛) (개성)
  • 빗(櫛)장수
  • 시장의 갓상점
  • 갓수선공
  • 한약방(漢藥房)
  • 약종상(藥種商)
  • 대동강 연안의 나무시장
  • 장작장수
  • 약저울(藥衡)
  • 태(胎) 항아리
  • 국조보감(國朝寶鑑)
  • 평생도(平生圖) - 돌잔치
  • 돌상차림
  • 동차(童車)
  • 동차(童車) - 2
  • 회갑상 차림
  • 회갑잔치
  • 평생도(平生圖) - 관례(冠禮)
  • 관례(冠禮)
  • 新婦 가마
  • 新婦 가마 - 2
  • 큰상 차림
  • 예장함(禮狀函)과 혼서(婚書)
  • 연길(涓吉)
  • 신행(新行) 행렬
  • 신부혼례복(新婦 婚禮服)
  • 연(輦)
  • 사인교(四人轎)
  • 혼서지(婚書紙)
  • 혼서지(婚書紙) - 2
  • 봉치시루
  • 기러기(木雁)
  • 기러기(木雁)
  • 교배례(交拜禮)
  • 교배례(交拜禮) - 2
  • 화관(華冠)
  • 족두리
  • 족두리 - 2
  • 신랑연석(新婦宴席)
  • 폐백상(幣帛床)
  • 폐백례(幣帛禮)
  • 신부연석(新婦宴席)
  • 평생도(平生圖) - 회혼(回婚)
  • 조관행상(朝官行喪)
  • 꽃상여 나가는 모습
  • 영여(靈輿)
  • 영여(靈輿) - 2
  • 기일상례(朞日喪禮)
  • 英親王 李垠의 장례식
  • 사자상(使者床)
  • 수세 거둠(收屍)
  • 혼백(魂帛)틀
  • 여성의 상복
  • 상주의 두건(頭巾)과 굴건(屈巾)
  • 상복(喪服)을 입은 상주
  • 선산(先山)
  • 공동묘지(共同墓地)
  • 지석(誌石)
  • 지석(誌石)
  • 윤도(輪圖)
  • 장의(葬儀) 행렬
  • 명기(明器) - 사람
  • 명기(明器) - 말
  • 명기(明器) - 백자
  • 지석합(盒)
  • 평토제(平土祭)
  • 꽃상여 꾸미기
  • 방상씨(方相氏)
  • 초가사당(草家祠堂)
  • 사당
  • 상여(喪輿) 집
  • 묘지(墓誌)
  • 손병희(孫秉熙)의 입관(入棺)
  • 손병희(孫秉熙)의 입관(入棺) - 2
  • 발상(發喪)
  • 발상(發喪) - 2
  • 출상(出喪) 준비
  • 벼슬아치의 출상(出喪)
  • 사당(祠堂) 내부
  • 감실(龕室)
  • 신주(神主)
  • 벼루(硯)
  • 벼루(硯) - 2
  • 벼루(硯) - 3
  • 벼루(硯) - 4
  • 연갑(硯匣)
  • 교지(敎旨)
  • 교지(敎旨) - 2
  • 교지(敎旨) - 3
  • 묘제(墓祭)
  • 묘제(墓祭) - 2
  • 제주도(濟州島)의 무덤
  • 벽감(壁龕)
  • 홍릉(洪陵)
  • 문무석인(文武石人)
  • 농가의 살림살이
  • 농가의 방
  • 사랑방의 풍류
  • 사랑방의 풍류 - 2
  • 안채
  • 안채 측면(西側)
  • 안채 측면(東側)
  • 담소(談笑)
  • 농악(農樂)
  • 농악(農樂) - 2
  • 절구질
  • 짚신삼기
  • 미투리
  • 나막신(어린이용)
  • 연자매(硏子磨)
  • 서당교육(書堂敎育)
  • 훈육(訓育)
  • 활(弓)
  • 결혼식(結婚式) (1934年)
  • 향음주례(鄕飮酒禮)
  • 화살과 화살통
  • 상춘야흥(賞春野興)
  • 대성전(大成殿)
  • 명륜당(明倫堂)
  • 비천당(丕闡堂)
  • 숭양서원(崧陽書院)
  • 서당교육(書堂敎育)
  • 서당교육(書堂敎育) - 2
  • 서당도(書堂圖)
  • 도산서원(陶山書院)
  • 고려(高麗)의 저포(苧布)
  • 고려(高麗)의 저포(苧布) - 2
  • 고려(高麗)의 저포(苧布) - 3
  • 훈상(텛裳)
  • 흑립(黑笠)
  • 관복(官服)
  • 패옥(佩玉)
  • 후수(後綬)
  • 사모(紗帽)
  • 예도(禮刀)
  • 주립(朱笠)
  • 호수(虎鬚)
  • 갑옷과 투구(甲胄)
  • 각띠(角帶)
  • 각띠(角帶) - 2
  • 절첩관(折疊冠)
  • 도포(道袍)
  • 갓끈과 도포띠
  • 갓끈과 도포띠 - 2
  • 초립(草笠)
  • 개화기(開化期)의 군복(軍服)
  • 처네
  • 삼회장(三回裝) 저고리 上, 마고자와 배자(褙子) 下
  • 장옷
  • 유건(儒巾)
  • 탕건(宕巾)
  • 태사신(太史鞋)과 진신
  • 태사신(太史鞋)과 진신 - 2
  • 목화(木靴)
  • 당의(唐衣)
  • 활옷(闊衣)
  • 원삼(圖衫)
  • 도투락댕기
  • 도투락댕기 - 2
  • 패랭이
  • 백립(白笠)
  • 여러 가지 머리쓰개
  • 휘양(揮項)
  • 산간민(山間民)의 가죽옷
  • 장옷
  • 부녀(父女)의 복장
  • 흰치마 저고리
  • 어린이 옷(道袍)
  • 어린이 옷
  • 동달이
  • 군복(軍服)을 모두 갖춘 모습
  • 방건(方巾)
  • 3층정자관(三層程子冠)
  • 조선 중기 두루마기의 바이어스 처리
  • 금제과대, 요패(金製饅帶, 腰佩)
  • 금제이식(金製耳飾)
  • 금제이식(金製耳飾)
  • 금목걸이
  • 금제용각(金製龍刻) 팔지
  • 금제반지
  • 곡옥(曲玉)
  • 곡옥(曲玉)
  • 야금모행(夜禁冒行)
  • 금제(金製) 귀걸이
  • 금제(金製) 귀걸이 - 2
  • 금제반지
  • 화장구(化粧具)
  • 화장구(化粧具) - 2
  • 비취(翡翠) 발향(香)
  • 향집 노리개
  • 표주박
  • 청동(靑銅) 표주박
  • 장도(粧刀)
  • 장도(粧刀) - 2
  • 삼작(三作) 노리개
  • 삼작(三作) 노리개 - 2
  • 삼작(三作) 노리개 - 3
  • 귀주머니(수주머니, 수바늘집노리개, 가지노리개)
  • 여름용 저포적삼(苧布赤衫)의 매듭 단추와 쌍고리
  • 여러 가지 비녀
  • 여러 가지 비녀 - 2
  • 비녀의 머리 부분
  • 떨잠(떨철반자)
  • 떨잠(簪)
  • 봉(鳳) 뒤꽂이
  • 뒤꽂이
  • 금제(金製) 뒤꽂이
  • 귀이개
  • 빗치개와 부처머리비녀
  • 여러 가지 빗
  • 화각(華角) 빗
  • 경대(鏡臺)
  • 경대(鏡臺) - 2
  • 색상자(色箱子)
  • 조선시대 초기의 누비袍
  • 조선시대 초기의 누비袍의 木板깃
  • 조선시대 초기의 누비袍의 二重섶
  • 조선시대 초기의 누비袍의 三角무
  • 조선초기 남자 저고리
  • 바느질 도구상자
  • 바느질 도구상자 - 2
  • 바느질 도구
  • 실갑
  • 골무
  • 자(針尺)
  • 목제두침(木製頭枕)
  • 청자상감운학모란문침(靑磁象嵌雲鶴牡丹文枕)
  • 쌍학문나전(雙鶴紋螺鈿) 베갯모
  • 백석상감(白石象嵌) 베갯모
  • 적초의(赤쿑衣)
  • 청초의(靑쿑衣)
  • 해녀복(海女服)
  • 활타기
  • 씨아질
  • 실꿰기
  • 실고르기
  • 물레
  • 물레 - 2
  • 베매기
  • 베를 짜는 모습
  • 베를 짜는 모습 - 2
  • 베날기
  • 자라병(甁)
  • 분청사기박지모란문철채(粉靑沙器剝地牡丹文鐵彩) 자라병
  • 수저집
  • 회전반(回轉盤)
  • 전골상(煎骨床)
  • 소반(小盤)
  • 번상(番床)
  • 주칠소반(朱漆小盤)
  • 호족반(虎足盤)
  • 소반(小盤)
  • 책상반(冊床盤)
  • 7첩반상(七-飯床)
  • 주발(周鉢) 대접
  • 주발(周鉢) 대접
  • 주발(周鉢) 대접
  • 맷돌
  • 주막도(酒幕圖)
  • 장독대
  • 장독대 - 2
  • 주전자[左]와 병(甁)[右]
  • 국수틀
  • 다식판(茶食板)
  • 제주도민의 차림
  • 도시락
  • 도시락 - 2
  • 부엌
  • 부뚜막
  • 무쇠솥
  • 곱돌솥
  • 이남박
  • 뒤주
  • 장독대
  • 기름틀
  • 기름틀 - 2
  • 절구
  • 맷돌
  • 맷돌질
  • 안반과 떡메
  • 안반과 떡메 - 2
  • 토기(土器) 시루
  • 백자(白磁) 시루
  • 나무 떡살
  • 사기(沙器) 떡살
  • 장군
  • 흙담집
  • 흙담집 - 2
  • 돌담집
  • 돌담집 - 2
  • 굴피집
  • 귀틀집
  • 까치구멍집
  • 3간일자(三間一字) 집
  • 울릉도의 초가
  • 화전민의 초가
  • 제주도(濟州道) 초가집
  • 경주(慶州) 최씨(崔氏) 집
  • 경주(慶州) 최씨(崔氏) 집 - 평면도
  • 안대문채
  • 사당(祠堂)채
  • 고방(庫房)채
  • 의성(義城) 김씨(金氏) 집
  • 의성(義城) 김씨(金氏) 집 - 평면도
  • 노비(奴婢)옷
  • 초가집(草家)
  • 초가집(草家)
  • 양념단지
  • 기와 굴뚝
  • 구멍 굴뚝
  • 흙벽 굴뚝
  • 통나무 굴뚝
  • 오지굴뚝
  • 천굴뚝과 널굴뚝
  • 삼층찬장(三層饌欌)
  • 소줏고리
  • 나무 등경(燈檠)걸이
  • 부시
  • 찬합(饌盒)
  • 찬합(饌盒)
  • 찬합(饌盒)
  • 등채
  • 의걸이장(欌)
  • 삼층장(三層欌)
  • 나전이층농(螺鈿二層籠)
  • 죽장문갑(竹粧文匣)
  • 이층장(二層欌)
  • 내사장(內腸欌)
  • 앞닫이(반닫이)
  • 앞닫이(반닫이) - 2
  • 금구장식(金具裝飾)
  • 금구장식(金具裝飾) - 2
  • 여러 가지 모양의 시저(匙著)
  • 여러 가지 모양의 시저(匙著) - 2
  • 실패
  • 바늘꽂이와 골무
  • 인두판
  • 인두
  • 인두 - 2
  • 다리미
  • 다리미 - 2
  • 재떨이
  • 대통받침
  • 흡연구(吸煙具)
  • 돌화로(火爐)
  • 유경(鍮檠) 촛대
  • 등잔대(燈盞臺)
  • 제등(提燈)과 조족등(照足燈)
  • 대륜선(大輪扇)
  • 파초선(芭蕉扇)
  • 태극선(太極扇)
  • 합죽선(合竹扇)
  • 마미선추(馬尾扇錘) (左)와 향선추(香扇錘) (右)
  • 대나무선추 (左) 외
  • 패철선추(佩鐵扇錘)
  • 장목비
  • 대싸리비와 족제비털비
  • 목판(木盤)
  • 삼층찬장(三層饌欌)
  • 궤상(机床)
  • 목침(木枕)
  • 삼층탁자(三層卓子)
  • 장탁자(長卓子)
  • 알바위
  • 갈돌
  • 원탑
  • 선영도(先塋圖)
  • 돌하르방
  • 돌장승(石長丞)
  • 돌장승(石長丞)
  • 장승
  • 장승
  • 솟대
  • 서낭당
  • 벅수 치성(致誠)
  • 벅수
  • 장승(長丞)과 솟대
  • 무당(巫堂)
  • 일월맞이
  • 마지막 동제
  • 현재 최고의 한글로 된 카톨릭 성서
  • 김범우의 영세명부 (명동성당 부지기증자)
  • 조상단지
  • 성주(成造)독
  • 골멕이 동제당
  • 심방(神房)
  • 기자석(祈子石)
  • 치성단(致誠壇)
  • 선바위
  • 붙임바위
  • 선돌
  • 마마 배송선(拜送船)
  • 성주(成造)
  • 배서낭기
  • 점장이
  • 패철(佩鐵)
  • 조왕(竈王)굿
  • 터주까리
  • 업
  • 도당 굿(都堂祭)
  • 오기조원도(五氣朝元圖)
  • 처용(處容) 가면
  • 처용(處容) 가면 - 2
  • 칠성(七星)
  • 용왕제(龍王祭)
  • 일월신도(日月神圖)
  • 방울(巫鈴), 명두(明斗), 신칼
  • 삼불선(三佛扇)
  • 장승제(長丞祭)
  • 장군도(將軍圖)와 목마(木馬)
  • 신목(神木)
  • 별신굿 상차림
  • 동제(洞祭)
  • 별신(別神)굿
  • 오방신장도(五方神將圖)
  • 부근당(付根堂)과 공물(貢物)
  • 뱃고사(선실)
  • 뱃고사(갑판)
  • 부근당(付根堂)과 공물(貢物) - 2
  • 남근(男根)
  • 산신도(山神圖)
  • 지노귀굿
  • 당산(堂山)
  • 당산
  • 강릉단오굿
  • 산신굿
  • 산신굿 상차림
  • 강릉시 국사여성황당
  • 박수
  • 산신상(山神像)
  • 만신(萬神)
  • 초립(草笠)
  • 장군당 신단(神壇)
  • 당굿(堂祭) 遠景
  • 당굿 近景
  • 서낭당
  • 당사주책(唐四柱冊)
  • 부적(符籍)
  • 점집
  • 거북점통과 점돈
  • 관제영첨(關帝靈籤)
  • 무당점(巫堂占)
  • 삼재부적도(三災符籍圖)
  • 삼눈 치료법
  • 삼눈 치료법 - 2
  • 금줄
  • 염병치료구
  • 열병치료구
  • 손님치료법
  • 눈병치료 그림
  • 눈병치료 그림 - 2
  • 삼신일목어(三身一目魚) 그림
  • 제웅(處容)
  • 액막이
  • 잡상(雜像)
  • 귀면(鬼面) 숫막새 기와
  • 귀면(鬼面) 서까래막새 기와
  • 엄나무
  • 호랑이 뼈
  • 종기 치료법
  • 종기 치료법 - 2
  • 병 부적
  • 부적
  • 엄나무 가지
  • 닭 부적
  • 산령각(山靈閣)
  • 해랑당(海娘堂)
  • 경순왕당(敬順王堂)
  • 도깨비 퇴송선(退送般)
  • 문묘제례(文廟祭禮)
  • 문묘제례(文廟祭禮) - 2
  • 연등행사(燃燈行事)
  • 괘불(掛佛)
  • 마마배송굿
  • 눈병치료 작대기
  • 부적판(符籍板)
  • 부적
  • 부적 - 2
  • 삼신도
  • 미국 워싱턴 머뉴먼트 광장에서 열린 美 독립 200주년 기념 大聖會 (1976. 9. 18)
  • 종교와 과학의 일치를 추구함으로써 미래의 새로운 가치관을 확립하기 위한 세계적인 학자들의 대집회 (1981. 11. 10∼13. 세종문화회관)
  • 영락교회(永樂敎會)
  • 합동결혼식장에서 축도하는 문선명(文鮮明) 목사 내외 (1975. 2. 8. 장충체육관)
  • 용화삼덕도(龍華三德敎)
  • 최시형(崔時享)
  • 세계인의 대화합을 위하여 25개국에서 신랑·신부들이 합동결혼식을 가진 장충체육관(1975. 2. 8. 장충체육관)
  • 최제우(崔濟愚)
  • 전봉준(全琫準)
  • 일심교 천지음양대제(一心敎 天地陰陽大祭)
  • 성묘
  • 승람도(勝覽圖)
  • 설빔
  • 세배(歲拜)
  • 성묘(省墓)
  • 성묘(省墓) - 2
  • 귀성(歸省)
  • 연등(燃燈)
  • 달맞이(부분)
  • 강강술래
  • 김장
  • 안택(安宅)
  • 경직도(耕織圖)
  • 경직도(耕織圖) - 2
  • 경직도(耕織圖) - 3
  • 경직도(耕織圖) - 4
  • 정조차례(正朝茶禮)
  • 정조차례(正朝茶禮) - 2
  • 재 거름하기
  • 춘경(春耕) (부분)
  • 나물캐기
  • 산채(山菜)캐기
  • 밭갈고 씨뿌리기
  • 누에 키우기(부분)
  • 양봉(養蜂)
  • 양봉(養蜂) - 2
  • 새참(부분)
  • 보리타작
  • 도리깨질
  • 보리타작(부분)
  • 두벌갈이
  • 모심기(부분)
  • 모심기
  • 경직도(耕織圖)
  • 볍씨 고르기
  • 전북 농요(農謠)
  • 전북 농요(農謠) - 2
  • 원두막
  • 김매기
  • 김매기 - 2
  • 조 수확
  • 콩털기
  • 옥수수 거두기
  • 고구마 거두기
  • 인삼캐기
  • 씨아
  • 무명실 매기
  • 그네
  • 개상질
  • 알곡 고르기
  • 나락뒤주
  • 지붕 고치기
  • 이엉엮기
  • 시제(時祭)
  • 시제(時祭) - 2
  • 부럼
  • 춘축(春祝)
  • 뗑갈
  • 못발
  • 장독대
  • 논삶기
  • 영감놀이
  • 영등굿놀이
  • 영등굿놀이
  • 토정비결(土亭秘訣)
  • 세화(歲畵)
  • 연등상점(燃燈商店)
  • 승경도 판
  • 답교(踏橋)놀이
  • 답교(踏橋)놀이 - 2
  • 연날리기
  • 연날리기 - 2
  • 줄다리기
  • 고
  • 줄 나르기
  • 익산(益山) 목발노래
  • 익산(益山) 목발노래 - 2
  • 욕불(浴佛)
  • 탑돌이
  • 탑(塔)돌이
  • 탑(塔)돌이 - 2
  • 봉산탈춤
  • 탁족(濯足)놀이
  • 단오풍정(端午風情)
  • 세경놀이
  • 기우제(祈雨祭)
  • 기우제(祈雨祭) - 2
  • 차실(茶室)
  • 강릉 단오굿
  • 강릉 단오굿 - 2
  • 마전하기
  • 베날기
  • 베짜기
  • 베매기
  • 사자놀이
  • 수영야류(水營野遊)
  • 관노가면무극(官奴假面舞劇)
  • 호미씻이
  • 밭매기
  • 문묘석전(文墓釋奠)
  • 문묘석전(文墓釋奠) - 2
  • 닭싸움
  • 닭싸움 - 2
  • 소싸움
  • 소싸움 - 2
  • 뱃놀이
  • 뱃놀이 - 2
  • 매사냥
  • 장담그기
  • 성돌기
  • 안경놀이
  • 천렵놀이
  • 자수(刺繡) 백동자(百童子)병풍
  • 자수(刺繡) 백동자(百童子)병풍 - 2
  • 자수(刺繡) 백동자(百童子)병풍 - 3
  • 자수(刺繡) 백동자(百童子)병풍 - 4
  • 자수(刺繡) 백동자(百童子)병풍 - 5
  • 자수(刺繡) 백동자(百童子)병풍 - 6
  • 방패연
  • 가오리연
  • 액연
  • 연날리기
  • 연날리기 - 2
  • 팽이치기
  • 팽이와 팽이채
  • 고누
  • 돈치기
  • 불놀이
  • 모래주머니놀이
  • 공기놀이
  • 택견
  • 전남 우수영 부녀농요(全南右水營婦女農謠)
  • 좌수영(左水營) 어방(漁坊)놀이
  • 지신(地神) 밟기
  • 지신(地神) 밟기 - 2
  • 제주도의 그물 당기는 노래
  • 한 장군(韓將軍)놀이
  • 한 장군(韓將軍)놀이 - 2
  • 청금상련(聽琴賞蓮)
  • 차전놀이
  • 차전놀이 - 2
  • 줄다리기
  • 줄 밟기
  • 줄 만들기
  • 줄 옮기기
  • 놋다리밟기
  • 놋다리 밟기
  • 널뛰기
  • 널뛰기
  • 그네뛰기
  • 그네뛰기 - 2
  • 춘향제(春香祭)
  • 윷놀이
  • 윷놀이 - 2
  • 윷목
  • 윷놀이
  • 갈게발연
  • 관연(冠鳶) 연(鳶)
  • 얼레
  • 강강술래
  • 횃불싸움
  • 다리밟기[踏橋]
  • 씨름
  • 씨름
  • 씨름 - 2
  • 지네연
  • 서낭대싸움
  • 서낭대싸움 - 2
  • 고싸움
  • 나무쇠싸움
  • 나무쇠 싸움
  • 나무쇠 싸움 - 2
  • 서낭대싸움
  • 서낭대싸움 - 2
  • 그네뛰기
  • 그네뛰기 - 2
  • 가마싸움
  • 장치기
  • 장치기 - 2
  • 남사당 버나
  • 남사당 어름(줄타기)
  • 무동(舞童)
  • 무동(舞童) - 2
  • 무동(舞童) - 3
  • 무동(舞童) - 4
  • 무동(舞童) - 5
  • 무동(舞童) - 6
  • 줄타기
  • 줄타기 - 2
  • 마상재(馬上才)
  • 연소 답청 (年少踏靑)
  • 낚시
  • 낚시 - 2
  • 단소풍류(短簫風流)
  • 간지(簡紙)와 지통(紙筒)
  • 간지(簡紙)와 지통(紙筒) - 2
  • 간지(簡紙)와 지통(紙筒) - 3
  • 죽첨경서통(竹籤經書筒)
  • 서견대(書見臺)
  • 책거리 그림
  • 필가(筆架)
  • 화각(華角) 붓
  • 자모필갑(子母筆匣)
  • 필통(筆筒)
  • 필통(筆筒)
  • 백자 필통
  • 먹(墨)
  • 장생문일월연(長生紋日月硯)
  • 매죽동천연(梅竹洞天硯)
  • 장생문일월연(長生紋日月硯)
  • 국죽화석연(菊竹化石硯)
  • 하엽연(荷葉硯)
  • 분청도연(粉靑陶硯)
  • 출토연(出土硯)
  • 출토연(出土硯)
  • 출토연(出土硯)
  • 연적(硯滴)
  • 백자수형연적(白瓷獸形硯滴)
  • 필세(筆洗)
  • 죽장연상(竹張硯床)
  • 경상(經床)
  • 격구(擊毬)
  • 장기
  • 장기 - 2
  • 바둑두기
  • 바둑
  • 바둑 - 2
  • 쌍륙(雙六)
  • 쌍륙(雙六)
  • 투전
  • 투전패
  • 골패(骨牌)
  • 골패짝
  • 投壺(투호)놀이
  • 투호(투호)놀이
  • 활쏘기
  • 활쏘기 - 2
  • 활쏘기 - 3
  • 활 만들기
  • 활터
  • 주연(酒宴)
  • 12면 주사위
  • 야금 모행 (夜禁冒行)
  • 연소 답청 (年少踏靑)
  • 기방주연(妓房酒宴)
  • 기방주연(妓房酒宴) - 2
  • 여창가곡(女唱歌曲)
  • 시나위
  • 승무도(僧舞圖)
  • 승전무(勝戰舞)
  • 야당걸전도(耶黨乞錢圖)
  • 마른 써레
  • 타작(打作)
  • 게막
  • 떼배
  • 거지게
  • 갓방
  • 사층탁자(四層卓子)
  • 문갑(文匣)
  • 망건방(網巾房)
  • 돌화로(石火爐)
  • 백석상감필통(白石象嵌筆筒)
  • 장농 공방(工房)
  • 유기공방(鍮器工房)
  • 서류함(書類函)
  • 전남 담양의 죽세공품시장(竹細工品市場)
  • 여민락(與敏樂)
  •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
  • 법금(法琴)
  • 월금(月琴)
  • 축(祝)
  • 훈(塤)
  • 어(敔)
  •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 등가악(登歌樂)
  •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 헌가악(軒歌樂)
  • 수공후(竪箜篌)
  • 외연 및 내연도(外宴內宴圖)
  • 편종(編鍾)
  • 편경(編磬)
  • 거문고(玄琴)
  • 가야금(伽倻琴)
  • 양금(洋琴)
  • 태평가(太平歌)의 남녀 병창(倂唱)
  • 모심기
  • 방짜 징
  • 쟁기질
  • 물레
  • 무악(舞樂)
  • 농악(農樂)
  • 태평소(太平簫)
  • 피리
  • 남도 들노래
  • 범패(梵唄)
  • 무형문화재 판소리 흥부가 예능 보유자 고(故) 박녹주(朴綠珠) 여사.
  • 판소리
  • 나각(螺角)
  • 해금(奚琴)
  • 생황(笙簧)
  • 삼현육각(三絃六角)
  • 대취타(大吹打)
  • 옴중
  • 하회(河回)의 양반(兩班)탈
  • 하회의 노장(老丈)탈
  • 하회의 부네탈
  • 병산의 할미탈
  • 말뚝이
  • 노장(老丈)
  • 통영오광대놀이
  • 애사당 놀이
  • 목중(墨僧)
  • 왜 장녀
  • 송파산대놀이
  • 노장(老丈)
  • 양주산대놀이
  • 봉산탈춤
  • 취발이
  • 강령탈춤
  • 노장(老丈)
  • 수영 들놀음(野遊)
  • 홍백(紅白)탈
  • 동래 들놀음(野遊)
  • 꼭둑각시와 돌머리집
  • 이시미
  • 상주, 소무당, 홍동지
  • 영노
  • 박첨지(朴僉知)와 꼭두각시
  • 평양감사(平壤監司)와 상좌(上佐)
  • 논갈이(牛耕圖)
  • 낫
  • 괭이
  • 겨리쟁기
  • 직조도(織造圖)
  • 인삼밭
  • 베짜기
  • 씨아
  • 끙게
  • 따비
  • 따비
  • 나락뒤주
  • 나락뒤주
  • 호미
  • 번지치기
  • 용두레
  • 매통
  • 두레
  • 구유
  • 돌구유
  • 물레방아
  • 통방아
  • 좽이
  • 가리
  • 작살
  • 덤장
  • 덤장 - 2
  • 뒤주
  • 뒤주
  • 대발(竹防簾)
  • 대발(竹防簾) - 2
  • 대발(竹防簾) - 3
  • 대발(竹防簾) - 4
  • 세폭그물배
  • 자귀
  • 먹통(墨筒)
  • 내릴톱
  • 무용총 수렵도(舞踊塚狩獵圖)
  • 사냥그림(胡獵圖) 10폭병풍부분
  • 사냥그림(胡獵圖) 10폭병풍부분 - 2
  • 창날
  • 창날
  • 찰코
  • 창애
  • 벼락틀
  • 매사냥
  • 매사냥 - 2
  • 매사냥 - 3
  • 썰매
  • 설피
  • 화혜장(靴鞋匠)
  • 신발 만드는 연장
  • 씨앗망태
  • 씨앗망태
  • 행보배(商買船)
  • 발채
  • 옹구
  • 지게
  • 지게와 바소거리
  • 쟁기지게
  • 책거리 그림(冊架圖)
  • 해태그림 부분
  • 까치와 호랑이 그림
  • 농경문 청동의기(農耕紋靑銅儀器)
  • 변탕(邊鐋)
  • 등밀이
  • 골밀이
  • 등밀이(나무껍질 벗기는 것)
  • 활비비
  • 도래송곳
  • 쇠뿔 다루는 연장
  • 화각입히기
  • 채상(彩箱)
  • 백자철화포도문(白瓷鐵畵葡萄文) 항아리
  • 청자탁잔(靑瓷托盞)
  • 은입사담배합(銀入絲煙草盒)
  • 청자상감모란문주자(靑瓷象嵌牡丹文注子)
  • 도자기 만드는 광경
  • 도자기 만드는 광경
  • 도자기 만드는 광경
  • 도자기 만드는 광경
  • 도자기 만드는 광경
  • 화각함(華角函)
  • 합죽선(合竹扇)
  • 화각 만드는 과정
  • 고비(考備)
  • 단청(丹靑)
  • 단청(丹靑) - 2
  • 나전(螺鈿) 바느질그릇
  • 빗접
  • 함
  • 나전공예(螺鈿工藝) 연장
  • 나전칠기장(螺鈿漆器匠)
  • 지승(紙繩)그릇
  • 종이연상(紙硯床)
  • 지장사층탁자장(紙粧四層卓子欌)
  • 지화(紙花)
  • 지화(紙花) - 2
  • 지화(紙花) - 3
  • 화방(花房)틀
  • 한지(韓紙) 공장
  • 수상자(繡箱子)
  • 수베개(繡枕)
  • 수틀과 자수 도구
  • 십장생그림(十長生圖) 10폭병풍부분
  • 십장생그림(十長生圖) - 2 10폭병풍부분
  • 십장생그림(十長生圖) - 3 10폭병풍부분
  • 경직도(耕織圖)
  • 도포(道袍) 띠
  • 노리개용 매듭과 술
  • 옥장도 노리개
  • 나전 베겟모 만드는 과정
  • 화문석(花紋席)틀
  • 말굽쇠형 따비
  • 대패
  • 까치 호랑이무늬등메
  • 박(拍)
  • 김수로왕릉(金首露王陵)
  • 마니산 참성단(摩尼山塹星壇)
  • 선바위
  • 까치 호랑이 그림(鵲虎圖)
  • 범어사(梵魚寺)
  • 백마강(白馬江)
  • 마이산(馬耳山)
  •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
  • 알영정(閼英井)
  • 석가탑(釋迦塔)
  • 계림(鷄林)
  • 삼성혈(三姓穴)
  • 경직도(耕織圖)
  • 경직도(耕織圖) - 2
  • 경직도(耕織圖) - 3
  • 경직도(耕織圖) - 4
  • 베짜는 그림
  • 달나라 토끼
  • 견우·직녀 벽화(牽牛織女 壁畵)
  • 판소리
  • 판소리
  • 가객(歌客)의 소리하는 모양
  • 광한루(廣寒樓)
  • 본향(本鄕)가망거리
  • 상산(上山)마누라거리
  • 작도(斫刀)거리
  • 제석(帝釋)거리
검색
본문검색 사전검색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일부 스캔본 자료의 경우
본문검색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북마크 목록

북마크 내역이 없습니다.

  •  
  •  
  •  
번역문
0 / 0

목차명만 존재하는 페이지 입니다.

이 목차는 번역문이 없습니다.

참조정보
이용자주석

주석 작성
원문
0 / 0

목차명만 존재하는 페이지 입니다.

이 목차는 원문이 없습니다.

이용자주석
이용자주석

주석 작성
원문이미지
0 / 0

목차명만 존재하는 페이지 입니다.

이 목차는 원문이미지가 없습니다.

이용자주석

기관회원 로그인 개인회원 로그인

또는

카카오 로그인 네이버 로그인 구글 로그인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한국민속문화의 집대성 한국민속대관
번역문
원문
원문이미지
Copyright (c) 2015 (주)누리미디어 All Rights Reserved
한국민속문화의 집대성 한국민속대관
0 / 0
Copyright (c) 2015 (주)누리미디어 All Rights Reserved

폴더관리

북마크 등록

북마크 등록

폴더 관리